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반 완행선과 치요다선에서 운행했던 전동차, rd1=207계 900번대 전동차)] ||<-3> [[JR 서일본|[[파일:JR 서일본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72bc '''JR 서일본 {{{+1 207계 전동차}}}'''[br]{{{-1 JR 西日本 }}} 207系 電車 [br]{{{-1 JR West}}} 207 series (EMU)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R-W_207series(old).jpg|width=100%]]}}} || ||<-3> {{{#0072bc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0072bc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 이전 도색(1991~2005)}}}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eries-207-1000R-S16_(2022-01-20).jpg|width=100%]]}}} || ||<-3> {{{#0072bc [[JR 고베선|{{{#0072bc JR 고베선}}}]]의 207계 신도색(2005~현재)}}}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3량 1편성[* 1000번대, 2000번대 일부][br]4량 1편성[* 0번대, 1000번대, 2000번대 일부][br]7량 1편성[* 양산선행차 한정 7량 고정 편성으로 생산되었다.] || || '''운행 노선''' ||<-2> [[파일:JRW-A.svg|width=16]] [[JR 교토선|{{{#0070bf JR 교토선}}}]], [[JR 고베선|{{{#0070bf JR 고베선}}}]], [[비와코선|{{{#0070bf 비와코선}}}]], [[파일:JRW-B.svg|width=16]] [[코세이선|{{{#00a7e3 코세이선}}}]], [[파일:JRW-G.svg|width=16]] [[후쿠치야마선|{{{#fbc700 후쿠치야마선}}}]], [[파일:JRW-H.svg|width=16]] [[카타마치선|{{{#e72e83 카타마치선}}}]], [[JR 도자이선|{{{#e72e83 JR 도자이선}}}]], [[파일:JRW-Q.svg|width=16]] [[야마토지선|{{{#00a368 야마토지선}}}]], [[와다미사키선|{{{#948f7f 와다미사키선}}}]] || || '''도입년도''' ||<-2> [[1991년]]~[[2003년]] || || '''제작회사''' ||<-2> [[킨키차량|[[파일:긴키차량 로고.svg|width=120]]]][br][[가와사키 차량|[[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br][[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파일:히타치 제작소 로고.svg|width=100]]]] [br][[JR 서일본|[[파일:JR 서일본 로고.svg|width=160]]]][* JR 서일본 고토종합차량소, JR 서일본 다카토리 공장] || || '''소유자''' ||<|2><-2> [[JR 서일본|[[파일:JR 서일본 로고.svg|width=220]]]] || || '''운영자''' || || '''차량기지''' ||<-2> 아보시 종합 차량소 아카시 지소 || ||<-3>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20,000㎜ || || '''전폭''' ||<-2> 2,950㎜ || || '''전고''' ||<-2> 3,700㎜ || || '''궤간''' ||<-2> 1,067㎜ || || '''사용전류''' ||<-2> [[전류#s-7.2.1|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신호 방식''' ||<-2> [[열차자동정지장치|ATS]]-P, [[열차자동정지장치|ATS]]-SW || || '''제어 방식''' ||<-2>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제 GTO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 3레벨 파워 트랜지스터 VVVF 인버터[* 0번대][br]고주파 소용량 [[도시바]]제 VVVF GTO 인버터 제어[* 1000번대][br][[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제 VVVF IGBT 3레벨 인버터 제어[* 2000번대] || || '''동력 장치'''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억속제동 포함][* 0번대, 1000번대][br]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순전기제동[* 2000번대] || || '''제동 방식''' ||<-2>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 || '''주전동기 출력''' ||<-2> 155kW[* 0번대][br]200kW[* 1000번대 1, 2차차][br]220kW[* 1000번대 3, 4차차, 2000번대] || || '''최고속도''' ||<-2> 영업최고속도 : 120㎞/h[br] 설계최고속도 : 120㎞/h || || '''기동성능''' ||<-2> 가속도: 2.7㎞/h/s[br] 상용 감속도: 3.5㎞/h/s[br] 비상 감속도: 4.2㎞/h/s || || '''MT 비''' ||<-2> 1M2T[* 1000번대, 2000번대 일부][br]2M2T[* 0번대, 1000번대, 2000번대 일부][br]3M4T[* 양산선행차 한정 7량 고정 편성으로 생산되었다.] ||}}}}}} || [목차] [clearfix] == 설명 == [[JR 서일본]]에서 독자개발하여 1991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통근형 전동차. 원래는 [[103계 전동차|103계]]의 대체를 위해 계획되었으나 각 선구에서 구형차를 교체하다 보니 어느 새 JR 서일본의 표준형 전동차가 되어버렸다. 등장 당시에는 이것이 정말 91년산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최신형 전동차와 비추어봐도 손색 없는 디자인부터, 통근형 전동차 최초로 최고속도 120km/h를 달성하고, 스테인레스 차체를 사용하여 차량의 무게를 대폭 줄이고 제작 단가를 절감하였으며 --물론 이것이 훗날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비극]]의 주된 원인이 될 줄은 이때까지만 해도 아무도 몰랐었겠지만-- JR 서일본 최초의 [[VVVF]] 차량, 정확하게는 3단 파워 트랜지스터 VVVF 제어와 GTO 초퍼제어를 혼용하는 제어방식[* 0번대만. 1000번대 이후로는 GTO 방식으로 바뀐다.]으로써 이후 개발되는 차량의 기술적인 초석을 제공한 차량이기도 하다. 이 외에도 지하구간 입선을 위한 관통문 등의 대비, 반자동 출입문, 내설 브레이크 등을 갖추고 있어 서일본 구간 어느 곳이라도 주행할 수 있도록 모든 준비를 갖추었다. 또한 JR서일본 최초로 디지털 계기판[* 오늘날 볼 수 있는 최첨단 디지털 계기와는 조금 다른 물건으로, 아날로그 수치계에 쓰이는 바늘 대신 디지털 수치계를 사용한 정도에 지나지 않다.]을 적용한 차량으로, 이 외에도 간사이 공항 특급 "하루카" 에 쓰이는 [[281계 전동차|281계]] 나 특급 "선더버드" 등에 쓰이는 [[681계 전동차|681계]]가 유사한 방식의 계기판을 채용하였으나, 당시 운전사들의 카더라에 의하면 아날로그 수치계와 디지털 수치계를 짬뽕한지라 영 평가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동 형식의 2000번대부터는 다시 JR서일본 특유의 아날로그 계기판 스타일로 회귀했다. 이처럼 혁신적인 차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라는 대참사가 터진 이후 207계의 이미지는 매우 훼손되었고, 유족의 요청에 의해 남은 207계 도색의 파란 띠 부분이 남색&주황 띠로 바뀌었으며, [[철도모형]]에서도 207계가 사라지게 되었다.[* 후에 토믹스에서 신도색모델이 재발매되었다] 그리고 JR 서일본의 4도어 통근형 전동차 자리는 신기술을 적용한 [[321계 전동차|321계]]에게 물려주게 된다. == 형식 == 0번대, 1000번대, 2000번대, 그리고 0번대와 1000번대의 짬뽕편성인 500+1500번대가 있다. === 0번대 === || [[파일:Series207-H16R.jpg|width=100%]] || || 리뉴얼 후 || 7량 고정 편성인 선행차([[프로토타입]]) 1편성을 포함한 번대. 1991년 12월부터 1993년 3월까지 총 2차례에 걸쳐 도입되었으며, '''GTO 초퍼제어'''와 '''3레벨 VVVF 파워트랜지스터 인버터'''를 '''혼용'''[* 파워 트랜지스터이므로 Ptr vvvf라고 부른다. ]하는 것이 특징으로 이 때문에 매우 특이한 구동음이 난다. 가속시 놋치 투입과 동시에 단수가 급격하게 올라가는 ~~돈일본~~ [[JR 동일본]]의 [[209계 전동차]]와 [[701계 전동차]]의 구동음이 나는데,[* 단 209계는 Ptr-vvvf가 아니라 미쓰비시GTO이다] 잘 들어보면 가속할때나 속도가 좀 붙었을 때와 감속할 때 오묘하게 초퍼제어 특유의 소리[* 단 꺾임 없이 찌이이이이잉- 하는 올라가고 내려가기만 하는 소리. 서울메트로의 GEC 초퍼와 약간 비슷하다.]가 섞여 난다. [[http://www.youtube.com/watch?v=cB2BL6ENBGc|#]] 선행차는 다른 차량과 달리 7량 1편성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해당 차량은 분리 병결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양산차 단계에 들어서면서 4량 및 3량[* 3량으로 구성된 부속편성 중 도자이선에 입선하는 차량들은 출력 문제로 인해 1000번대의 잉여 모터카를 한대씩 더 끼워넣어 4량 편성을 만들고 아래에서 서술할 500+1500번대가 된다.]의 편성으로 제조가 이루어지고, 상호간에 분리 병결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굳이 4량과 3량으로 분리해서 생산한 이유는 [[카타마치선]]의 [[쿄타나베역]]-[[키즈역]] 구간의 승강장이 4량 편성까지만 대응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구간은 2010년 승강장 확장 공사가 끝나 7량 편성이 들어갈 수 있게 되었고, 이로써 영업 운행 중에 분리/병결은 더 이상 하지 않게 되었다. 이렇게 됨으로써 후속 차량인 [[321계 전동차]] 역시 7량 고정 편성으로 생산되었다. 그리고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 당시 선두에 위치하고 있어 처참하게 박살난 편성(Z16편성)이 바로 이 번대이기도 하다. 2014년 10월에 Z22 편성이 리뉴얼 공사를 하였다. [[http://www.youtube.com/watch?v=MHvY2FUm9_k|#]] 내장재의 전면적인 교체는 물론이고, 221계 리뉴얼 처럼 225계와 같은 헤드램프의 적용 및, VVVF-IGBT 인버터 제어방식으로의 개조 등등 거의 신차에 준하는 수준으로 마개조 되었다. 한편 리뉴얼 대상에서 제외된 양산산행차 F1편성은 2022년 4월 6일 폐차되었다. 나머지 207계 전동차와 추진장치의 소자가 다른 등 정비면에서 불리한 요소가 많았기 때문에 조기폐차되었다. === 1000번대 === || [[파일:Series207-1000-S52.jpg|width=100%]] || || 리뉴얼 전 || || [[파일:Series-207-1000R-S16_(2022-01-20).jpg|width=100%]] || || 리뉴얼 후 || [[도카이도 본선]], [[산요 본선]]의 [[103계]]를 교체하고 [[JR 도자이선]]에 투입하기 위해 1994년 제조, 영업을 개시한 차량 번대. 제어장치가 0번대의 초퍼+인버터 혼용에서 [[도시바]] [[VVVF]]-[[GTO(반도체)|GTO]]로 변경되어 223계 0번대와 거의 같은 구동음이 난다. JR도자이선의 급구배에 대응하기 위해 주전동기의 출력을 강화시켰으며 차량 하부기기의 구조와 형상이 약간 변경되었다. 원래 이 번대는 6량+2량의 총 8량짜리 편성으로 운영될 예정이었으나, 아래 항목에서 서술할 문제로 인해 운용 및 차량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실컷 만들어놓고 쓰지도 못하니 서일본 입장에서는 속이 타고... 어떻게 써야 잘 썼다고 할까 고민한 결과 1000번대의 조성을 6량+2량에서 4량+3량으로 조정하고, 남는 잉여 동력객차는... '''아래 항목 참조.''' [youtube(HwHb-UIDLjg)] 한국의 납작이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31x000호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341000호대]],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351000호대]]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가 나는데, 1000번대도 도시바제 GTO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납작이]] 전동차 개발 비화를 보면 [[205계]]를 기반으로 개발을 시작해 [[신칸센]] [[300계]]의 [[도시바]] [[GTO(반도체)|GTO]] 인버터 기술을 접목해서 사양을 확정했다는 내용이 있는 반면 [[207계]]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으나, [[도시바]]제 GTO를 비롯해 하부틀 교차식 [[팬터그래프]]나 DT-50[* 이것도 [[205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대차 등등 기술적으로 비슷한 부분이 많다. === 500+1500번대 === [[JR 도자이선]] 개업에 대비해 차량의 편성 조정 과정에서 생겨난 괴이한 번대. 원래 도자이선 입선 차량은 분리 병결이 가능한 4+3량 편성으로 통일하려고 했었으나, 출력이 약한 0번대 3량 편성으로는 도자이선 내에 존재하는 '''37퍼밀의 급구배 구간'''에서 그대로 서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편성 재조정을 하려면 누가 봐도 새로운 동력객차를 뽑아내야 할 상황이었지만, [[JR 서일본]]은 이런 상식을 완전히 뒤집어 엎는 결정을 내린다. >6+2량 조합으로 8량 편성을 만들 수 있는 '''1000번대를 4+3량 편성으로 비율 맞춰서 재조정하면 동력객차 1량이 남지?'''[br]그거 '''0번대 3량에 붙여서 4량 1편성 만들어서 쓰고''', 도자이선 들어가는 차에는 0번대 3량 편성 붙이지 마! 그렇게 해서 잉여가 된 동력객차를 0번대 3량 편성에 끼워넣은 차로, 쉽게 말하면 JR도자이선 대응을 위해 0번대 3량 편성에 1000번대의 모터카 한대를 더 집어넣은 것으로 보면 된다.[* 다만, H1편성과 H7편성의 1500번대는 신조차다.] 개조하면서 두 형식 간에 기기를 통일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동음도 두 번대의 소리가 같이 난다. 따로 1500번대라고 번대가 부여된 것이 아니고, 원래 차번에 +500을 더하는 방식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2014년 1월에 500+1500번대 H9 편성의 0번대 출신인 500번대 모터카가 초퍼+VVVF 파워트랜지스터 제어라는 괴짜스러운 제어방식에서 일반적인 미쓰비시 2레벨 VVVF-IGBT 제어방식으로 시범적으로 개조되었다. ~~JR서일본이라면 당연한 개조겠지만~~ 다만 H9편성의 1000번대 출신인 1500번대 모터카는 여전히 도시바 VVVF-GTO 제어방식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역시나 한개의 편성에서 두가지 구동음이 들리지만....[[http://www.youtube.com/watch?v=ej6MP1jnrzk|#]] 앞으로 다른 0번대, 500번대 모터카들도 점차적으로 미쓰비시 2레벨 VVVF-IGBT 제어방식으로 개조될 것으로 보인다. === 2000번대 === [[카타마치선]]의 수송품질 향상을 위해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추가 증비된 번대. 차량 외적의 변화는 없지만 제어장치가 VVVF GTO에서 VVVF IGBT로 변경되었고, 각종 기기의 사양은 [[223계 전동차|223계]] 2000번대에 준하게 구성되어 있다. 사실상 223계를 통근형 전동차화 시킨 것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 총 2차례에 걸쳐 도입되었으며, '''2차차의 도입으로 인해 도카이도 본선, 산요 본선, 후쿠치야마선의 103계가 대차되었다.''' 본 형식을 마지막으로 207계의 생산이 종료되었다. 이후 서일본의 통근형 차량은 [[321계 전동차]]로 승계되게 된다. == 개조 == [youtube(4yZ6ZEVmdx0)] [[파일:JRW_207_Renewal_Car_Takaraduka_Line_Rapid.jpg]] 슬슬 초도차가 나온지도 20년이 넘어서 서일본 측이 개조공사 실시를 한다고 밝혔다. 근데 누가 짠돌이 서일본 아니랄까봐, 207계 체질개선공사[* 201계가 받은 그 공사 맞다.] 내역이 상당하다. 쓰러지기 직전인 차가 새차가 돼서 돌아올 정도. 개조 내역은 다음과 같다. * 전조등을 HID로 변경 * 편성 중간의 선두차[* 3+4 병결시 중간 3, 4편성.]안전판 설치[* 225계나 227계 전면부 옆에 달려있는 그것 맞다.] * 선두차량 전면은 321계에 준하여 디자인 변경 * 전면 스커트 교체 * 재도색[* 이에 따라 321계와 조금 더 비슷해졌다.] * [[행선기]]를 기존 3색 LED에서 풀컬러 LED로 변경 * TIMS 업데이트 * 주행기기 업데이트 * 내장재 교체 * 휠체어 공간 신설 * 실내 조명 LED로 교체. * 커튼 교체 * 7인용 시트를 6인용 시트로 변경, 손잡이 교체 * 손잡이 색상및 모양 변경 * 디지털 운전대 교체[* 321계와 똑같은 서일본식 아날로그로 대체되었다.] (출처 : 위키미디어) --이쯤되면 대단하다.--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1991년 출시]][[분류:2003년 단종]][[분류:JR 서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