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3×3×3 큐브]] 해법을 막 다 익힌 사람들에게 [[4×4×4 큐브]]를 쥐어준다면 보통 [[3×3×3 큐브]]의 보편적인 Layer by layer 방식에 따라 큐브를 1,2,3층 순으로 맞추려 할 것이다. 물론 층층이 맞추는 4×4×4 큐브 해법도 있긴 하지만 이는 효율적인 방법이 아닐 뿐 더러, 더 많은 공식과 큐브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보편적이고 설명서 등에서 쉽게 볼수있는 [[4×4×4 큐브]] 해법은 분리된 [[에지 조각]]과 [[센터 조각]]을 같은 색끼리 모아[* 이를 페어링(Pairing)이라고 한다.] [[3×3×3 큐브]] 형태로 만든 후 [[3×3×3 큐브]] 공식을 적용해 맞추는 방법이다. 그러나 [[K4 해법]]처럼 다른 식으로 접근하는 해법 또한 존재한다. 페어링 방식의 기본 해법은 분리된 엣지, 센터 조각을 모으는 공식이 수도 적고 암기 없이 이해만으로 익힐 수 있을 정도로 쉽다는 점과 페어링을 한 후 나오는 [[3×3×3 큐브]] 상황을 익숙하고 빠르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K4 해법]]이나 스테들러 해법같이 페어링을 하지 않고 맞추는 해법들은 회전수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는 상황판단이 빠르다는 점과 [[3×3×3 큐브]]의 공식을 쓰다보니 핑거 트릭에 최적화 되어 빠르게 맞출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큰 메리트로 작용해 보통 4×4×4 큐브를 맞추는 사람들은 이 형태의 해법을 사용한다. 아래에 서술된 해법이 전부는 아니며, 연구와 분류에 따라서 한가지 큐브에 대해서도 잠재적으로 수십 수백 가지의 큐브 해법이 생겨날 수 있다. 애초에 큐브를 맞추는 방법은 큐브의 가짓 수와 경우의 수만큼이나 다양할 것이니까. == 큐브 기호 체계 == [[3×3×3 큐브]]와 체계와 대체로 동일하지만 중간층이 둘로 쪼개져 있다는 점 때문에 두가지 계열의 새로운 기호들을 추가로 사용한다. * r, u, f, l, d, b와 같은 소문자 : 그 대문자에 해당하는 방향의 중간층을 돌린다. 예를 들어 u 라고 한다면 U에 해당하는 중간층, 즉 3층만 돌리라는 의미이다. * w : wide의 약자로, 기호 뒤에 소문자로 붙여 표현한다. 이 기호가 붙으면 해당하는 면의 두층을 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Rw는 R과 r을 동시에 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 조각의 분류와 명칭 == 4x4x4 큐브의 조각은 [[3×3×3 큐브]]와 다른 여러 큐브들과 같이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 [[센터 조각|센터(중앙) 조각]] : 면의 중앙에 위치하며 한 가지 색을 가진다. 회전시 [[3×3×3 큐브]]와는 다르게 위치가 바뀔 수 있다. 총 24조각이다. *[[에지 조각|에지(모서리) 조각]] : 면의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조각으로 두 가지 색깔을 가진다. 총 24조각이다 *[[코너 조각|코너(귀퉁이) 조각]] : 면에서 센터 조각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다. 총 8조각이며 각각 세 가지 색깔을 가진다. == 초급 해법 == [[4×4×4 큐브]]를 처음 익힐 때 가장 보편적으로 익히는 해법. 다음과 같은 6단계로 나누어서 큐브를 푼다. 1. 모든 [[센터 조각]]을 제 위치에 페어링 해준다.[* 여기서 제 위치란 표준 색배치에 맞는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흰색 센터 조각의 이웃하는 면에 노란색 센터 조각을 놓게 되면 나중에 3×3×3 큐브로 되돌리고 맞출 때 다시 제 위치로 돌려야 하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그래서 4×4×4 큐브는 색배치를 외우는게 '''매우''' 중요하다.] 2. 모든 [[에지 조각]]을 페어링 해준다. 3. [[3×3×3 큐브]] 맞추듯 2층까지 맞춘다. (4. 50%의 확률로 토끼이빨 상황이 뜬다. 자세한 건 [[4×4×4 큐브#s-3.1|토끼이빨]] 문서 참고.) 5. [[3×3×3 큐브]] 맞추듯 다 맞춘다. (6. 50%의 확률로 바보토끼 이빨 상황이 뜬다. 만약 이 예외형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큐브는 5단계에서 다 맞춰진다. 자세한 건 [[4×4×4 큐브#s-3.2|바보 토끼 이빨]] 참고.) == [[K4 해법]] == 고급 해법으로 분류된다. 다음과 같은 7단계에 걸쳐서 큐브를 맞추는 해법이다. 1. 서로 반대 위치인 두 센터를 제자리에 페어링한다. 주로 흰색과 노란색 센터를 먼저 페어링한다. 2. 페어링된 센터 하나가 있는 면을 1층에 두고 1층에그 면의 엣지 3개를 페어링해 코너 2개와 같이 제자리에 넣어 '''1×3×4 블록'''을 만들어준다. 3. 나머지 4개 센터들을 전부 페어링해 맞춘다. 4. 1층을 완성한다. 5. '''페어링 없이 분리된 센터조각을 하나씩 집어넣어 큐브를 3층까지 완성한다.''' 6. CLL 7. ELL 더 자세한 내용은 [[K4 해법]] 문서 참조 == 스테들러 해법 == 고급 해법으로 분류된다. 다음과 같은 7단계에 걸쳐서 큐브를 맞추는 해법이다. 1. 서로 반대 위치인 두 센터를 제자리에 페어링한다. 2. 페어링 된 두 센터를 양 옆에두고 '''양면에 1×3×4 블록'''을 완성한다. 3. 윗면 코너를 맞춘다. 4. 나머지 4개 센터들을 전부 페어링해 맞춘다. 5. 나머지 에지 조각들을 전부 페어링한다. 6. 에지 조각들을 전부 [[오리엔테이션(큐브)|오리엔테이션]]한다. 7. 에지 조각들을 전부 [[퍼뮤테이션]]해 큐브를 완성한다. == [[야우 해법|야우(Yau) 해법]] == 고급 해법으로 분류된다. 다음과 같은 5단계에 걸쳐서 큐브를 맞추는 해법이다. 1. 서로 반대 위치인 두 센터를 제자리에 페어링한다. 주로 흰색과 노란색 센터를 먼저 페어링한다. 2. 페어링된 센터 하나가 있는 면을 1층에 두고 1층에 그 면의 엣지 3개를 페어링한다. 3. 나머지 4개 센터들을 전부 페어링해 맞춘 후, 1층 엣지 1개를 페어링해 크로스를 완성한다. 4. 나머지 에지 조각들을 전부 페어링한다. 5. [[3×3×3 큐브]] 공식을 사용해 완성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야우 해법]] 문서 참조 [[분류:트위스티 퍼즐/해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