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1''' = 13번째 [[소수(수론)|소수]] * 읽는 법: 사십일 * 세는 법: 마흔하나 * 한자: 四十一 * 영어: Fourty-One == 개요 == [[40]]보다 크고 [[42]]보다 작은 [[자연수]]. 13번째 [[소수(수론)|소수]]로, 앞 소수는 [[37]]이고 다음 소수는 쌍둥이 소수인 [[43]]이다. == 수학적 성질 == * 7번째 소피 제르맹 소수이며 43과의 쌍은 6번째 쌍둥이 소수 쌍이 된다. 41은 처음 6개의 소수의 합(2+3+5+7+11+13)이 된다. 이처럼 처음 n개의 소수의 합으로 표현되는 소수에는 2, 5, 17, 41, 197, 281, 7699 ([[http://oeis.org/A013918]])등이 있다. * 연속하는 제곱수의 합이다 ([[4]]^^2^^+[[5]]^^2^^) * 연속하는 세 [[소수(수론)|소수]]의 합이다. ([[11]]+[[13]]+[[17]]) * 271과 함께 10진법에서 1을 나누면 순환마디가 5이다. == 날짜 == * [[연도]]: [[41년]], [[기원전 41년]] * [[4월 1일]] == 과학 == * [[나이오븀]](Nb)의 [[원자 번호]]이다. == 교통 == === 41번 시내버스 === * [[고양 버스 041]] * [[가평 버스 41]] * [[거제 버스 41]] * [[경주 버스 41]] * [[군산 버스 41]] * [[대전 버스 41]] * [[부산 버스 41]] * --[[서울 버스 41]]--[* 현재 [[서울 버스 242]]] * [[원주 버스 41]] * [[익산 버스 41]] * --[[인천 버스 41]]--[*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개편#s-8|2016년 노선 전면개편]]으로 폐선되었다.], --[[인천 버스 41-1]]-- * [[창원 버스 40번대 노선|창원 버스 41]] * ~~[[춘천 버스 41]]~~[* 2019년 11월 15일 개편으로 끝내 폐선되었다. 심지어 종점이었던 굴지리의 경우 춘천 버스에서 노선 자체가 삭제되었으며, 역시 첫차가 굴지리에서 [[춘천 버스 80|80번]]으로 바꾸고 운행하던 방식도 삭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춘천 버스 41]] 문서 참고.] * [[청주 버스 41]] === 도로 === * [[41번 국도]][* 전 구간이 [[북한]]에 있다.] * [[41번 서울특별시도]] * [[일본 41번 국도]] == 무기 == * [[41식 산포]] == 문화재 == * [[대한민국의 국보]] 제41호: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 [[대한민국의 보물]] 제41호: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 [[대한민국의 사적]] 제41호: --경주황오리고분군--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1호: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 기타 == * [[데이토나 USA]] 시리즈에서 싱글 플레이만 가능한 기체의 플레이어가 배정받는 번호가 41번이다. * [[레온하르트 오일러|Euler]]'s "lucky" numbers 중에 가장 큰 수이다. * [[Sum 41]]이라는 캐나다의 밴드가 존재한다. * 41은 야구선수 [[김용수]], [[이정훈(1963)|이정훈]], [[정재훈(1980)|정재훈]]의 등번호이며 100승과 200세이브를 모두 달성한 [[김용수]]의 [[영구결번]]이다. * 농구선수 중의 유명한 등번호 41번으로는 [[더크 노비츠키]], [[오세근]]이 있다. * [[벤허]] 영화판에서 주인공이 로마 군함에서 받은 죄수번호가 41번이다. * [[41일]]: [[김성규(인피니트)]]의 [[가요]]. * 2018년 8월 1일 [[강원도]] [[홍천군]]에서 기록된 대한민국 공식 최고 기온은 41.0℃이다. * [[오버로드(소설)|오버로드]]의 [[지고의 41인]] * [[포켓몬스터]] * [[주뱃]]의 [[전국도감]] 번호. * [[41번수로]] ==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을 소재로 한 [[이재익(PD)|이재익]]의 장편소설 == [[파일:41 소설.jpg]] 2012년 4월 15일 출판. 작가는 컬투쇼 PD 이재익, 장르는 범죄 미스터리, 출판사는 네오픽션이다. 주인공은 연쇄살인사건을 수사하는 강력계 [[형사]], 정태이다. 작가는 소설을 통해 공권력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가해자가 처벌을 받지 않는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http://ch.yes24.com/article/View/19913|yes24에서 주최한 작가와의 만남]] [[분류:소수(수론)]][[분류:연속하는 세 소수의 합]][[분류:한국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