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의 국도, rd1=일본 5번 국도)] [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국도 목록)] ||<-2>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wiki style="margin:-2px;margin-top:-4px;margin-bottom:-4px;padding:0px" [[국도|[[파일:5번 국도 표지.svg|height=30px]]]]}}}||{{{#!wiki style="margin:0px;margin-top:-10px;margin-bottom:-10px;padding:0px" [[5번 국도|{{{#fff {{{+1 '''5번 국도'''}}}}}}]] {{{#!wiki style="margin:0px;margin-top:-2px;margin-bottom:-10px;padding:0px" {{{#fff [[통영시|{{{#fff 통영}}}]] ~ [[자성군|{{{#fff 중강진}}}]]선}}}}}}}}} ||}}} || ||<-2> [[파일:국도 5호선.png|width=100%]][[파일:nr_5.png|width=100%]] || || '''시점''' ||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통영)|도남동]] 발개삼거리 || ||<|2> '''종점''' ||<|1>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 ||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 남방한계선[* [[국토교통부]] 고시 상으로는 5번 국도가 여기서 더 나아가 근북면 백덕리에서 [[군사분계선]]을 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남방한계선]] 이북으로는 제대로 된 도로가 없다. 또한 [[김화]] 읍내리 읍내삼거리에 [[민통선]]이 설정되어 있어서 무허가 일반인이 더 이상 북쪽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막는다. 5번 국도의 경우 [[화천군|화천]]-[[김화읍|김화]] 구간에서 [[민통선]] 이북지역을 여러 번 들어갔다 나왔다 하므로 통행에 제한이 걸려 있는 곳이 읍내삼거리 말고도 좀 많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할 것.] || || '''길이''' || 617.9km(남한지방 한정) || || '''경유지''' || [[경상남도]] [[통영시]], [[거제시]], [[창원시]], [[함안군]], [[창녕군]] [br]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서구]], [[서구(대구)|서구]], [[북구(대구)|북구]] [br] [[경상북도]] [[칠곡군]] [br] [[대구광역시]] [[군위군]] [br] [[경상북도]] [[의성군]], [[안동시]], [[영주시]] [br] [[충청북도]] [[단양군]], [[제천시]] [br]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횡성군]], [[홍천군]] [br]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화천군]], [[철원군]](구 [[김화군]] 지역)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통영시]] ~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군|중강진]]을 잇는 국도. [[중앙고속도로]]로 인해 통행량이 줄어든 대표적인 [[국도]]. 하지만 길이만큼은 길고 아름다운 국내 2번째로 긴 국도(약 1,252km)이다. 물론 북한 구간을 제외하면 매우 짧아진다. 계획상 가장 긴 국도는 [[77번 국도]]인데,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워낙에 끊긴 구간이 많아서 실질적으로 끊김이 없이 완공된 국도중에서는 이 국도가 가장 길다. 다만 남한 지역만 놓고 보면, [[31번 국도]]보다는 좀 많이 짧고, 미개통 구간이 2.6km정도 존재하고, [[3번 국도]]보다 약 4km정도 짧다.[* 원래는 5번 국도가 더 길었으나 최근 거제 ~ 마산구간이 이설됨에 따라 약 11km정도 단축되었다.] 한반도 동부~중부 내륙을 관통하는 국도이므로 [[김화읍|남한구간 종점]]과 [[중강군|명목상 종점]]이 남북 각각에서 겨울 추위가 심한 곳으로 유명하다. == 경로 == 경유지는 [[통영시]] - [[거제시]] - [[창원시]] - [[함안군]](칠원) - [[창녕군]] - [[대구광역시]] - [[칠곡군]](동명, 가산) - [[군위군]] - [[의성군]] - [[안동시]] - [[영주시]] - [[단양군]] - [[제천시]] - [[원주시]] - [[횡성군]] - [[홍천군]] - [[춘천시]] - [[화천군]] - [[철원군]](1962년까지 남한 [[김화군]] 지역)이다. 단 통영 - 거제 - 창원 구간은 알다시피 거제가 섬이라는 특성상 교량을 건설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실제 착공 여부가 지지부진한 상황이라 계획상으로만 존재하며 현재 실질적인 시점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이다.[* 전통적인 기점은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부림시장이고 [[북성로(창원)|북성로]]를 거쳐 [[내서읍]]으로 가는 길이었지만 현재는 내서읍에서 [[쌀재터널]]을 지나 우산동으로 가는 우회도로 구간으로 국도지정이 변경되었다.] 원래 시점은 거제시 [[연초면]]이었지만 2021년 6월 22일부로 통영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휴전선 이북지역의 주요 경유지는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 김화군-[[평강군]]-[[안변군]]-[[원산시]]-[[문천시|문천군]]-[[영흥군]]-[[함흥시]]-[[장진군]]-[[후창군]]을 거쳐 [[중강군|중강진]]에 이른다. [[원산시]] - [[함흥시]] 구간은 [[7번 국도]]와 중복된다. == 구간 == === 통영 - 거제 구간 === 통영시 [[도남동(통영)|도남동]]에서 [[한산도]]와 추봉도를 거쳐 거제시 [[동부면]] 덕원해수욕장을 이어주는 노선으로 계획되어 있다. 이게 완성되면 [[거제대교]], [[신거제대교]]에 이어 거제와 통영을 잇는 3번째 왕복로가 생기게 된다. 이 구간이 개통될 경우 그동안 통영에서 배편으로만 오고갈 수 있었던 한산도는 통영, 거제 양방향으로 차량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된다. [[2022년]] [[1월 10일]] 거제시 거제면 오수리와 상문동을 잇는 거제동서간도로([[거제동서로]])가 임시 개통되었다. === 거제 - 창원 구간 === 이 구간은 2018년 완공 목표로 추진 중이었다. 완공 후에는 [[거제시]]와 [[창원시]](마산) 사이의 거리가 76km에서 35km로 줄어든다. 두 도시는 원래 바다를 마주보고 가까이 있지만 육상교통은 통영-고성-진동면을 돌아가야 해서 왕래 및 물류운송에 어려움이 많은 편이었다. 그래서 '거마대교' 또는 '이순신대교'라는 이름의 교량으로 추진되었으나, 진해만 조선소에서 출하되는 해양플랜트와 초대형선박이 드나들고 [[마산항]] 진출입 문제가 있어 해저터널로 변경됐다. 예산확보 문제와 [[거가대교]] 경합 및 수요감소를 우려한 [[부산광역시]]에서 반발해서 착공이 미뤄지고 있었다. 남마산~거제 구간을 이동하려면 비싸기로 유명한 [[거가대교]] 통행료를 지불할 필요없이 이 도로를 타고가면 되고 거기서 창원 [[성산구]] 및 [[진해구]] 방면으로 가려면 [[마창대교]]를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육지였다면 진작에 공사가 끝났을 것이지만 해상 구간인터라 착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지도에 보듯이 아직은 공백으로 끊겨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2019년이 다 갈 때까지 착공 소식은커녕 구체적 계획 발표도 나지 않았으나... '''2020년 1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으로 선정되어 다시 떠오르고 있다. 만일 반영된다면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될 예정.''' 게다가 가덕도 남부에 건설되는 [[가덕도신공항]]이 특별법으로 확정되면서 창원 서남부 지역 및 경남 서부권에서는 [[거가대교]]와 이 구간이 연계될 경우 공항 접근성이 훨씬 좋아진다. 이로 인해 예타의 사업성이 좋아질 뿐 아니라 거가대교 민자사업자측에서 제기되는 거가대교 경합으로 인한 수요 감소 문제 역시 가덕도공항 방향의 연계수요로 상쇄(혹은 수요 증가)되기 때문에 거가대교 사업자 측에서도 이 구간 사업에 대해서 더 이상 반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수십년간 개인소유인 민자와는 달리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되는 거마해저터널이 개통된다면 현재 일반 기준 평일 10000원, 주말/공휴일 8000원하는 거가대교 통행료가 최대 5000~6000원 선까지 낮아질수 있도록 요금개편에 상당한 압력을 받을것으로 보인다. 2019년부터 2021년 2월까지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간이 차례로 개통함에 따라 이 구간의 길이가 약 11.3km 단축되었다. === 창원 - 대구 구간 === [[중부내륙고속도로]]와 병주하는 구간이다. [[경남대로]]로 도로명이 부여되어 있고 왕복 4차로이다. 대부분 입체교차가 되어있고 창원 시내와 대구 시내를 벗어나면 선형이 고속도로보다 좋아서[* 내서-현풍간 중부내륙고속도로 본선에는 없는 터널이 국도에는 3개나 있다. 중부내륙지선에 2개가 있지만 이 구간을 병주하는 [[테크노폴리스로|여기는]] 터널이 6개나 있다.] 빠르게 달릴 수 있는 구간이다. 거제 - 창원 간 연결도로가 없는 지금은 실질적으로 이 구간이 시점이고, 현동교차로[* 2018년 당시 구산면 원전항 - 현동교차로 구간도 5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었다. 일부 구간은 과거 [[1002번 지방도]]였다.]에서 [[남해안대로]] ([[마창대교]]) 방면과 직결된다. 출퇴근시간이나 명절, 공휴일에는 창원시 내서읍부터 창녕군 남지읍까지 구간의 교통량이 많다. 단, 이국도는 칠북면에서 바로 도천면으로 가기 때문에 [[남지읍]]은 거치지 않는다. 남지읍으로 가려면 [[1040번 지방도]]와 [[1021번 지방도]]를 이용해야 한다. [[2021년]] [[2월 4일]] 거제 - 창원 해저터널의 초입부분인 창원시 구산면에서 현동까지 왕복 4차로가 완전 개통되었다.[* 일부 구간은 2020년 9월 부분개통하여 운행중이었다.] 현동교차로 ~ 현동IC(가칭)까지의 구간에서 [[2번 국도]]와 병주한다. 왕복 4차로의 [[비슬로]] 구간을 거쳐 대구 시내로 들어오면 [[월배로]], [[성당로]], [[서대구로]], [[칠곡중앙대로]]로[*대구과거노선 1996년 이전에는 [[성당로]]-[[명덕로(대구)|명덕로]]-[[달서로]]-[[고성로]]-[[팔달로(대구)|팔달로]]가 지정 노선이었다.] 이어진다. 대구의 서부 지역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왕복 6차로 이상으로 지어져 있다. === 대구 - 영주 구간 === 대구-안동 구간은 예전부터 통행량이 많아서 1988년 대구 - 가산 구간을 시작으로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다. 소위 구안국도(대'구'+'안'동)라 불리는 구간인데, [[도로명주소|도로명주소 부여사업]]에서 [[대구광역시]] 구간은 [[칠곡중앙대로]], [[경상북도]] 구간은 [[경북대로]]로 이름지어졌다. 실제 대구를 차로 주행하다 보면 5번 국도 방면이라고 적힌 곳에 '안동'이라고 적힌 것을 많이 볼 수 있을 것이다. 대구 시내 구간에서는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이 이 도로를 따라 설계되도록 계획중이다. [[안동시]]와 [[영주시]]를 잇는 구간도 왕복 4차로로 지어져있다. 대구부터 춘천까지는 [[중앙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지자체를 모두 경유한다.[* [[구미시]], [[예천군]] 제외. 참고로 구미시는 중앙고속도로가 지나가기만 하지 중앙고속도로 내에서 [[군위JC|군위 분기점]]이 일부 있는것 제외하고는 나들목과 휴게소가 없다. ] === 영주 - 원주 구간 === 산악 지대를 통과하는 구간으로 선형이 '''매우 나쁘다'''. [[죽령]]이나 [[원주시|치악재]] 등 크고 아름다운 고갯길들이 도사리고 있지만, 그만큼 경치는 좋다. 선형으로 따지자면 구 [[38번 국도]]가 조금 더 열악했지만 대부분의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고, 5번 국도는 아직도 열악하다는 점이 차이다. [[영주시]]와 [[단양군]]을 잇는 구간은 왕복 2차로이다. [[죽령]]을 넘는 구간인데, 영주 시내에서 [[희방사역]] 인근까지는 선형 개량이 되어 있지만 그 후 [[단양IC]] 교차로까지는 고갯길을 넘는 도로라 선형이 매우 불량하고, 급경사 구간이다. [[중앙고속도로]]와 정확히 동일한 구간을 주행하긴 한데, 고속도로는 [[죽령터널(중앙고속도로)|죽령터널]]로 한 번에 직선으로 이어주기 때문에 고속도로와 국도의 주행 시간 차이가 어마어마하다. 대강부터는 다시 왕복 4차로 도로다. 단양군 구간 중에서 신단양 시내와 가까운 곳은 [[상진대교]]가 있는데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새로 건설된 다리다. 그곳에는 수몰 전에 지어진 옛 상진대교의 흔적이 남아있다. 단양군 [[단양읍]]에서 [[매포읍]] 구간은 왕복 4차로이긴 하지만 제한 속도가 70km/h이다. 도로가 확장만 되어 있을 뿐 급커브 구간이 많아 고속 주행 시 매우 위험하다. [[제천시]]와 [[원주시]] 사이는 치악재를 통해 연결이 되어있는데, [[죽령]]구간에 비하면 매우 완만한 커브길로 되어있는 편. [[중앙고속도로]]와 병주한다. 어차피 중앙고속도로와 중부내륙지선(구마선)의 백업루트 정도의 기능에 지역간 소규모 이동량 정도만 처리하면 되므로 앞으로 이 구간에 대한 대대적인 확장공사는 기대하기 어려울 듯. 그나마 중앙선 폐선구간을 활용해 선형개량을 하는 곳은 있다. 대표적으로 [[신림면(원주)|신림]]-구학-[[봉양읍|봉양]]-제천 구간. 원주시내-치악재-신림 구간도 확장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명절 이용 꿀팁으로 최근 중앙고속도로의 원주-영주 구간은 명절에 한해 돌발적으로 어디에서 교통량이 증가하여 삽시간에 지정체구간이 늘어나 주차장이 되는 경우가 허다했고, 특히 죽령터널의 경우는 명절 단골로서 워낙 상습적인 구간이어서 귀경길 경험상 [[풍기IC]]부터 험준한 죽령 고갯길을 넘어서 쭉 [[북단양IC]]까지 올라가서 다시 중앙고속도로와 합류하면 시간 단축 효과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죽령도 막히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때는 저수령이나 마구령으로 우회해야 하는데 마구령은 '''왕복 1차로'''가 있어 우회도로로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적절치 않기 때문에 -- 차라리-- 저수령으로 우회하는 것이 낫다.] '''[[죽령]]은 [[삼국시대]]부터 유명한 험지[* 오죽하면 [[영주시|영주]] 쪽의 조선시대 선비들도 죽령을 경유할 시 죽죽 미끄러진다는 미신과 함께, 애초에 고개부터가 너무 험하다는 이유로 [[문경새재]]로 우회했으니 굳이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이므로 [[초보운전]]이나 자신의 운전 실력, [[멀미]]에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 여부를 생각해서 넘자. === 원주 - 춘천 구간 === [[춘천시]]와 [[홍천군]]을 잇는 구간은 왕복 2차로이다. 그 외는 왕복 4차로. 원주 구간은 원주 시가지의 동쪽을 크게 돌아 올라간다. 원래 북원로가 [[19번 국도]]와 5번 국도 중복 지정 구간이었으나 [[원주시]]를 크게 우회하는 원주국대도가 생기면서 5번 국도, 19번 국도, [[42번 국도]] 세개를 통째로 '''원주 국대도 구간으로 중복 지정'''했기 때문이다. 선녀골삼거리에서 원주국대도가 끝나고 다시 북원로가 5번, 19번 국도로 전환된 후 [[원주공항]]을 경유하여 [[횡성군]] 방향으로 이어진다. 횡성을 지나 [[홍천군]]을 거쳐 [[춘천시]]로 이어진다. 전 구간이 [[중앙고속도로]] 병주 구간이다. 과거에는 [[춘천시]]내를 둘러 가는 구간(학곡사거리~구.한방병원삼거리~로데오사거리~남부사거리~운교사거리~구.캠프페이지입구삼거리~사우사거리~용산교차로, [[영서로]]-공지로-춘천로-금강로-소양로)으로 있었으나, [[순환대로|우회도로]] 개통 이후 [[춘천시]]내로는 들어가지 않고 시가지 동쪽의 산악 지역을 우회하여 [[화천군]] 방향으로 향한다. [[춘천시]] - [[홍천군]] 구간은 고갯길이 많으나[* 원창고개, 모래재, 부사원고개.], 다른 곳에 비하면 험한 편은 아니다. [[홍천군]]-[[춘천시]] 간 확장공사는 계획되었으나 경제성 부족으로 아직 착공하지 않았다. [[http://www.cccouncil.go.kr/view.php?bid_=atv_speak&idx=182|#]] === 춘천 - 철원(구 [[김화군]] 지역) 구간 === 대부분의 구간이 왕복 2차로, [[춘천시]] 구간만 왕복 4차로이다. 최전방 지역으로 이 국도 주변으로 엄청난 수의 군부대가 있고, 군 차량들도 많이 통행한다. [[제102보충대대]]가 이 국도 선상에 있었으나, 춘천시 [[순환대로]]가 천전리에서 용산리로 연장이 되면서 국도 선형이 바뀌어 현재 제102보충대 앞 도로는 국도에서 지정해제 된 상태이다. [[춘천시]]-[[화천군]] 구간은 도로 확장 공사를 하고 있다. 원래 2017년 말에 착공하려고 했지만, 땅을 가진 [[서면(춘천)|서면]]·[[사북면]] 주민들의 반응이 썩 좋지 않은데다가 경제성 부족으로 예산이 늦게 들어와서 한동안 삽을 뜨지 못했다.[[https://m.youtube.com/watch?v=DJKlgNO_HXs|#]] 이후 2019년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며 2025년에 개통 예정이다. [[http://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760|#]] [[횡성군]]-[[철원군]](구 [[김화군]] 지역) 구간은 영서로로 명명되어 있는데, 이 구간이 너무 길기 때문에 [[홍천군]]-[[춘천시]] 경계에서 시작된 [[도로명주소]]의 건물번호가 철원군 근남면에 이르면 1만을 넘어간다. 최대 번호는 김화읍 읍내리 읍내삼거리의 10334. [[화천군|화천]] 마현리-[[철원군|철원]] 마현리를 지나는 말고개 일대는 [[군사분계선|휴전선]] 바로 남쪽을 아슬아슬하게 지나가는 관계로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안에 있는데, 주간[* 정확히는 일출 30분 전 ~ 일몰 30분 후]에는 해당 구간[* 정확히는 철원 용암삼거리에서 화천 윗마현리 마을까지]을 30분 안에 통과하는 조건으로 일반 차량도 출입할 수 있다. 야간에는 통행 불가능하므로 [[56번 국도]]의 수피령고개로 우회해야 한다. 철원군 김화읍의 용양삼거리 - 읍내삼거리 구간 역시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내에 있고, 이 구간은 민간인 통행이 제한된다. 읍내삼거리와 용양삼거리 각각은 접근이 가능한데, 두 구간 사이를 오갈 수가 없는 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영서로]] 상에 검문소가 이 두 교차로에 위치하고 있어서 지역 주민이 아니면 단순 통과라도 이 구간을 이용할 수 없다. 생창리에서 말고개 방면으로 가는 경우 민통선 통과 권한이 없는 민간인 차량은 김화읍 소재지까지 우회하여 이동해야 한다. 읍내삼거리 이북 구간 역시 허가 없이는 민간인 출입이 제한되어 있으며, 이 구간부터는 [[43번 국도]]와 중첩되어 북한 방향으로 이어진다. 읍내삼거리는 [[군사분계선]]에서 겨우 3km 떨어져 있어서, 민간인이 접근할 수 있는 국도 중 군사분계선과 가장 가까운 곳이기도 하다. 철원-화천 간 5번 국도([[영서로]])의 철원 쪽 진출입로 역할을 하던 [[호국로(경기도)|호국로]] 용암삼거리 ~ 신사곡교차로 1 km 구간이 2016년부터 [[지뢰]] 제거 작업으로 전면 폐쇄되었다. 공사가 지지부진해 2023년 현재까지도 통행할 수 없다. 용암삼거리를 통해 말고개로 가는 지름길이 막혔으므로, 더 북쪽의 용양삼거리로 크게 우회해야 한다. === --[[김화군]] - [[자성군]]-- === [[북한]] 구간이다. [[평강군]] 평강읍내에서 [[3번 국도]]와 만나며, 그 후 [[경원선]]을 따라 원산까지 간다. 원산에서 [[7번 국도]]와 합쳐졌다가 함흥에서 헤어지며, [[황초령]]을 넘으면서부터 [[개마고원]]을 지나 [[중강군|중강진]]까지 간다. == 고속도로 접속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경상북도 [[칠곡군]], [[군위군]], [[의성군]], 충청북도 [[단양군]], [[제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에서 [[중앙고속도로]]와 만난다. [[서산영덕고속도로]]와는 의성군에서 만난다. == 도로명 == 미개통-[[거제동서로]]-상동5길-[[거제중앙로]]-[[거제대로(거제)|거제대로]]-[[거제북로]]-장목리우회도로-[[거제북로]]-미개통-[[구산중앙로]]-[[남해안대로]]-[[경남대로]]-[[비슬로]]-[[월배로]]-[[성당로]]-[[두류공원로]]-[[서대구로]]-[[팔달로(대구)|팔달로]]-[[칠곡중앙대로]]-[[경북대로]]-[[죽령로]]-[[단양로]]-[[북부로(충청북도)|북부로]]-[[제원로]]-[[치악로]]-[[원주국도대체우회도로]]-[[북원로(원주)|북원로]]-[[횡성로]]-[[경강로]]-[[영서로]]-[[순환대로]]-[[영서로]]-[[생창길]] == 기타 ==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20364&page=|시내버스 타고 5번 국도 완주하는 법]][* 참고로 2011년 기준이라 현재와 노선이 다소 달라진 게 꽤 있는데 그래도 방법 자체는 여전히 유효하다.][* 이 방법은 지역시내버스가 파업중일 때 하지 않는 게 좋다.] ||||||||||||||||||||||||<:>5번 국도 직행 시외버스 정류소 목록|| ||||<:>지역||<:>정류장|| ||<|3><:>[[경상남도]]||<:>[[창원시]]||<:>[[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함안군]]||<:>칠원 || ||<:>[[창녕군]]||<:>[[남지시외버스터미널|남지]]·영산·[[창녕시외버스터미널|창녕]] || ||<|4><:>[[대구광역시]]||<:>[[달성군]]||<:>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 ||<:>[[남구(대구)|남구]]||<:>[[서부정류장]] || ||<:>[[서구(대구)|서구]]||<:>[[대구북부정류장]] || ||<:>[[군위군]]||<:>구효령 · [[효령정류소|효령]] ·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군위]] || ||<|3><:>[[경상북도]]||<:>[[의성군]]||<:>[[도리원시외버스정류장|도리원]]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 단촌|| ||<:>[[안동시]]||<:>일직 · [[안동터미널|안동]] · 옹천|| ||<:>[[영주시]]||<:>평은 · [[영주종합터미널|영주]] · [[풍기IC 터미널|풍기]]|| ||<|2><:>[[충청북도]] ||<:>[[단양군]]||<:>대강 · [[단양시외버스공영터미널|단양]] · 매포|| ||<:>[[제천시]]||<:>[[제천시외버스터미널|제천]] · 봉양 · 탁사정|| ||<|5><:>[[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신림 · [[원주종합버스터미널|원주]]|| ||<:>[[횡성군]]||<:>[[원주공항]] · [[횡성시외버스터미널|횡성]] · 공근|| ||<:>[[홍천군]]||<:>[[홍천터미널|홍천]] · 북방|| ||<:>[[춘천시]]||<:>동산 · [[국립춘천병원]] · [[춘천시외버스터미널|춘천]]|| ||<:>[[화천군]]||<:>[[화천공영버스터미널|화천]]||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동명교통]] 차고지 뒷편 일반도로에 옛 동명사거리 표지판으로 5번 국도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즉 예전 구간은 경북대로에서 금암중앙길로 갈라지는 무명교차로-동명초등학교-동명교통 차고지 뒷편도로(금암동석4길)-동명사거리 구간으로 확장공사하면서 이 구간을 우회한 것으로 보인다. * 2023년 7월 1일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에 따라 신설된 [[대구 버스 급행9|급행9번]]은 본 국도를 쭉 직진하지 않고, [[79번 지방도]]-[[919번 지방도]]로 우회한다. [[분류:5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