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4minute)] || {{{#000 '''The 7th Mini Album Act.7'''}}}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eeb11707234f384adf0736ec423b222cd39d868901de90eb2b915867982810f81ca7a50c2b431de5686d555f99f39f9004e4aa8245a4303fbec2f8fc687efbadd51f9e13eb0a331fc2ec4263b9b0f14f84597aa38382b796f3d54284edc7327.jpg|width=100%]]}}} || || {{{-2 왼쪽부터}}} [[허가윤|{{{#000 '''허가윤'''}}}]] '''·''' [[전지윤|{{{#000 '''전지윤'''}}}]] '''·''' [[현아|{{{#000 '''김현아'''}}}]] '''·''' [[남지현(1990)|{{{#000 '''남지현'''}}}]] '''·''' [[권소현|{{{#000 '''권소현'''}}}]]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2> [[파일:4minute 로고.svg|width=70]]||{{{#000 {{{+1 '''4MINUTE'''}}}[br]'''포미닛'''}}} ||}}} || ||<|2> '''데뷔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09년]] [[6월 18일]][br]{{{-2 (데뷔일로부터 '''[dday(2009-06-18)]일''', '''[age(2009-06-18)]주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0년]] [[5월 5일]][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0-05-05)]일''', '''[age(2010-05-05)]주년''')}}} || ||<|2> '''데뷔 음반'''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4 {{{#!html 디지털 싱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932; font-size: 0.8em" [[Hot Issue|{{{#fff '''Hot Issue'''}}}]]}}}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4 {{{#!html 싱글 1집}}}}}} [[4minute/음반 목록|{{{-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color: #dbdbdb" {{{#fff '''Muzik'''}}}}}}}}}]] || || '''활동 종료일''' ||<-2>[[2016년]] [[6월 16일]] || || '''유닛''' ||<-2>[[2YOON]] || || '''장르''' ||<-2>[[춤|댄스]], [[발라드]], [[일렉트로닉 뮤직]], [[힙합]] || || '''리더''' ||<-2>[[남지현(1990)|남지현]] || || '''소속사''' ||<-2>[[큐브엔터테인먼트]][br] {{{-2 (2009.06.18 ~ 2016.06.16)}}} || || '''팬덤''' ||<-2>[[4NIA]] || || '''공식 색''' ||<-2>{{{#000 '''펄 바이올렛 (Pearl Violet)'''}}} || || '''링크''' ||<-2>[[http://www.cubeent.co.kr/fourminute|[[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심볼.svg|width=25]]]] [[http://youtube.com/4minute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4minute.unitedcub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cafe.daum.net/4minute|[[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width=25]]]] [[http://channels.vlive.tv/FD639|[[파일:V LIVE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우리는 포미닛! 안녕하세요. 2009년 6월 18일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5인조 [[걸그룹]]. == 특징 == ## 나무위키 문서에서 '개요' 문단을 제외한 문단이 2개 이상 존재할 경우, '상세', '소개', '설명'이라는 문단명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우선합니다. '편집지침/일반 문서 3. 서술 우선 순위' 참고. 대부분의 걸그룹 노래가 "사랑 타령"인데 포미닛은 주로 힙합풍으로, "당당한 자신"이나 "내 주관대로", "내가 짱임" 같은 약간 반항기 있는 컨셉이 메인이다. 이 점이 [[2NE1]]과 겹치는데, Candy pop+Girl's Hiphop의 특성을 뚜렷히 보이며 2NE1에 비하면 좀 더 소녀스러운 이미지가 있다. 처음엔 여러 걸그룹이랑 유사하단 평이 많았지만, 독자적인 이미지를 구축하여 초창기 지적 받던 원더걸스, 애프터스쿨, 2NE1 등과는 확실한 차별화를 가진다. 앨범 수록곡에 사랑노래가 없는 건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가벼운 느낌을 준다. 일본 발매 싱글 'FIRST'가 대표적인 예. 그러다가 2009년 7월 2일 음악 방송 엠카운트다운 히어로즈 무대에서 원더걸스의 'Tell Me'를 재현했다. [[https://youtu.be/wqg9D_4JeWE|#1]][[https://youtu.be/rpCP_EX1MC8|#2]] 2000년대 후반에 데뷔한 걸그룹 중 탈퇴 멤버나 불화가 잘 없는 팀 중 하나이다. 대개 이시기에 데뷔한 걸그룹은 약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소녀시대|탈퇴멤버]]들이 생기거나 [[시크릿(아이돌)|멤버간 불화설]]이 생기기도 하는데 포미닛은 사실 데뷔 당시 "현아 걸그룹"의 이미지 때문에 가장 먼저 불화가 생길 것으로 팬덤 사이에서 예측되기도 했으나 의외로 오랜 기간동안 매년 한번씩은 단체로 앨범을 뽑아내면서 음방에 나와 꾸준하게 활동했었다. 포미닛은 그 비결로 "멤버가 전부 성격이 모나지 않고, 소심하게 삐져있는 경우가 없으며, 기분나쁘면 그때그때 다 풀고 이야기한다" 라고 언급했다.[[http://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16020401540&Dep0=www.google.co.kr|##]] 현재 2016년 6월 16일, 나머지 멤버들의 재계약 결렬이 확정되었다. 현아를 제외한 나머지 4명이 재계약하지 않았지만 이 중 [[전지윤]]은 가수로서 활동을 계속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전지윤을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은 아쉽지만 가수 생활을 정리하고 배우 등으로 전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아도 같은 소속사였던 이던과 함께 2018년 10월 15일에 큐브와의 인연을 끝냈다. 그리고 멤버 대다수가 배우로 전향했다. 지상파 음악방송에서는 유일하게 [[뮤직뱅크]]에서 1위를 못했다.[* 동생그룹인 [[CLC]]도 역시 [[뮤직뱅크]] 1위를 못했지만(이쪽은 아예 [[더 쇼]] 1위만 해봤다.) 2018년 데뷔 [[(여자)아이들]]의 경우 2020년 4월 17일을 기준으로 [[뮤직뱅크]] 1위를 했다. 또한 같은 소속사였고 솔로가수였던 지나는 ~~방송점수를 무지막지하게 때려박긴 했으나~~ 무려 4곡이나 뮤직뱅크 1위를 했다.] 자세한 내용은 밑에 문단에 후술. == 멤버 == ||<-5> [[파일:4minute 로고.svg|width=5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남지현(1990)|[[파일:Act. 7 JIHYU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허가윤|[[파일:Act. 7 GAYOO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전지윤|[[파일:Act. 7 JIYOO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현아|[[파일:Act. 7 HYUN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권소현|[[파일:Act. 7 SOHYUN.jpg|width=100%]]]]}}} || || '''[[남지현(1990)|{{{#000 남지현}}}]]''' || '''[[허가윤|{{{#000 허가윤}}}]]''' || '''[[전지윤|{{{#000 전지윤}}}]]''' || '''[[현아|{{{#000 김현아}}}]]''' || '''[[권소현|{{{#000 권소현}}}]]'''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0. 01. 09. ([age(1990-01-09)]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리더'''[br]서브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0. 05. 18. ([age(1990-05-18)]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메인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0. 10. 15. ([age(1990-10-15)]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리드보컬[br]리드래퍼[br]리드댄서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2. 06. 06. ([age(1992-06-06)]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서브보컬[br]'''메인래퍼'''[br]'''메인댄서'''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4. 08. 30. ([age(1994-08-30)]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서브보컬[br]서브래퍼 || == 활동 == === 2009년 === 2009년 6월 18일 Mnet 엠카운트다운에서 데뷔곡 "Hot Issue"(디지털 싱글)로 데뷔했다. 데뷔 후 한동안 현아가 업어 키웠지만(...), 2009년 첫 미니앨범의 타이틀곡 'Muzik'으로 컴백하면서 슬슬 포미닛만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시작한다. 2009년 10월 15일 플레이큐브(現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신생그룹 [[비스트(아이돌)|비스트]]의 쇼케이스에서 'For Muzik'의 4번트랙 'What a girl wants'로 컴백한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스쿨룩'''이다! 하지만 이곡은 전곡들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냐 하면 [[주간 아이돌]] 현아편에서 절친 정형돈이 "나는 현아가 섹시하기 보다는 귀여운데 귀여운거 한번 해봤으면 좋겠다." 라고 했을때 현아가 "했잖아요." 라고 하며 이 노래를 언급했는데, 정형돈, [[데프콘(가수)|데프콘]] 둘 다 '전혀' 몰랐다라는 반응이 나왔다.] 갑작스런 컨셉 변화 시도는 안 좋다는 걸 소속사 측에서 깨달았는지 금방 활동 정리하고 들어갔다. 2009년 12월엔 [[마리오(한국 가수)|마리오]], 에이맨과 같이 작업한 크리스마스 캐롤 '징글징글'을 발표했다. 하지만 과도한 오토튠의 사용으로 인한 거부감을 불러 일으켜 '잘 안됐다.'(2010년 12월 19일 꽃다발에서 직접 언급) === 2010년 === 그리고 2010년 1월 13일에 [[유니버설 뮤직 그룹]]과의 제휴가 효과 있는지 대만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가수' [[SUPER JUNIOR|슈퍼주니어]]와 [[소녀시대]]를 제치고 대만에서 가장 공신력있는 차트에서 1위를 했다. [* 우리나라의 [[멜론]]과 같은 곳으로 추측.] 기사에서는 대만에서 활동을 전혀 안 했는데 이는 장기간 1위를 지키고 있던 소녀시대와 슈퍼주니어를 제친 결과여서 포미닛의 아시아 활동에 거는 기대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2010년 2월 18일 일본 진출을 선언했다. 'Muzik'를 일본어로 녹음 했다는 걸 보면 단순한 앨범 발매는 아닌듯. 일본어판 뮤직비디오도 촬영했으며 일본판 뮤비의 경우에는 편집이 한국판보다는 자연스러운 편. 음율때문인지는 몰라도 가사의 세세한 내용을 손봤다. 물론 전체적인 맥락에서는 한국판과 차이는 없다. 근데 하필이면 굉장한 푸시를 받으며 일본 진출을 한 [[카라]]와 동시기에 활동하게 되어서... 그래도 [[현아|패왕색기]]는 열도에서도 먹히는 모양이다. 2010년 5월 2번째 미니앨범으로 컴백. 타이틀곡은 'HUH'. 근데 하필이면 [[원더걸스]]도 이 무렵 복귀한다. 하지만 더 큰 시련이 닥쳐왔으니 그 시기에는 [[원더걸스]] 뿐만 아니라 팬덤과 음반판매량 최강자인 슈퍼주니어와 [[SS501(아이돌)|SS501]] 그리고 2010년 최고의 신인 [[씨엔블루]]와 또다른 음원강자 [[다비치]]와 [[아이유]]가 활동 중이거나 컴백하면서 포미닛 입장에선 역대 최악의 대진상대를 만나게 되었다. 물론 이때까지는 아이유는 '''그렇게까지 인기있지는 않았지만'''... 저 정도 대진상대라면 [[2NE1]]도 버거워보일듯. 본격적인 정면대결을 펼친다. 허나 이 시기에 워낙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하는 난전이었기에 누가 어떻게 이겼다... 라고 판단하기엔 어렵다. 결국 두 팀 다 지상파 1위는 실패. 그나마 음원이 강하다는 원더걸스마저도 음원 강자들과 경쟁하느라 음원 점유율이 깎여버린 상태에서 인기가요에선 슈퍼주니어에게, 뮤직뱅크에선 SS501에 밀려 지상파 1위를 못했는데 포미닛이야 뭐 더이상 설명 생략. 더구나 이젠 워낙 다른 색깔을 띄게 된 두 그룹이라...다만 원더걸스의 위세 하락과 포미닛의 인기 상승으로 이젠 비등비등 하다는 느낌인 듯. 음원차트에서는 [[원더걸스]]의 압승이었다. 여기서 비등비등하다는 것은 곡의 인지도정도..? 이후 후속곡 'I MY ME MINE'으로 활동한 뒤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서 활동 중이다. [[슈퍼스타K2|슈퍼스타K 시즌2]]의 주제곡중 하나인 '슈퍼스타'를 발표하기도 했다. 2010년 5월 28일 뮤직뱅크에서는 웬만해선 다른 걸그룹들은 엄두도 못 낸다는 '''앞에서 공격하고 뒤에서 서포트 해주는 환상적인 팀플레이'''를 선보이며 방송이후 팬들과 네티즌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날 이후 네이버 검색어에 남지현과 허가윤을 치면 연관검색어에 그것(?)이 따라 붙었고 포미닛을 치면 연관검색어에 슴미닛이 따라붙었다. 또 6월 12일 음악중심에서는 폐차장에서 야외공연 하는등 희대(?)의 레전드급 무대를보여주기도 했었다. 1년뒤에는 [[써니힐]]도 폐차장에서 야외무대를 했었다. 물론 써니힐은 야간촬영. 음악중심은 다른 가요프로그램과는 다르게 야외공연도 하는 편인데 간혹 레전드급의 야외 무대가 탄생한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노라조]]의 수산시장 [[고등어(노라조)|고등어]], '''소녀시대의 옥상 헬기장 [[소원을 말해봐]]'''[* 역대 음악중심 시청률 1위 무대일 만큼 전설적인 무대이며, 최전성기 소녀시대의 위엄을 드러내는 무대이다.], 레인보우의 분수대 [[A(레인보우)|A]], [[남녀공학(아이돌)|남녀공학]]의 [[광화문광장]] 삐리뽐 빼리뽐 등등. 2010년 10월 출연한 일본방송에서 적은 분량으로 '''포미닛 병풍''' 논란을 일으켰다. 야외에서 진행된 요리 프로그램 이었는데 처음 10초 정도 춤추다 바로 요리만드는 장면으로 넘어가고 그후 쭉 뒤에 서서 구경한다. 인터넷을 통해 퍼진 동영상이 실로 병풍스러웠기 때문에 소속사에서 해명자료를 낼 정도였다. 본격 하드코어돌로 아이덴티티를 확실히 했기에, 당분간은 이 노선을 쭉 타게 될 듯 하다... 그 때문인지 컴백할 때마다 멤버들의 패왕색기가 갈수록 진해지는 듯도 하고(...) 이상하리만큼 지상파에서 약한 모습을 보인다. 엠카나 인터넷 차트에서는 곧잘 1위나 상위권을 잘 먹는것에 비해, 포미닛은 2009년 Muzik이 인기가요 1위를 했고 1위를 한 건 단 한 주였으니 지상파 차트에 상당히 약한 모습을 보인다. === 2011년 === 멤버 전부가 화장했을때와 맨얼굴의 갭이 엄청나다고 한다(..) ~~맨얼굴로는 범접하지 못할 일반인 포스를 내뿜는다 [[카더라]]..~~ 성형을 한번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다고.. MBC의 [[꽃다발(MBC)|꽃다발]]에 출연했을때 다른 패널들이 그것에 대해서 언급하기도 했다. 2011년 초반 일본 가수인 [[아오야마 테루마]]와 같이 일본어랑 영어 노래버전이 WITHOUT U를 불렀다. 타이틀곡 '거울아 거울아'로 활동 중 안무가 선정성 논란에 휩싸였다. --[[http://blog.naver.com/try4me/20158122643|주변을 살피고 보자]]-- 소속사 측에서는 '수정 계획이 없다'고 밝혔으나, [[KBS]] [[뮤직뱅크]]가 포미닛을 비롯한 걸그룹들의 '쩍벌춤'을 단속하겠다고 밝혔다. 2011년 4월 21일 엠카에서 포미닛 사상 4번째로 1위를 했다. 당연히 대성통곡... 그런데 막내가 마이크를 잡은채로 서럽게 우는 바람에 소감내내 처절한 통곡이 방송에 나갔다는.... 그런데 소속사에서 '거울아 거울아' 앨범판매순위를 올리기 위해 엄청난 사재기를 했다는 의혹이 나와서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높게 나오는 1주차 판매량(초동)이 1500장 전후였고 2주차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3주차 목요일부터 갑자기 하루에 3천장에 육박하는 판매량을 보이며 일요일까지 4일동안만 1만장 이상을 팔았다. 그리고 4주차인 월요일엔 일간 판매량 30위에도 들지 못 했다. 30장 정도 판 듯...1/100의 낙폭. 단순한 판매량 상승이 아니라 판매량의 상승 패턴 등 정황상 의심되는 부분은 많으나 어차피 증거가 없으니 묻혔다. 거기다 결국 1위도 못 했다. 1위 후보에는 올랐지만 그 주 뮤직뱅크 1위는 f(x). 첫 지상파 1위가 걸려있었던 f(x) 팬들도 많이 절박했다. 게다가 포미닛은 지지리도 운도 없게 컴백한 시기는 항상 대형급 가수들이 줄줄이 컴백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씨엔블루]], [[BIGBANG|빅뱅]], [[김태우(god)|김태우]], [[f(x)]]사이에서 샌드위치 신세로 전락. 더 아쉬운건 가온 차트에서 다운로드 4월 월간 1위했고 종합 [[홍진호|2위]]했는데도 실패... 참고로 선공개곡인 Heart To Heart는 가온차트 기준 다운로드 월간 5위에 종합 8위. 그나마 골든디스크 음원본상, 서울가요대상 본상을 받은건 위안거리.. 2011년 8월부터는 온라인 게임 [[프리스타일]]의 광고 모델로 활동하고 있었으며 게임 내 캐릭터로도 등장했다. [[파일:/image/213/2011/08/04/20110804_1312426266_89108900_1.jpg|width=450]] === 2012년 === 2012년 4월 3번째 미니앨범으로 컴백. 타이틀곡은 'Volume Up'. 뱀파이어 컨셉을 잡고 나왔다. 뮤직비디오에서 허가윤은 직접 뱀을 몸에 둘렀다고 한다. 이후 인터뷰에서 뱀을 몸에 두르고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는데 겁이 안났느냐고 하는 질문에 허가윤은 오히려 좋았다고 대답했다....;; 이번에도 [[씨스타]]에게 밀려 아쉽게도 1위는 실패. === 2013년 === 제2의 전성기를 맞다. 그리고 2013년 1월... 투윤(허가윤+전지윤) 유닛 활동이 시작되었다. [[2YOON]] 항목 참조. 2013년 4월 26일 네번째 미니앨범 'Name Is 4minute'으로 컴백하였다. 타이틀 곡은 ~~[[도지삽니다|도지사송]]~~ '이름이 뭐예요?'. 계속 작업을 같이 해오던 [[신사동 호랭이]]대신 [[용감한 형제]]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매번 컴백 타이밍에서 삽질을 해왔던 전통을 이어가듯이 경쟁자라고 볼 수 있는 [[시크릿(아이돌)|시크릿]], [[티아라(아이돌)|티아라]]등의 아이돌은 물론이고 [[싸이]]에다가 끝판대장 [[조용필]]까지 활동기간이 겹쳤다. 그럼에도 2013년 5월 9일 [[엠 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차지했고, 5월 11일 [[쇼! 음악중심]]에서는 [[로이킴]]과 1위후보로 접전을 벌였지만 1위를 [[로이킴]]에게 내주고 만다. 5월 16일 엠카운트다운에서 시크릿을 누르고 2주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음반을 발표한지 한달이 다 되어가는 5월 18일 현재까지도 멜론차트 1위를 계속 고수하고 있다. 음반사재기등을 주장했던 안티들의 주장도 잠잠해져가는 가운데 5월 19일 [[SBS 인기가요]]에서 ~~드디어~~ 지상파 사상 두번째로 1위를 차지했다. ~~하늘도 울고, 땅도 울고, 포니아도 울고 포미닛도 울었다.~~ 다음주인 5월 26일에도 인기가요에서 10000점을 넘기며 1위를 하였다. 음반을 낸지 정확히 한달만에 [[쇼 챔피언]]에서 3회, [[엠 카운트다운]]에서 2회, [[SBS 인기가요]]에서 2회 등 총 7회 1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5월 26일 현재까지도 멜론차트에서는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다. 포미닛 까는 용도로 쓰이던 아래 짤방은 이제 용도 폐기 될 듯. [[파일:attachment/4minute/포미닛1위짤.gif]] === 2014년 === 엠넷 音담패설에서 밝히기로 수익에 대해서는 계약상 3년간은 단체 정산을 하고 그 뒤로 개인 정산을 한다고 한다. 미국 빌보드 차트는 포미닛 데뷔 5주년을 맞아 뮤직비디오 5편을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2D&sid1=106&sid2=221&oid=109&aid=0002837704|선정했다]]. 그런데..... [[파일:a9PhZtz.jpg]] 2014년 10월 17일, 판교에서 야외 공연를 하던 중 [[환풍구]]에 올라가서 공연을 지켜보던 관객들이 환풍구 뚜껑이 무너지는 바람에 추락해서 사상자가 다수 나온 [[판교테크노밸리 축제 환풍구 붕괴 사고]]가 일어났다. [[http://www.ytn.co.kr/_ln/0103_201410171853405224|#]] 포미닛 공연중 사고가 일어난 게 강조되어서 본의 아니게 피해를 봤다. '''물론, 포미닛이 잘못한 것은 하나도 없다.''' === 2015년 === 연초에 미니앨범 'Crazy'를 발표, 타이틀곡 '미쳐'로 활동했다. 포미닛에 어울리는 센 컨셉이라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전지윤은 매생이 언니라는 별명을...~~ 타이틀곡인 '미쳐'가 [[Knife Party]]의 'Boss Mode'라는 곡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었다. 당시 SAVANT가 [[Knife Party]]의 롭 스와이어에게 "한국이 네 노래를 훔쳤어... 안됐네 ㅎㅎ" 라고 트윗했으나 롭 스와이어는 "Boss Mode?? '그렇게 들리진 않는데 :S 아마 레퍼런스 같은거겠지.", "표절이라고 해도 문제제기 할 생각은 없는데" 라고 답글을 올리며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여 표절논란은 일단락 되었다. 3월 17일 발매된 [[배틀필드 하드라인]]에 '이름이 뭐에요?'와 'HUH'가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근데 그 망할 노래좀 끌 수 없냐는 대사가 나오는 건 함정-- 상반기 이후에는 그룹 활동보다는 각자 연기, 솔로음반 등[* 허가윤은 [[식샤를 합시다 2]]에 출연했고 현아는 솔로활동, 전지윤은 언프리티랩스타 2에 출연중.] 개인활동을 활발히 하는 중. === 2016년 === 1월 20일 약 1년 여의 공백을 깨고 2016년 2월 1일 컴백을 한 장의 티져 사진과 함께 예고했다. 컨셉은 '미쳐'에 이어 '걸크러시'라고 전해지고 있으며, 앨범명은 'ACT.7' 으로 7번째 미니앨범이라고 한다. 2016년 1월 21일 멤버별 티저사진 각 한장과 단체 티저 사진 한 장이 공개되었다. 2월 1일에 7번째 미니앨범 'ACT.7'이 발표되었으며 타이틀곡은 '싫어'로 싫어의 inst.까지 총 5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외 유명 EDM 아티스트인 [[Skrillex]]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그리고 이 앨범을 끝으로 '포미닛'이라는 걸그룹은 7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으며, 그 멤버 가운데 [[현아]]만 큐브와 재계약했다. 나머지는 재계약을 논의 중이었으나([[https://entertain.v.daum.net/v/20160613085411951|연합뉴스 보도]]) 결국 결렬되면서 소속사를 떠나게 됐다. 따라서 이 앨범이 포미닛의 마지막 앨범이 되었다. 해체 이유는 멤버들이 서로 하고 싶은 것들(연기, 춤, 방송 등)이 달랐고, 그로 인해 의견 차이로 수 개월 동안 고민하다가 회사 내에서는 더 이상 의견 차이로 그룹을 원활히 존속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여 해체했다고 밝혔다. 재계약 관련 기사가 쏟아지는 6월 13일 현재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3065172|세계일보 보도]]와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96&aid=0000393294|스포츠월드 보도]]에서 그룹 활동 중단과 관련된 이유에 대해 다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016년 6월 16일, 나머지 멤버들의 재계약 결렬이 확정되며 완전히 해체됐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533655&gid=999339&cid=1018009|기사]] 이는 큐브를 인수했던 IHQ의 입김이 컸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HQ는 2013년 거액을 들여 큐브를 인수했지만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고, [[CLC]]가 데뷔한 이상 걸그룹은 [[CLC]]에 집중하려고 한 듯.--근데 [[CLC]]는 못 뜨고 해체했다.....-- 여기에 포미닛은 거의 "현아와 아이들" 수준의 원맨 그룹화라는 꼬리표를 끝내 벗어버리지 못했고, 현아가 가장 큰 수익을 올려 주는 이상, 나머지 멤버와는 재계약이 필요없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 하지만 현아도 2년 후인 2018년 10월 개인사정[* [[펜타곤(아이돌)|펜타곤]] [[던(가수)|이던]]과의 연애.]으로 큐브를 떠났다. 한편, 이후 [[SNS]] [[인스타그램]]에서 현아를 제외한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606170920241132&ext=na|포미닛 멤버들이 현아를 언팔로우했다는 소식]]이 들려 불화설이 대두되기도 했다.[* 아마도 재계약 건 때문에 사이가 악화된 듯하다. 현아만 빠져나왔으면 [[신화(아이돌)|신화]]나 [[비스트(아이돌)|비스트]]처럼 다른 소속사로 그대로 옮겨서 포미닛으로 활동할 수 있는데, 현아만 큐브와 재계약하면서 그게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2016년 8월 경, 현아가 새 솔로 앨범을 들고 나옴과 동시에 인터뷰에서 다소 횡설수설한 모습을 보였다. 문제의 내용이 현재는 해체된 포미닛에 대한 것으로 "다른 포미닛 멤버들이 봐도 (해체에 대해 언급하는 게) 싫을 것"이라며 언급하면서 눈물을 보였다. 이건 불화설이란 말이 아니라 다른 멤버들은 입장을 낼 수 없는 위치에 있지만 자기가 이렇게 말해서 미안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인터뷰끝나고 주위사람들에게 "인터뷰 하기 싫다고 했잖아"라고 하며 울었다. 아무말도 하기싫은데 억지로 인터뷰를 한 모양. [[https://youtu.be/qAMuwB2PabY]] 어쨌든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아육대]]에 나올 때마다 포미닛이 명장면을 보여 준 양궁도 팀 해체를 선언하면서 포미닛의 퇴장과 함께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6년|2016 설날 아육대]] 준결승에서 [[EXID]]에게 패해 탈락한 것이 마지막이 되고 말았다.--[[전지윤]]의 연속 4점은 덤-- 2017년 11월 5일 '미쳐'의 뮤직비디오가 1억뷰를 달성하게되었다. 이로써 '''포미닛은 3대 기획사가 아닌 걸그룹 중 최초로 1억뷰를 달성'''함과 동시에 해체한 그룹 중 최초로 1억뷰를 달성한 그룹이 되었다. 현재 큐브와 재계약하지 않은 나머지 4명 중 현재 [[전지윤]]만 가수로서 활동을 계속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소속사와 계약뒤 11월에 본인이 작사 작곡한 새 앨범을 선보였다.] 나머지는 아쉽지만 가수 생활을 정리하고 배우 등으로 전향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대구대학교]] 축제행사 공연을 마지막으로 공식적인 일정이 마무리 되었다. == [[/음반 목록|음반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4minute/음반 목록)] == 활동 == === 콘서트 === ||<-4> '''{{{#black 포미닛 단독 콘서트 목록}}}''' || || {{{#white '''콘서트명'''}}} || {{{#white '''날짜'''}}} || {{{#white '''장소'''}}} || {{{#white '''동원 인원'''}}} || || 4Minute LIVE Energy Vol.1 MUZIK || 2010년 5월 8일 || 일본 도쿄 제프 도쿄 || 약 2,000명 || || 4Minute LIVE Energy Vol.2 DIAMOND || 2010년 12월 4일 || 일본 도쿄 제프 도쿄 || 약 4,000명 || || 4Minute LIVE Energy Vol.2 DIAMOND || 2010년 12월 5일 || 일본 오사카 도지마 홀 || 약 4,000명 || || 4Minute Volume Up Party || 2012년 10월 31일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 || 4Minute LIVE PARTY ROCK Concert in Sydney || 2013년 9월 1일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메트로 씨어터 시드니 || 약 1,000명 || || 4Minute Fan Bash in Barcelona 2014 || 2014년 5월 23일 || 스페인 바르셀로나 Club Razzmatazz || 약 1,000명 || || 4Minute Fan Bash in Stockholm 2014 || 2014년 5월 25일 || 스웨덴 스톡홀름 데바세르 메디스 || 약 1,000명 || || 4Minute Fanbash in Myanmar || 2015년 4월 4일 || 미얀마 양곤 이벤트 파크 || 약 7,000명 || ||<-4> '''{{{#black 포미닛 팬미팅 목록}}}''' || || {{{#white '''콘서트명'''}}} || {{{#white '''날짜'''}}} || {{{#white '''장소'''}}} || {{{#white '''기타'''}}} || || 공식 팬클럽 포니아 1기의 창단식 겸 팬미팅 || 2010년 6월 6일 || 서울 삼성동 섬유센터 || || || 우리집에 놀러와 || 2015년 9월 19일 || 서울 [[백암아트홀]] || || || 4MINUTE FAN BASH in LATIN AMERICA || 2015년 11월 12일 || 아르헨티나 LUNA PARK || || === 출연 작품 === ==== 방송출연 ==== * MTV 포미닛(MTV)[br][[파일:external/sstatic.naver.net/86587.jpg]][br]: 2009년 포미닛의 데뷔와 함께 방송. 앨범 준비하는 과정,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기 직전의 대기실, 숙소 등을 카메라가 따라다니면서 촬영. * 포미닛의 친구데이(MTV)[br][[파일:external/mtv-co-kr.mtvnimages.com/400x300.jpg|width=250]][br]: 2010년 6월 26일~7월 17일 방송. 포미닛이 진정한 친구(...)를 찾아 떠나는 컨셉의 프로그램. * [[꽃다발(MBC)|꽃다발]](MBC)[br]: [[시크릿(아이돌)|시크릿]]과 함께 고정 패널. 2011년 5월에 폐지. * 포미닛의 올인(SBS funE): 2010년 8월 20일 방송. * 포미닛의 Mr. 티쳐(ETV)[br][[파일:external/pbs.twimg.com/____400x400.jpg|width=250]][br]: 2011년 1월 19일부터 2011년 3월 16일까지 방영. 총 9회. 포미닛이 대만,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를 다니면서 촬영하는 프로그램. 각 나라마다 포미닛에게 선생이 한 명씩 배정되고 이 선생이 낸 문제를 포미닛이 푸는 형식이다. 만약 문제를 풀지 못하면 부채춤(...)이 벌칙으로 주어진다. * BOOM the K-POP(Mnet): 2011년 7월 15일~9월 22일 방송. * 포미닛의 트래블메이커(QTV): 2012년 7월 18일~9월 5일 방송. * 포미닛의 비디오[br][[파일:external/sstatic.naver.net/57_2782702_poster_image_1436171200223.jpg]][br]: 전 13부작으로 2015년 7월 6일~10월 12일까지 방송. 포미닛을 위한 포미닛에 의한 포미닛의 극사실주의 관찰 동영상 ==== 라디오 ==== * 2016년 4월 27일~8월 24일 [[KBS 2FM]] [[키스 더 라디오|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 [[권소현]] ==== 영화 및 드라마 ==== * 2009년 [[MBC]] 일일시트콤 [[지붕뚫고 하이킥|지붕뚫고 하이킥!]] 서운대 홍보물 표지 (본인) 역(특별출연) - [[현아|김현아]] * 2010년 [[MBC]] 일일시트콤 [[지붕뚫고 하이킥|지붕뚫고 하이킥!]] 그룹 스키니 멤버 역(특별출연) - [[남지현(1990)|남지현]], [[허가윤]], [[전지윤]], [[권소현]] * 2010년 영화 《[[심야의 FM]]》 옆 스튜디오 게스트 역(특별출연) - [[남지현(1990)|남지현]], [[현아|김현아]] * 2010년~2011년 [[SBS]] 월화드라마 괜찮아, 아빠딸 신선해 역 - [[남지현(1990)|남지현]] * 2011년~2012년 [[MBC]] 주말드라마 천 번의 입맞춤 장수아 역 - [[남지현(1990)|남지현]] * 2011년 [[MBC]] 수목드라마 [[나도 꽃|나도, 꽃!]] 고3 수험생 역(특별출연) - [[허가윤]] * 2012년 [[MBC]] 월화드라마 [[빛과 그림자]] 유현경 역 - [[허가윤]] * 2012년 [[채널A]] 주말드라마 [[판다양과 고슴도치]] 남지현 역(특별출연) - [[남지현(1990)|남지현]] * 2012년 [[tvN]] 수목드라마 [[제3병원]] 여가수 역(특별출연) - [[남지현(1990)|남지현]] * 2013년 [[KBS2]] 금요드라마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사랑과 전쟁 2]] - 아이돌 특집 서영 역 - [[남지현(1990)|남지현]] * 2013년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내 친구는 아직 살아있다 치현 누나 역(특별출연) - [[허가윤]] * 2013년 [[Mnet]] 금요드라마 [[몬스타]] 스텔라 역(특별출연) - [[남지현(1990)|남지현]] * 2013년 Daum 스토리볼 웹드라마 러브포텐 - 순정의 시대 윤민아 역 - [[남지현(1990)|남지현]] * 2014년 [[tvN]] 금토드라마 [[연애 말고 결혼]] 소개팅녀 역(특별출연) - [[남지현(1990)|남지현]] * 2014년 영화 《황구》신미수 역 - [[권소현]] * 2014년 [[네이버TV]] 웹드라마 꿈꾸는 대표님 한꿈 역 - [[전지윤]] * 2014년 [[네이버TV]] 웹드라마 연애세포 서린 역 - [[남지현(1990)|남지현]] * 2014년 영화 《레디액션 청춘 - 훈련소 가는 길》 승아 역 - [[남지현(1990)|남지현]] * 2015년 [[tvN]] 월화드라마 [[식샤를 합시다 2]] 홍민아 역(특별출연) - [[허가윤]] * 2015년 [[네이버TV]] 웹드라마 그녀는 200살 민세연 역 - [[남지현(1990)|남지현]] * 2016년 영화 《프랑스 영화처럼 - A time to leave》 - [[전지윤]] ==== 뮤지컬 ==== * 2012년~2013년 뮤지컬 내사랑 내곁에 복희 역 - [[전지윤]] === CF === * TBJ 의류 브랜드 * 온세텔레콤 1677 콜렉트콜 * 슈마커 [kakaotv(26905876)] * 뿌까 브랜드 * 소니(SONY) 워크맨 X (WALKMAN X)> MP3 * 다사랑치킨 -- 포미닛도 [[치킨]]CF를...!!!-- * 우리달걀먹기 캠페인 [kakaotv(20491222)] * 녹차베지밀 [kakaotv(21104349)] * 메타콘> 아이스크림 * 아리얼 화장품 브랜드 * SK텔레콤T 캠페인 * Scotch Puree (태국) 음료수 * 대구방문의 해 [kakaotv(28393518)] * 프리스타일 게임 * 삼성 갤럭시 S III 스타디움 캠페인 * 처음처럼 소주([[현아]]) * 삼성그룹 La' Fleur (태국) 휴대폰 * BBQ 치킨([[현아]]) * 넥슨 서든어택 게임 * 서울우유협동조합 쉐이킹 [kakaotv(50544346)] * 비달사순 고데기([[허가윤]]) * 몬스터길들이기 게임 * [[KG모빌리티|쌍용자동차]] [[코란도 투리스모]] [kakaotv(60774262)] * 토니모리 화장품([[현아]]) * 탈렌트 화장품 * 미니스톱 포미닛 음료수 * 비포앤애프터바이오 화장품([[남지현(1990)|남지현]]) * 횡행모험왕 (중국) 게임 * 딜라이브([[현아]]) === 홍보대사 === * [[2009년]] [[7월]] 서울캐릭터 라이선싱페어 2009 홍보대사 * [[2009년]] [[11월]] 한국철도시설공단 홍보대사 * [[2009년]] [[12월]] 달걀 홍보대사 * [[2010년]] [[12월]] 2011 대구방문의 해 홍보대사 * [[2011년]] [[6월]] 나눔홀씨 홍보대사 * [[2011년]] [[7월]] 한국공항공사 홍보대사 * [[2012년]] [[3월]] F1 코리아 그랑프리 홍보대사 * [[2012년]] [[5월]] 한국소아당뇨인협회 홍보대사 * [[2013년]] [[7월]] 희망서울 홍보대사 * [[2013년]] [[11월]] [[헝거게임|헝거게임: 캣칭 파이어]] 홍보대사 * [[2015년]] [[3월]] 대한민국 국군 29초 영화제 홍보대사 * [[2015년]] [[9월]] [[메이즈 러너: 스코치 트라이얼]] 홍보대사 * [[2016년]] [[5월]] 세계인의 날 홍보대사 == 수상 목록 == === 시상식 === ||
{{{#fff '''연도'''}}} || {{{#fff '''시상식명'''}}} || {{{#fff '''수상 부문'''}}} || ||<|4> 2009년 || 한국콘텐츠진흥원 루키 뮤직 어워드 || 신인 음반 부문 선정 || || 제36회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 6월의 Rookie of the Month || || [[SBS]] [[인기가요]] || 8월의 파워루키 || || 제24회 [[골든디스크어워즈|골든디스크 시상식]] || Samsung YEPP 신인상 || ||<|5> 2010년 || 제16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 여자 신인 가수상 || || 아시아 모델상 시상식 || BBF 인기가수상 || || 유니버설뮤직 || 골든디스크상 || || [[Mnet 20's Choice]] || 가장 영향력 있는 스타 20인 || || [[아시아송 페스티벌]] || 아시아 인플루엔셜 아티스트상 || ||<|2> 2011년 || 제20회 [[서울가요대상|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빌보드 재팬 뮤직 어워드 2010 || K-POP 뉴 아티스트상 || ||<|3> 2012년 || 제26회 [[골든디스크어워즈|골든디스크 시상식]] || 디지털음원부문 본상 || || 제21회 [[서울가요대상|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제2회 [[주간 아이돌]] 어워즈 || --'''대상'''--[* 12년도 주간 아이돌에 출연한 모든 아이돌들 중에서 제비뽑기(...)로 뽑은 대상. 당시 특별MC로 [[권소현]]이 출연한 상태여서 소오름이 2배였다. --[[김성규(인피니트)|김성규]] 曰 "이럴거면 왜 불렀냐"--] || || 2013년 || [[골든디스크어워즈|골든디스크 시상식]] || 음반부문 본상 || ||<|6> 2014년 || [[골든디스크어워즈|골든디스크 시상식]] || 디지털음원부문 본상 || || 제23회 [[서울가요대상|하이원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가온차트 K-POP 어워드 || 올해의 가수상 음원부문 5월 || || 한국소아당뇨인협회 || 공로패 || || 제7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 본상 || || 제29회 코리아 베스트 드레서 스완 어워드 || 가수부문 본상 || ||<|3> 2015년 || 제5회 당뇨병 학술제 및 소아당뇨인 후원의 날 || 서울특별시장 표창 || || 제23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 K-POP 10대 가수상 || || 대한민국 라이프스타일 어워드 || 올해의 베스트 퍼포먼스상 || || 2016년 || 대한민국 SNS 산업대상 ||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 대상이다.] || === 음악 방송 1위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파일:4minute 로고.svg|width=70]][br]'''{{{#fff 음악 방송 1위 수상 기록}}}'''}}} || || '''{{{#white 수상일}}}''' || '''{{{#white 방송사}}}''' || '''{{{#white 프로그램}}}''' || '''{{{#white 활동곡}}}''' || '''{{{#white 비고}}}'''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fff '''2009년'''}}}}}} || || 9월 27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60]]]] ||<|2> '''Muzik [br](2관왕)''' || '''데뷔 후 첫 1위''', '''지상파 첫 1위''', 인기가요 첫 1위 || || 10월 1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케이블 첫 1위''', 엠카운트다운 첫 1위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fff '''2010년'''}}}}}} || || 6월 17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1> '''HUH [br](1관왕)'''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fff '''2011년'''}}}}}} || || 4월 21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1> '''거울아 거울아 [br](1관왕)'''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fff '''2012년'''}}}}}} || || 4월 17일 || [[MBC MUSIC|[[파일:MBC M 로고.svg|width=30]]]]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3> '''Voulme Up [br](3관왕)''' || 쇼챔피언 첫 1위 || || 4월 24일 || [[MBC MUSIC|[[파일:MBC M 로고.svg|width=30]]]]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2주 연속 1위 || || 5월 3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fff '''2013년'''}}}}}} || || 5월 8일 || [[MBC MUSIC|[[파일:MBC M 로고.svg|width=30]]]]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7> '''이름이 뭐예요? [br](7관왕)''' || || || 5월 9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 5월 15일 || [[MBC MUSIC|[[파일:MBC M 로고.svg|width=30]]]]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2주 연속 1위 || || 5월 16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2주 연속 1위 || || 5월 19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60]]]] || || || 5월 22일 || [[MBC MUSIC|[[파일:MBC M 로고.svg|width=30]]]]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첫 트리플 크라운''' || || 5월 26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60]]]] || 2주 연속 1위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fff '''2014년'''}}}}}} || || 3월 30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60]]]] ||<|2> '''오늘 뭐해 [br](2관왕)''' || || || 4월 3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fff '''2015년'''}}}}}} || || 2월 18일 || [[MBC MUSIC|[[파일:MBC M 로고.svg|width=30]]]]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7> '''미쳐 [br](7관왕)''' || || || 2월 19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결방으로 인하여 다음주에 수상 || || 2월 21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50]]]] || [[쇼! 음악중심|[[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width=60]]]] || 음악중심 첫 1위 || || 2월 22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60]]]] || 결방 || || 2월 25일 || [[MBC MUSIC|[[파일:MBC M 로고.svg|width=30]]]]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60]]]] || 2주 연속 1위 || || 2월 26일 ||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60]]]] || 2주 연속 1위 || || 3월 1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6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900, #7E00BF)" {{{#white '''포미닛 음악 방송별 1위 수상 기록'''}}}}}} || || '''{{{#white 프로그램}}}''' || '''{{{#white 1위 횟수}}}''' || '''{{{#white 트리플 크라운 횟수}}}''' || || [[SHOW CHAMPION]] || 7회 || 1회 || || [[엠 카운트다운]] || 9회 || || || [[쇼! 음악중심]] || 1회 || || || [[SBS 인기가요]] || 6회 || || || '''합계''' || '''{{{#red 23회}}}''' || '''{{{#red 1회}}}''' || }}} 내용에서도 확인한 바와 같이 [[뮤직뱅크]]와 [[쇼! 음악중심]]과는 정말 인연이 없었는데 그중에서도 [[뮤직뱅크]]와는 정말 인연이 없었다.[* 비슷한 사례로 [[걸스데이]]가 있으나 이 그룹에 비해서는 아무 것도 아니다.] 2015년, 쇼! 음악중심에서 '미쳐'로 딱 1번 1위를 차지했을 당시에도 뮤직뱅크에서는 나얼에게 밀려 또 1위 달성에 실패했다.[* 뮤직뱅크에서 1위 후보로 오른 횟수는 총 7번이었으나(이중 1번은 결방) 6번 2위, 1번 3위로 끝이났다.] == 여담 == * 팀명 포미닛은 4분 안에 각자의 매력으로 팬들을 사로잡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 이 시기의 케이팝은 3분~4분 정도의 길이였기 때문. 그래서 2분 30초~3분 정도가 표준이 된 4세대 이후의 케이팝팬들은 왜 그룹 이름이 포미닛인지 직관적으로 안 와닿을수도 있다. * [[대한민국]] [[걸그룹]]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불세출의 캐릭터인 [[현아]]의 영향력과, 그에 반해 상대적으로 빛을 보지 못한 나머지 멤버들의 존재감으로 아이돌 그룹 내 멤버 밸런스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대표적으로 꼽히는 팀이기도 하다.[* 사실 이건 불가피한 점이 있던게, 한국 가요사에 뽑힐만큼 영향력이 큰 가수인 현아가 팀 내에 속해 있는 이상 나머지 멤버들이 어느 정도 묻히는 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다른 멤버들이 실력이 떨어졌다면 모를까 [[남지현(1990)|남지현]]을 제외하면 충분히 실력을 갖출만큼 갖춘 멤버들인데도 (특히 실력 없는 아이돌이 포미닛처럼 강한 컨셉을 소화하는건 거의 불가능하다) 현아가 워낙 강력했던 것이다.] 다만 활동 후반기에서는 타 멤버들 역시 역량이 많이 상승된 데다가 충분한 인지도도 쌓았기 때문에 1명 빼고 망한 팀은 절대 아니다.[* [[허가윤]]은 주목받기 쉬운 메인보컬이라는 포지션과 세련된 비주얼로 현아 다음으로 인지도가 높았고, [[전지윤]]은 잘 어울였던 보이쉬한 스타일과 올라운더 포지션으로 노래와 랩 둘 다 잘해서 호평이 많은 멤버였다. [[남지현(1990)|남지현]]은 끼가 없다며 욕을 먹기도 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최근에는 끼가 없는 걸로 유명(...)해져서 (게다가 끼가 없을 뿐 외모, 몸매, 인품 등으로 유명할 정도로 매력이 있기 때문에) 나름대로 인지도가 생겼다. [[권소현]]은 아육대에서의 양궁활약과 막내로 나름대로 인지도가 있었다.] 즉, 초반에는 [[군계일학]]이었다가 후반에는 군학[[남지현(1990)|일계]]였던 팀이다. * 한때 [[비스트(아이돌)|비스트]]와 함께 [[큐브엔터테인먼트]]의 1호 아이돌 그룹이었지만 동시에 소극적인 푸쉬와 해체 과정에서의 잡음으로 인해 빛이 바랜 그룹이기도 하다. 일례로 포미닛은 7년간 활동하면서 단 한 해도 실물 앨범을 2장 이상 내놓지 않았다.[* 동시기에 데뷔한 [[비스트(아이돌)|비스트]]는 데뷔 2년차이던 2010년에 이미 실물 앨범을 3장 내놓았다.] 오죽하면 팬들끼리 현아 솔로 앨범도 포미닛이 낸 걸로 치냐는 얘기까지 했을 정도. [[분류:4min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