[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QQYW53.jpg|width=100%]]}}} || || '''試製五式砲戦車 ホリ''' || [목차] == 개요 == [[태평양 전쟁]] 최후기에 [[치리|5식 중전차 치리]]를 바탕으로 개발된 [[일본군]]의 [[자주포]]. == 제원 == |||| 試製五式砲戦車(시제 5식 포전차) Ho-Ri(ホリ) || || 승무원 ||6명 || || 길이 ||7.40m || || 너비 ||3.05m || || 높이 ||2.70m || || 무게 ||40.0t || || 장갑 ||정면 120 mm, 측면 25mm || || 주무장 ||[[시제 105mm 전차포]] 1문 || ||<|3> 부무장 ||37mm ??? 전차포 1문 || ||20mm ??? 기관포 2문 || ||7.7mm [[97식 중기관총]] 1정 || || 엔진 ||[[BMW]] 항공용 V12 가솔린 엔진 || || 출력 ||550hp/1,500rpm || || 현가장치 ||벨 크랭크 (Bell crank) || || 속도 ||40km/h || == 상세 == 1943년 중순, 격화되는 [[독소전쟁]]의 기갑전 양상을 목격하고 급격하게 발달되어가는 독일군과 소련군의 전차를 평가해본 일본군은 기존의 주포로는 앞으로의 전차전을 따라갈 수 없다고 결론을 내게 된다. 따라서 [[시제 105mm 전차포|105mm의 대구경에 포구초속이 높은 신형 대전차포]]를 개발하여 새로운 포전차에 탑재하기로 했으며 이 계획이 발전하여 본 문서의 5식 포전차가 되었다.[* 이때 똑같은 용도지만 경장갑으로 계획한 [[시제 대전차 자주포 카토]]도 같이 계획한다.] 처음 나온 차체 설계(일명 호리 1)는 [[엘레판트|페르디난트 대전차 자주포]]에 영감을 받았음이 확실시될 정도로 유사한 후방 전투실 형상이며, 전투실을 포함한 정면 장갑은 최대 125mm에 수직 형태로 계획되어 1km 이상 거리에서 소련 중전차의 공격을 견딜 수 있었다. 차체는 치리의 것을 기반으로 설계되었고, 추가 화력을 위하 전면 37mm 부포와 같은 치리 설계의 특징들도 계승되었다. 구동부는 원본이 되는 치리 전차의 그것과 거의 유사하게, 엔진도 동일한 것을 탑재하도록 계획되었다. [[포방패]]는 약 150~225mm, 차체와 전투실의 측면과 후면 장갑은 25~50mm 정도였다. 승무원은 대구경의 포를 조작하게 되는 만큼 한 명이 더 늘어나 전차장, 포수, 무전수 겸 부포 사수[* 부포가 탑재되는 형식일 경우?], 장전수 2인으로 총계 6인 체제이다. 그러다가 호리 1 설계를 개선한 호리 2 설계도 만들어졌다. 호리 2는 호리 1과 마찬가지로 치리 기반이었으나, 레이아웃이 [[엘레판트]]와 비슷한 호리 1과 달리 [[야크트티거]]의 차체에 영감을 받은걸로 보인다. 흔히 알려진 형상의 호리 1형과 비교하면 차체가 치리에 더 가깝고 부포가 남아있으며, 전투실이 중간에 위치하며 엔진이 후방에 위치하는 형상이다. 호리 2 차체는 실제 만들어진 치리 차체 기반인지 아니면 좀 더 강력한 다른 치리 설계안의 차체 기반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또한 엔진룸 위에는 승무원이 전투실 후방 해치를 통해 나가서 조작하는 20mm 쌍열 대공용 기관포 마운트가 달리는 것도 고려되었다. 1944년에는 후방 전투실 형태의 호리 1을 기반으로 치리부터 있던 차체 전면의 부포를 포기한 대신 차체 전면을 두께 120mm 70도 [[경사장갑]]으로 재설계한 새로운 설계안(일명 호리 3)이 나왔다. 덕분에 치리와 동일한 수직장갑이 적용된 이전 설계안보다 차체 전면 방어력이 크게 늘어났다[* 120mm에 70도 경사이면 [[LOS]] 수치가 약 350mm인데, 이는 떡장갑으로 유명한 [[티거 2]]와 [[야크트티거]]보다도 방어력이 높은 것이며 [[8호 전차 마우스|마우스]]와 차체 전면 상부 한정으로 동급인 수준이다.]. 종전까지 호리 3을 기반으로 총 5대를 생산할 '''계획'''이었으나 생산이 완료되기 이전에 일본의 패배로 종전, 종전 시점에서 약 50% 정도 완성된 프로토타입 1대를 미군이 스크랩 처리 했다고 한다. 흔히 알려진 호리의 모습은 경사장갑을 채용하고 부포가 없는 목업의 사진과 페르디난트와 거의 유사하면서 부포가 있는 [[http://www.zhuangjiacheliang.com/data/attachment/forum/201803/16/135244vca9lh7laxaehcy4.jpg|토미오 하라의 측면 도면]] 이다. 본 문서와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편의상 존재하는 3가지 호리 설계안을 등장 순서에 따라서 호리 1, 호리 2, 호리 3 라고 부르나 실제로도 설계안별로 번호가 부여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 미디어 == === 게임 === ==== [[강철의 왈츠]] ==== 2017년 8월 31일 [[강철의 왈츠/전차 소녀/특전차|특전차]]의 구축전차로 등장했는데 나오기전에 일러로 특전차 항목의 중형전차인 IV호전차 G형의 레베카 롬멜과 비슷해 일명 레베카 엄마(마침 레베카 모친은 동양인이다)로 불렸으나 [[레베카 롬멜]] 본인이었다. 이후 2018년 4월 11일 업데이트때 불꽃여우 공수전차로 전차명이 변경되었다. ==== [[워 썬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Ri-Production_Garage.jpg|width=100%]]}}} || || '''호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Ri-Prototype_Garage.jpg|width=100%]]}}} || || '''호리 시제형''' || [[워 썬더]]에서 일본 포전차 트리와 프리미엄으로 경사장갑 설계안이 등장한다. 정규트리엔 정식생산형이 등장하고 프리미엄엔 시제품이 등장한다. 시제품은 6.0BR의 적절한 105mm를 장착한 구축전차로 나오지만 , 정식생산형은 딴딴한 정면장갑과 넓찍한 내부공간이 시너지를 일으켜 잘 뚫리질 않고 뚫려도 넓은 내부공간덕에 승무원들에 피해가 잘 가질 않는다.~~프로토타입이 미완성 상태로 스크랩처리 되었는데 시제형과 양산형이 나뉘어져 있다 그래서 별명이 호리 망상형~~ ====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보리.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로리.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로리.jpg|width=100%]]}}} || || '''호리''' || [[월드 오브 탱크]]의 모바일판인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서 등장한다. 블리츠에 먼저 오리지널로 등장한 트리이며, 아직까지 본가 PC월탱과 콘솔판에는 추가되지 않아서 월탱 시리즈 중에서 블리츠에만 유일하게 등장하는 트리기도 하다. 세가지 설계안 모두 등장하는데, 1번째 설계안이 10티어로 나오고 두번째와 세번째 설계안이 각각 8티어와 9티어로 나오는 등 실제로 설계안이 등장한 순서와 게임에서 구현된 전차 스펙 사이의 괴리감이 심하다. 그리고 무장도 8티어 차량의 스톡포가 고증 105mm 전차포인 것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호리에 장착이 고려되지 않은 함포나 요새포 기반의 물건이 달리는 등 여러모로 고증에 어긋나는 부분도 많다. 전반적으로 장갑이 강화된 것은 덤. ==== [[월드 오브 탱크]] ====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 먼저 등장한 후, 본가 [[월드 오브 탱크]]에도 2023년 2분기에 일본 구축전차 테크트리로 추가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호리, version=97, paragraph=3)] [[분류:자주포]][[분류:구축전차]][[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