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떼오드 제작)]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70707, #2d2d2d)" {{{+1 '''22년 2개월'''}}}[br]''22 Years and 2 Month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년2개월_포스터.jpg|width=100%]]}}} || || '''제작''' ||아떼오드|| || '''연출''' ||박지혜|| || '''작•작사''' ||다미로|| || '''작곡''' ||다미로|| || '''공연 장소''' ||초연: [[링크아트센터]] 벅스홀|| || '''공연 기간''' ||초연: 2023.08.31 ~ 2023.11.05|| || '''관람 시간''' ||140분 (인터미션: 15분)|| || '''공식 계정''' ||[[https://twitter.com/M_22y2m|[[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떼오드에서 제작한 [[대한민국]]의 [[창작 뮤지컬]]. == 시놉시스 == [[1919년]], 혼란스러운 조선을 떠나 동경으로 가는 배 안. 쫓기던 박열은 도망치던 중 가네코와 부딪히게 되고 서로의 책이 바뀌게 된다. 가네코의 당당함과 매력에 영감을 받은 박열은 시를 써 ‘조선 청년’에 기고하고, 가네코는 박열의 시에 한눈에 매료된다. [[무정부주의]]를 꿈꾸며 일본 황태자의 암살을 계획하던 박열은 가네코와 함께하는 것이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직감하며 그녀를 떠나려 하지만, [[1923년]] 찾아온 [[관동대지진]]의 혼란 속에서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한 사랑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 그러나, [[일본 정부]]와 시민 [[자경단]]에 의해 박열과 가네코는 구속되고 [[히로히토|황태자]]를 암살하려 했다는 계획이 밝혀지는데… == 등장인물 == * '''[[박열]]''' > '''"재판장 수고했네. 나를 당장 사형에 처하라."''' 자유로운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 '''[[가네코 후미코]]''' > '''"배신이요? 내 사랑이 왜 배신인가요?"''' 박열의 이념적 동지이자 평생의 연인. * '''[[후세 다쓰지|후세 다츠지]]''' > '''"그 둘은 무죄입니다! 당신들에겐 사랑이 죄입니까?"'''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의 변호사. * '''다테마스 가이세이''' > '''"당신들의 사랑은 내게 죄입니다. 미안합니다."''' 재판을 담당하는 예비 판사[* 현대 한국 사법에서는 [[검사(법조인)]]에 해당하는 직책.]. * '''불령사 (김중한, 홍진유, 육홍균, 정태성)''' > '''"새로운 이름으로 뒤엎게 찬란한 역사를 만들어"''' 박열과 가네코의 동지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넘버 == -1막- M01. 22년 2개월 M02. 유치한 연극 M03. 새로운 나비로 M04. 자기 혁명의 고백 M05. 불령하게 M06. 나는 개로소이다 M07. 10년 전 우리 M08. 그저 그런 하루 M09. Difficult Secret M10. 침묵 M11. 난 누구인가 M12. 혼돈의 시작 -2막- M13. 여기가 지옥 Rep. M14. 세상을 바꾸는 힘 M15. 나를 놓아줘 M16. 유치한 연극 Rep. M17. 살 수 있는 방법 M18. 베나 아모리스 M19. 나비야, 이리 날아 오너라 M20.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Rep. M21. 22년 2개월 Rep. == 출연진 == === 2023년 공연 === 2023.08.31 ~ 2023.11.05 링크아트센터 벅스홀 박열: [[유승현(배우)|유승현]], [[양지원(뮤지컬 배우)|양지원]], [[켄(VIXX)|이재환]] 가네코 후미코: [[최수진(배우)|최수진]], [[강혜인]], [[홍나현]] 후세 다츠지: [[유성재]], [[안창용]] 다테마스 가이세이: 정호준, [[이현재(뮤지컬 배우)|이현재]] 김중한 외: 박세훈 홍진유 외: 성재 육홍균 외: 정종환 정태성 외: [[박상선(뮤지컬 배우)|박상선]] 스윙: 신요셉 == 기타 == * 극 제목인 '22년 2개월'은 실존 인물 [[박열]]이 실제로 복역한 기간이다. *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라 그런지, [[커튼콜]]에 [[묵념]] 시간이 있다. * 박열과 가네코의 이야기를 다룬 또 다른 뮤지컬로는 2021년에 초연했던 [[박열(뮤지컬)]]이 있다. === 재관람 혜택 === ||<-1> {{{#fff '''초연''' 불령사 동인증}}} || || '''5회 적립'''[br]박열의사기념관 방문기 CD or 옥중 수기 포토북 || === MD === == 둘러보기 == [include(틀:다미로 작곡)] [[분류:창작 뮤지컬]][[분류:2023년 극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