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목차] == 개요 == 1960년대에 소련의 볼고그라드 트랙터 공장에서 개발한 [[공수자주포]]다. == 제원 == ||<-3> '''{{{#white {{{+1 2S2 Fialka (Object 924)}}}}}}'''[br]'''{{{#white 공수자주포}}}''' || ||<-3> '''{{{#white 개발 및 생산}}}''' || ||<-2> '''{{{#white 개발기관}}}''' || [[첼랴빈스크 트랙터 공장|GSKB-2]] || ||<-2> '''{{{#white 개발연도}}}''' || 1967~69년 || ||<-2> '''{{{#white 생산기관}}}''' || 볼고그라드 트랙터 공장 || ||<-2> '''{{{#white 생산연도}}}''' || 1964년 || ||<-2> '''{{{#white 생산량}}}''' || -대 (시제품) || ||<-3> '''{{{#white 제원}}}''' || ||<-3>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전장}}}''' || - // -(전체) || ||<-2> '''{{{#white 전폭}}}''' || - || ||<-2> '''{{{#white 전고}}}''' || - || ||<-2> '''{{{#white 중량}}}''' || - || ||<-2> '''{{{#white 장갑}}}''' || - || ||<-2> '''{{{#white 탑승인원}}}''' || 2명 (전차장, 조종수) || ||<-2> '''{{{#white 주무장}}}''' || [[122mm 2A18 곡사포|2A32]] 곡사포 1문 || ||<-2> '''{{{#white 조준장치}}}''' || 주간: [br]야간: || ||<-2> '''{{{#white 부앙각}}}''' || − // +° || ||<-2> '''{{{#white 회전각}}}''' || - || ||<-2> '''{{{#white 부무장}}}''' || - || ||<-2> '''{{{#white 엔진}}}''' || - || ||<-2> '''{{{#white 최고출력 // 회전수}}}''' || - || ||<-2> '''{{{#white 출력비}}}''' || -) || ||<-2> '''{{{#white 현수장치}}}''' || [[유기압 현가장치]] || ||<-2> '''{{{#white 무한궤도 폭 // 매수}}}''' || mm // 각 매 || ||<-2> '''{{{#white 최고속력}}}''' || - || ||<-2> '''{{{#white 항속거리}}}''' || - || ||<-2> '''{{{#white 접지길이 // 접지압력}}}''' || || ||<-2> '''{{{#white 초호능력}}}''' || m || ||<-2> '''{{{#white 초월능력}}}''' || m || ||<-2> '''{{{#white 등판능력}}}''' || - || ||<-2> '''{{{#white 도하능력}}}''' || - ||}}} || == 상세 == 1960년대 중후반부터 소련 군부는 [[2S1 그보즈디카]]와 동급의 성능을 내면서도 공수군이 운용할 수 있도록 수송기로 공수가 가능한 [[자주포]]를 요구하며 개발이 시작되었다. 차체는 당시 소련의 [[공수장갑차]]였던 [[BMD-1]]의 것을 유용하였다. 무장은 2S1의 2A31 곡사포를 조금 손 본 2A32를 사용하기로 정해졌다. 1968년 초에 3대의 프로토타입이 완료되어 현장 테스트를 받았는데, 테스트 결과 BMD-1 기반의 가벼운 차체가 곡사포의 반동을 잘 견디지 못한다는 결론이 나오면서 동년 12월에 개발이 중지되었다. 1969년 이후에 잠시 곡사포 대신에 박격포를 달아서 자주 박격포로 만들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이 시도도 성공하지 못했고, 1980년대 초에 [[2S9 노나-S]]가 채택되면서 2S2 계열 프로젝트는 완전히 중단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VgTZ의 차량)] [[분류:GABTU 코드명]][[분류:GRAU 코드명]][[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공수자주포]][[분류:자주곡사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