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a9a9a9> {{{#000 '''해'''}}} || ||<-2> {{{-2 [[2021년]]}}} ||<-2> {{{-2 [[2022년]]}}} ||<-2> {{{-2 [[2023년]]}}} || {{{#000000 '''2024년'''}}} ||<-2> {{{-2 [[2025년]]}}} ||<-2> {{{-2 [[2026년]]}}} ||<-2> {{{-2 [[2027년]]}}} || ||<-13> {{{#09081c '''연대'''}}} || ||<-3> {{{-2 [[2000년대]]}}} ||<-3> {{{-2 [[2010년대]]}}} || [[2020년대|{{{#000000 '''2020년대'''}}}]] ||<-3> {{{-2 [[2030년대]]}}} ||<-3> {{{-2 [[2040년대]]}}} || ||<-13> {{{#c4b73b '''세기'''}}} || ||<-3> {{{-2 [[19세기]]}}} ||<-3> {{{-2 [[20세기]]}}} || [[21세기|{{{#000000 '''21세기'''}}}]] ||<-3> {{{-2 [[22세기]]}}} ||<-3> {{{-2 [[23세기]]}}} || ||<-13> {{{#ffd711 '''밀레니엄'''}}} || ||<-6> {{{-2 [[제2천년기]]}}} || [[제3천년기|{{{#ffd700 '''제3천년기'''}}}]] ||<-6> {{{-2 [[제4천년기]]}}} || ||<-2><#cbb8ee> {{{#000 '''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서력기원|서기]] || 2024년 || || [[대한민국 연호|대한민국]] || 106년 || || [[단군기원|단기]] || 4357년 || || [[불멸기원|불기]] || 2568년 || || [[원기#s-3]] || 109년 || || [[육십갑자|간지]] || [[계묘]]년~[[갑진]]년 || || [[주체년호|주체]] || 113년 || || [[대만]] || [[민국기년|민국]] 113년 || || [[일본]] || [[레이와 시대|레이와]] 6년[br]([[황기]] 2684년) || || [[이슬람력]] || 1445년~1446년 || || [[히브리력]] || 5784년~5785년 || || [[페르시아력]] || 1402년~1403년 || || [[에티오피아력]] || 2016년~2017년 || || [[로마 숫자]] || MMXXIV || || [[인류력]] || 12024년 || [목차] == 개요 == || {{{+1 {{{#white '''2024년까지'''}}}}}} || || '''{{{+5 D[dday(2024-01-01)]}}}''' || 202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갑진]]년(甲辰年, [[청룡]]의 해)이다. == 설명 == 주 5일 근무 기준, 대체 휴일이 적용되지 않는 주말 공휴일이 [[설날]] 당일 1일뿐인 해이다. [[설날]] 다음날은 일요일과 겹쳐 2월 12일(월)이 대체 휴일이 된다. [[1996년]]과 같은 형태의 달력이며, 3월 이후는 [[2002년]], [[2013년]], [[2019년]]과 같다.[* 이는 3월 이후가 [[2009년]], [[2015년]]과 같은 [[2020년]]과 비슷하다. 1월~2월 28일 한정으로 [[2001년]], [[2007년]], [[2018년]]과 같다.] [[삼일절]]이 금요일이라 [[입학]]/개학이 3월 4일이다. 2019년처럼 [[어린이날]]이 일요일이지만 5월 6일 월요일이 대체 휴일이 된다. 이 해 [[부처님오신날]]은 [[스승의 날]]에 겹쳐 각급 학교들은 관련 행사를 생략하거나 전날인 14일에 당겨서 할 것이다. == 정치 == === 국내 정치 === [[4월 10일]]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된다. === 세계 정치 [[빅뱅]]의 해 === [[2020년]]에 이어 4년 만에, 세계 [[정치]]를 갈아엎을 [[선거]]가 몰린 해다. 원래 용띠 해가 선거가 가장 많다. [[동아시아]]인 [[대한민국]], [[북한]], [[일본]], [[몽골]], [[대만]]의 선거가 전부 한 해에 몰려 있고, 특히 [[대한민국]]과 [[북한]]이 [[총선]]을 같은 해에 치르는 건 [[1967년]] 이후 무려 57년 만이며, [[대한민국 제6공화국|제6공화국]] 이후 처음이다. 북한의 선거는 [[김정은]] 집권 12년차를 맞아 시행하며, [[김정일]] 시대를 이끌었던 주요 인사들이 80대 이상의 은퇴할 나이가 됨에 따라 이 선거를 통해 [[김정은]]의 측근 인사로 대거 세대 교체를 할 것으로 여겨져서, 어용선거임에도 '''북한 정세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선거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당사자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선거가 2주 간격으로 열리며, [[유럽연합]]의 총선인 [[2024년 유럽의회 선거]], [[미국]]은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영국]] 총선, [[이란]] 총선, 동남아 주요국인 인도네시아 대선 및 총선에 '''세계 최다 인구 국가''' [[인도]]의 총선, 그리고 [[인도]]의 적국인 [[파키스탄]]의 총선까지 그야말로 '''전 세계 정치 빅뱅'''의 해다. *\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제16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대선) + [[제11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총선) ([[1월 13일]]) *\ [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2024년 파키스탄 의회 선거]] ([[1월]])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2024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 [[2024년 인도네시아 국민협의회 선거]] ([[2월 14일]])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2024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3월 17일]])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제15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202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3월 31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4월 10일]]) *\ [include(틀:국기, 국명=몽골)]: [[2024년 몽골 후랄 선거]] *\ [include(틀:속령3, 속령명=유럽 연합, 출력=유럽연합)]: [[2024년 유럽의회 선거]] ([[5월]])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11월 5일]]) *\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2024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2024년 벨기에 연방하원 선거]] + 지방 선거 + 유럽의회 총선거 (5월)[* 벨기에는 2014년부터 총선, 지방선거, 유럽의회 선거를 같이 치렀다.]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2024년 영국 총선]] ([[2022년]] [[4월]] 의회 고정임기법 폐지[* 이미 [[보리스 존슨]] 총리가 꼼수로 의회를 해산했던 [[2019년 영국 총선]]의 사례가 있어서 고정임기법은 무력화됐고, 이후 [[2022년]] [[4월]] [[엘리자베스 2세]] [[영국 국왕]]의 재가로 고정임기법이 정식 폐지됐다.]로 의회해산 가능) + [[2024년 영국 지방선거]] (5월) *\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2024년 크로아티아 사보르 선거]] ([[7월 24일]] 이전)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2024년 인도 하원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우루과이)]: [[2024년 우루과이 대통령 선거]] + [[2024년 우루과이 의회 선거]] ([[10월 27일]]) (동시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루마니아)]: [[2024년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 (11월) + [[2024년 루마니아 지방선거]] (9월) *\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 [[202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 선거]] (5월) *\ [include(틀:국기, 국명=북마케도니아)]: [[2024년 북마케도니아 소브라니에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2024년 교토시장 선거]]([[2월 4일]]), [[2024년 도쿄도지사 선거]]([[7월]]),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로 구성된 일본 제49대 [[중의원]]의 임기는 [[2025년]]까지이나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가 [[2025년]] [[7월]]에 있어 정치 일정을 조정하기 위해 2024년에 중의원을 [[의회해산]]하고 중의원 총선을 시행하게 된다. *\ [include(틀:국기, 국명=엘살바도르)]: [[2024년 엘살바도르 대통령 선거]] + [[2024년 엘살바도르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2024년 이란 마줄레스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2024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조지아)]: [[2024년 조지아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리투아니아)]: [[2024년 리투아니아 세이마스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2024년 멕시코 대통령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스리랑카)]: [[2024년 스리랑카 대통령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말리)]: [[2024년 말리 대통령 선거]] + [[2024년 말리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남수단)]: [[2024년 남수단 대통령 선거]] + [[2024년 남수단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페루)]: [[2024년 페루 대통령 선거]] + [[2024년 페루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차드)]: [[2024년 차드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모리타니)]: [[2024년 모리타니 대통령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팔라우)]: [[2024년 팔라우 대통령 선거]] + [[2024년 팔라우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2024년 베네수엘라 대통령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벨라루스)]: [[2024년 벨라루스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파나마)]: [[2024년 파나마 대통령 선거]] + [[2024년 파나마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2024년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 선거]] + [[2024년 도미니카 공화국 의회 선거]] *\ [include(틀:국기, 국명=보츠와나)]: [[2024년 보츠와나 의회 선거]] == 경제 == [[2019년]] 대한민국 [[최저임금]]엔 [[상여금]]의 25%, 현금으로 따로 주는 [[복리후생]]비의 7%가 포함되고 단계적으로 변해서 2024년엔 상여금과 복리후생비 전액이 포함되기로 [[대한민국 국회]]에서 결정했다. [[http://naver.me/FpN560jc|KBS]],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8823|고용노동부]] 계획대로 진행되면 북미처럼 완전 시급제로 임금 체계가 변경된다. 다만 이에 대해 논란이 있어 실제 시행될지는 불투명하다. 이 제도를 시행하려면 최저임금을 대폭 올려야 하는데[* 실제 북미에선 [[은행원]]을 포함한 사무직군 대부분이 시급제라 한다. 캐나다 기준 시간당 30~40$ 정도다.], 이미 최저임금을 급격히 올린 부작용을 봐서 [[윤석열 정부]]는 최저시급 인상에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일단 이게 되려면 공무원 등의 공직 사회부터 실시해야 하는데, 현재도 공짜 야근이 일상화된 마당에 이를 전부 시급으로 쳐 주면 국가는 인건비 감당을 못 한다. == 국제대회 == ===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 === [[UEFA 유로 202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UEFA 유로 2024)] === [[2024 파리 올림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4 파리 올림픽)] === [[2024 WBSC 프리미어 1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4 WBSC 프리미어 12)] == 지리/교통 == === 자동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2024년 출시)] === 철도교통 === 이 해엔 5개 이상의 철도 노선이 개통되는 철도 르네상스의 원년이 되는 데다 대한민국의 첫 고속철도인 [[KTX]]가 개통 [[2004년|20주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1974년|50주년]], 세계 최초의 고속철도인 [[신칸센]]이 개통 [[1964년|60주년]]을 맞이해 2024년은 철도에서 매우 의미 있는 해다. 다만, 몇몇 노선들은 [[티스푼 공사|지연될 수 있다.]] 원래는 [[2023년]]에 개통될 노선이 연기되면서 2024년에 많은 노선이 생긴다. '''또한 서부지역, 중부지역, 동부지역, 남부지역 모두 철도교통의 중요한 해이기도 하다. 남북은 준고속철도인 [[서해선]]이 완공되며, 준고속철도인 [[중부내륙선]] [[충주역|충주]]~[[문경역|문경]] 구간이 개통되며, 중앙선 [[안동역|안동]]~[[영천역|영천]] 구간의 전철화가 완료되며, [[동해선]] [[영덕역|영덕]]~[[삼척역|삼척]] 구간이 개통된다. 동서는 [[경전선]] [[보성역|보성]]~[[임성리역|임성리]] 구간이 개통'''된다. [[평택선]] [[창내신호장|창내]]~[[포승역|포승]] 구간이 개통되며, [[교외선]]은 KTX가 개통한 2004년 4월 1일 이후 20년 만에 여객열차 운행이 재개된다. * [[중앙선]] [[안동역|안동]]~[[영천역|영천]] 구간 전철화: 이 구간의 전철화 완성으로 중앙선 전 구간의 전철화가 완료되고 [[안동역]]까지만 운행되던 [[중앙선 KTX]]가 [[신경주역]], [[태화강역]], [[신해운대역]]을 거쳐 [[부전역(동해선)|부전역]]까지 운행하게 돼 [[경부고속선|서울~부산 간 고속철도]]의 바이패스가 완전 개통된다.(12월) * [[중부내륙선]] 2단계 구간 개통: [[중부내륙선]]의 나머지 구간이 개통되면서 철도 혜택을 받지 못했던 [[괴산군]]이 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됐고, [[철도]]로 [[경기도]]를 가기 불편했던 [[문경시]]는 이 구간의 개통으로 철도로 경기도를 쉽게 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KTX-이음]]도 이용할 수 있게 돼서 문경시의 철도교통이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10월) * [[경전선]] [[보성역|보성]]~[[임성리역|임성리]] 구간 개통: 이 구간의 개통으로 철도혜택을 못 받았던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이 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됐고, [[목포역|목포]]-[[순천역|순천]] 구간의 소요시간도 줄 것으로 보인다.(12월) * [[동해선]] [[영덕역|영덕]]~[[삼척역|삼척]] 구간 개통: 철도 혜택을 받지 못했던 [[울진군]]이 이 구간의 개통으로 철도 혜택을 받았고, 또한 [[동해선]]으로 [[부산광역시]]~[[강릉시]]를 철도로 단번에 오갈 수 있다.(12월) * [[서해선]] [[서화성남양역|서화성남양]]~[[홍성역|홍성]] 구간 개통: 이 구간의 개통으로 철도 혜택을 못 받았던 [[당진시]]에서도 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홍성군]]에서 [[서울특별시]]까지 더 빠르게 갈 수 있으며, [[화성시]] 서부와 [[평택시]] 서부에서도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6월 이후)[* 국가철도공단은 서해선 전 구간을 2024년 6월에 개통할 예정이라고 2022년 11월 25일 밝혔다. 2022년 10월 기준 공정률은 90%이다. 서해선엔 KTX 이음을 투입한다. 당초 공단은 2023년 12월 서해선 전 구간을 개통하려 했으나, 레미콘 등 자재 수급 불안으로 개통 시기가 미뤄졌다. 국토교통부가 서해선 복선전철화 사업 기간을 2024년 12월 말로 고시해 개통 시기가 더 늦춰질 수 있다. [[https://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24105|기사]]] * [[교외선]] 여객열차 재운행: 빠르면 2024년 말 또는 늦어도 [[2025년]] 초에 [[고양시]]에서 [[의정부시]]로 복잡한 서울을 거쳐서 철도 교통으로 2시간 이상 빙 둘러가지 않고 더 빨리 갈 수 있게 되며, [[교외선]] 여객열차 운행 중지 후 철도 이용이 불편했던 [[장흥면]], [[덕양구]] 일부 지역의 철도 이용이 더 편리해진다.(하반기)[* 교외선 원릉역 외 기타 시설개선 설계공모전에 따르면 운행일자를 반영해 2024년 6월 말까지 교외선 관련 공사 완료될 수 있도록 교외선 우선설계계획 및 시공계획 수립 필요라고 적혀 있다. [[https://www.kr.or.kr/boardCnts/view.do?boardID=51&boardSeq=1117015|출처]]] * [[평택선]] [[창내신호장|창내]]~[[안중역|안중]] 구간 개통: 평택선의 연장구간으로 평택 서부지역에도 평택 도심을 빠르게 갈 수 있는 노선이다.(하반기) ==== 도시철도 ==== [youtube(8OjwKOp-Rz0)] 그동안 [[티스푼 공사]]로 인해 미뤄져 한산했던 2023년까지의 개통 소식이 2024년에 대거 몰렸다. 수도권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가 개통되며, 비수도권 지역엔 광역철도인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며 다양한 지역에서 도시철도 노선이 생긴다. 또한 [[수도권 전철]]의 대규모 착공이 있다. * [[서울 지하철 8호선|수도권 전철 8호선]]([[별내선]]): [[암사역|암사]]~[[별내역|별내]](6월 29일) * [[수도권 전철 경강선]]: [[성남역]] 개통(6월) * [[대구권 광역철도]] ([[구미역|구미]]~[[경산역|경산]]) 구간 개통([[12월]] 중)[* [[대구권 광역철도]]의 개통은 동남권의 [[동해선 광역전철]]과 [[부전-마산 복선전철]]에 이어 비수도권 두 번째 지역에서의 광역철도가 된다.][*A 준공 및 영업 시운전을 거치면 빨라도 개통 시기는 2025년 상반기가 될 수 있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심역|안심]]~[[하양역(도시철도)|하양]] 구간 개통([[12월]] 중)[*A]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 수서~동탄(4월) 운정~서울 개통.(하반기)[* [[삼성역]]의 개통이 늦어지면서 국토교통부는 운정~서울역 / 수서~동탄 구간을 분리 운행하고 추후에 무정차 통과해 삼성역을 제외한 전 구간을 운행하는 안으로 추진하고 있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 착공. * [[신분당선]] [[광교중앙역]]~[[호매실역]] 착공. * [[서울 경전철 서부선]] 착공. *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 착공. * [[옥정포천선]] 착공. * [[수서광주선]] 착공 * [[월곶판교선]] 잔여공구(2, 3, 4, 5, 7, 9, 10공구) 착공 * [[동탄인덕원선]] 잔여공구(2, 3, 4, 5, 6, 7, 8, 10, 11, 12공구) 착공 === 도로교통 === 2024년에도 굵직굵직한 고속도로들이 연달아 많이 개통된다. 세종포천고속도로 남구리 - 남안성 구간이 개통돼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안성시|안성]]까지 가는데 시간을 단축할 것으로 보인다. [[평택파주고속도로]] 서울~광명 구간이 개통되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산IC]]~[[중동IC]]~[[시흥IC(시흥)|시흥IC]]까지의 악명 높은 정체 구간'''을 어느 정도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광명시흥신도시]]의 고속도로 접근성이 더 좋아질 것이다. 또한 [[익산평택고속도로]] 부여~안중 구간과 지선 구간이 개통돼 [[충청남도]] 중부 구간의 고속도로 접근성이 좋아질 것이며, 이 외에 [[함양울산고속도로]] 창녕~밀양 구간이 개통[* 여담으로 [[창녕JC]] 부근의 [[중부내륙고속도로]]는 선형이 좋지 않아서 그 아래에 있는 [[영산IC]]까지 개량공사가 진행 중이다.]된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양주~법원 구간이 개통돼 [[경기북부]]의 고속도로 접근성이 좋아진다. * [[함양울산고속도로]]의 [[창녕JC]]~[[밀양JC]] 구간 개통 * [[익산평택고속도로]] * [[부여IC(익산평택고속도로)|부여IC]]~[[안중IC]] 구간 개통 * [[익산평택고속도로]]의 지선인 [[현덕JC]]~[[포승JC]] 구간 개통 * [[평택파주고속도로]]의 [[남광명JC]]~[[88JC]] 구간 개통 (5월) * [[세종포천고속도로]]의 [[남구리IC]]~[[남안성JC]] 구간 개통 * [[중앙고속도로지선]]의 나들목인 [[남물금IC]] 개통 * [[남해고속도로2지선]]의 나들목인 [[김해율하IC]] 개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양주IC]]~[[법원IC]] 구간 개통 * 구 [[경인고속도로]]([[인천대로]]) 일반도로화 사업 완료 주요 도로 착공도 많다. * [[평택제천고속도로]] [[제천JC]] - 남영월IC 구간 착공 * [[계양강화고속도로]] 강화IC - [[서운JC]] 구간 착공 * [[중부고속도로]] [[서청주IC]] - [[증평IC]] 6차로 확장공사 착공 * 제2경춘국도 착공 * [[7번 국도]] 울산 - 경주 내남 확장공사 착공 == 문화 == === 영화 === * '''[[더 폴 가이]]''' * '''[[미키17]]''' *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번째 날]]'''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엘리오]]''' * '''[[인사이드 아웃 2]]'''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백설공주(2024)|백설공주]]''' * '''[[무파사: 라이온 킹]]'''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데드풀 3]]''' *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 '''[[썬더볼츠(영화)|썬더볼츠]]''' *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 * '''[[마담 웹(영화)|마담 웹]]''' * '''[[베놈 3]]''' * '''[[크레이븐 더 헌터(영화)|크레이븐 더 헌터]]''' * [[몬스터버스]] *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 '''[[2Φth 가면라이더 555 파라다이스 리게인드]]''' * '''[[가필드(2024)|가필드]]''' * '''[[듄: 파트 2]]''' * '''[[쿵푸팬더 4]]''' * '''[[퓨리오사(영화)|퓨리오사]]''' * '''[[리턴 투 사일런트 힐]]'''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TWO]]''' * '''[[반지의 제왕: 로히림의 전쟁]]''' * '''[[범죄도시4]]''' * '''[[슈퍼배드 4]]''' * '''[[수퍼 소닉 3]]''' * '''[[조커: 폴리 아 되]]''' * '''[[위키드(영화)|위키드]]''' * '''[[일렉트릭 스테이트]]''' * '''[[혹성탈출 4]]''' * '''[[비틀쥬스 2]]''' === 드라마 === * [[데어데블: 본 어게인(드라마)|데어데블: 본 어게인]]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3)|스위트홈]] * [[아이언하트(드라마)|아이언하트]] * [[애거사: 코븐 오브 카오스]] * [[오징어 게임(시즌 2)|오징어 게임]] === 게임 === * [[Broken Veil]] * [[Earthblade]] * [[ARK 2]] * [[Hytale]] * [[Reloader: subject_alpha]] * [[The Wolf Among Us 2]] * Nevertheless Studio * [[스토커 2|S.T.A.L.K.E.R. 2: Heart of Chornobyl]] * [[Still Wakes the Deep]] * [[철권 8]] *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 * [[크로노 오디세이]] * [[라이즈 오브 더 로닌]] * [[수어사이드 스쿼드: 킬 더 저스티스 리그]] * [[테스트 드라이브 언리미티드: 솔라 크라운]] * [[도깨비(게임)|도깨비]] * [[아키에이지 2]] * [[어쌔신 크리드: 코드네임 RED]] * [[데스티니 가디언즈/최후의 형체]] * [[용과 같이 8]] * [[프로젝트 렐릭]] * [[드래곤 에이지: 드레드울프]] * [[스타워즈 아웃로]] *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2024]] * [[메타포: 리판타지오]] * [[나이팅게일(게임)|니이팅게일]] * [[백영웅전]] * [[페르소나 3 리로드]] * [[홈월드 3]] * [[팔월드]] * [[퍼시픽 드라이브]] * [[메탈기어 솔리드 Δ 스네이크 이터]] * [[메타포: 리판타지오]] * [[프로스트펑크 2]] * [[프로젝트 렐릭]] * [[메타포: 리판타지오]] * [[팔월드]] * [[프리마 돌/키네틱 노벨]] * [[역전재판 456 오도로키 셀렉션]] * [[멀티버서스]] * [[어바우드]] * [[리틀 나이트메어 III]] * [[어둠 속에 나 홀로(2024)|어둠 속에 나 홀로]] * [[스토커 2: 하트 오브 초르노빌]] === 교육 === === 애니메이션 === 목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 문서들을 참고. * [[애니메이션/2024년 1월]] * [[애니메이션/2024년 4월]] * [[애니메이션/2024년 7월]] * [[애니메이션/2024년 10월]] === 스포츠 === * [[FIFA]]의 총회가 열리며,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이래 개최 100주년 [[FIFA 월드컵]]인 [[2030 FIFA 월드컵]]의 개최지를 선정한다. == 연예계 == * 그룹 [[쿨(혼성그룹)|쿨]]과 [[룰라]], 가수 [[김경호]]와 [[윤도현]]이 데뷔 30주년을 맞는다. * 그룹 [[클레오]], [[클릭비]], [[플라이 투 더 스카이]], [[god(아이돌)|god]]가 데뷔 25주년을 맞이한다. 또한 [[베이비복스]]에 마지막으로 합류한 [[윤은혜]]도 데뷔 25주년을 맞이한다. 또한 [[클레오]]에 마지막으로 합류한 [[공서영]] 역시 데뷔 20주년을 맞는다. * 가수 [[윤하]]가 데뷔 20주년을 맞는다. * 그룹 [[애프터스쿨]], [[2NE1]], [[4minute]], [[티아라(아이돌)|티아라]], [[f(x)]], [[시크릿(아이돌)|시크릿]], [[레인보우(아이돌)|레인보우]], [[비스트(아이돌)|비스트]](현 [[하이라이트(아이돌)|하이라이트]]), [[엠블랙]] 등이 데뷔 15주년을 맞는다. * 그룹 [[마마무]], [[Red Velvet]], [[라붐(아이돌)|라붐]], [[러블리즈]], [[WINNER]], [[창모]], [[GOT7]] 데뷔 10주년을 맞이하게 되고, [[카라]]에 마지막으로 합류한 [[허영지]]도 데뷔 10주년을 맞는다. * 그룹 [[마마무]]의 멤버인 [[솔라(마마무)|솔라]], [[문별]]이 소속사 [[RBW]]와 2차 재계약을 한다. * 그룹 [[더보이즈]], [[골든차일드]], [[온앤오프]], [[위키미키]], [[앨리스(아이돌)|앨리스]]가 표준계약서 기준으로 7년으로 계약이 종료된다. * 그룹 [[ITZY]], [[체리블렛]], [[원어스]], [[VERIVERY]], [[투모로우바이투게더]], [[CIX]], [[AB6IX]], [[EVERGLOW]], [[로켓펀치]], [[DKZ]]가 데뷔 5주년을 맞이한다. * [[7월 3일]]: 걸그룹 [[Kep1er]]의 활동이 종료된다. == 사건 == ##=== 실제 === === 예정 === * [[1월 1일]] * [[TBS]]에 대한 서울시 예산 지원이 중단된다. * 7급 이상 [[국가공무원]] 시험 응시 연령이 20세에서 18세로 하향된다. * [[부천시]]의 일반구가 재출범한다. * 최저임금이 9,620원에서 9,860원으로 인상된다. * [[Steam]]이 [[Windows 7]], [[Windows 8.1]]에 대해 지원을 중단한다. * [[1월 8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당원권 정지가 해제된다. * [[1월 9일]]: [[Windows Server 2019]]의 메인스트림 지원이 종료된다. *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가 공식 출범한다. * [[1월 19일]]~[[2월 2일]]: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이 개최된다. * [[1월 31일]]: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가 대한민국에서 서비스를 종료한다. * [[2월 9일]]: [[영아살해죄]], [[영아유기죄]]가 폐지되고 사형의 [[형의 시효|집행시효]]가 폐지된다. * [[2월 29일]]: 서울 도봉구 소재 고등학교 중에 [[도봉고등학교]]가 폐교된다. * [[3월 20일]]: [[버닝썬 게이트]]의 주범 중 1명인 [[정준영]]의 형기가 끝난다. * [[4월]] 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동탄역|동탄]]~[[수서역|수서]] 구간이 개통된다. * [[4월 8일]]: 태평양 중부, 멕시코 북부, 동부, 남서부와 미국 중부, 캐나다 남동부, 대서양 북부에서 개기 [[일식]]이 관측된다. *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및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가 치러진다. * [[5월]] 중 * [[유럽연합]] - [[유럽의회 선거]]. * [[영국]]의 제59회 [[영국 총선]]. * [[평택파주고속도로]]의 [[남광명JC]] - [[88JC]] 구간이 개통된다. * [[6월]] 중 * [[서해선]] [[서화성남양역|서화성남양]]~[[홍성역|홍성]] 구간이 개통된다. * [[평택선]] [[창내신호장|창내]]~[[포승역|포승]] 구간이 개통된다. * [[6월 14일]]~[[7월 13일]]: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이 [[미국]]에서 개최된다. * [[6월 14일]]~[[7월 14일]]: [[UEFA 유로 2024]]가 [[독일]]에서 개최된다. * [[6월 29일]]: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연장선인 [[별내선]]이 개통된다. * [[7월 26일]]~[[8월 11일]]: [[2024 파리 올림픽]]이 개최된다. * [[8월]] 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서울역|서울]]~[[운정역(GTX)|운정]] 구간이 개통된다. * [[8월 28일]]~[[9월 8일]]: [[2024 파리 패럴림픽]]이 개최된다. * [[10월]] 중: [[중부내륙선]] [[충주역|충주]]~[[문경역|문경]] 구간이 개통된다. * [[10월 16일]]: [[2024년 하반기 재보궐선거]]가 치러진다. * [[11월 5일]]: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 [[11월 14일]]: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다. * [[11월]] 중: [[정조대왕급 구축함]]이 해군에 인도된다. * [[12월]] 중 * [[동해선]] [[영덕역|영덕]]~[[삼척역|삼척]] 구간이 개통된다. * [[경전선]] [[보성역|보성]]~[[임성리역|임성리]] 구간이 개통된다. * [[중앙선]] [[안동역|안동]]~[[영천역|영천]] 구간의 전철화가 완료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심역|안심]]~[[하양역(도시철도)|하양]] 구간이 개통된다. *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된다. * [[익산평택고속도로]]의 [[부여IC(익산평택고속도로)|부여IC]] - [[안중IC]] 구간이 개통된다. * [[익산평택고속도로]]의 지선 구간이 개통된다. * 미정 * [[HBO 맥스]]가 [[HBO 맥스/대한민국|대한민국에 정식 서비스를 출시]]한다. * [[ESA]]가 진행 중인 우주공간 임무 로드맵 즉, 코스믹 비전(Cosmic Vision) M-class 프로젝트 중 세 번째 미션인 플라토(PLATO)가 발사된다. 플라토는 [[외계 행성]] 발견 목적의 우주망원경이다. * 호주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건설 중인 전파 망원경 SKA(Square Kilometre Array)가 완성된다. * [[한빛 원자력 발전소]]와 [[고리 원자력 발전소]]의 사용 후 핵연료 저장고가 가득 차게 된다. * [[경기도]] [[일산신도시]]에 CJ의 대규모 공연장인 (가칭)CJ 아레나가 준공된다. * [[교외선]] 여객열차의 운행이 재개된다. * [[세종포천고속도로]]의 [[남구리IC]] - [[남안성JC]] 구간이 개통된다. * [[함양울산고속도로]]의 [[밀양JC]] - [[창녕JC]] 구간이 개통된다.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양주IC]]~[[법원IC]] 구간이 개통된다. * [[중앙고속도로지선]]의 나들목인 [[남물금IC]]가 개통된다. * [[남해고속도로2지선]]의 나들목인 [[김해율하IC]]가 개통된다. * [[영국]]의 [[퍼블릭 스쿨]] 중 윈체스터 칼리지가 남녀공학으로 전환된다. * [[푸바오]]가 [[중국]]으로 반환된다. === 주년 === * [[1월 6일]]: [[김대중]] 전 대통령 탄생 100주년. * [[3월 24일]]: 모바일 게임 [[좀비고등학교]] 출시 10주년. * [[4월 1일]]: * [[KTX]] 개통 20주년. * [[교외선]] 여객열차 운행중단 20주년. * [[4월 16일]]: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10[['주기'와 '주년'의 구별|주년]]. * [[4월 20일]]: Ez2dj 시리즈 25주년.[* Ez2dj 1st Trax 기준으로 되어있다.] * [[6월 6일]]: [[테트리스]] 출시 40주년.[* 원조 테트리스의 출시 40주년이다. [[대한민국]]의 [[오락실]]에서 흔히 테트리스라고 부르는 [[아타리 테트리스]]는 1988년에 출시됐기 때문에 이 제품의 출시 40주년은 아니다.] * [[7월 1일]]: * 통합 [[청주시]] 출범 10주년. *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20주년. * [[7월 12일]]: [[롯데월드 어드벤처]] 개장 35주년 * [[8월 15일]]: [[서울 지하철]] 및 [[수도권 전철]] 개통 50주년. * [[8월 17일]]: Ez2dj 6th Trax 20주년. * [[9월 3일]]: [[레이디스 코드 교통사고]]로 사망한 [[고은비(1992)|고은비]]의 10주기. * [[9월 7일]]: 위와 같은 이유로 사망한 [[권리세]]의 10주기. * [[10월 1일]]: 세계 최초의 [[고속철도]] [[신칸센]] 개통 60주년. * [[10월 21일]]: [[성수대교 붕괴 사고]] 30[['주기'와 '주년'의 구별|주년]]. * [[10월 27일]]: * 가수 [[신해철]] 사망 10주기. * [[리그 오브 레전드]] 출시 15주년. * [[12월 26일]]: Ez2ac Evolve 10주년. * [[12월 31일]]: [[투니버스]]의 [[아동용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시리즈]] 10주년. === 가상 === * [[4월 15일]]: 모종의 사건으로 역사 개변이 발생한다. - [[스타트렉: 피카드]] * [[5월 17일]]: 주인공 일행 3인방이 기억을 잃는다. - [[이름 없음은 대체 누구죠?]] * [[11월 7일]]: [[카야바 아키히코]]가 죽고 SAO 사건이 종결된다. - [[소드 아트 온라인]] * [[PMC: 더 벙커]]의 배경 연도.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시간 순서는 [[팔콘과 윈터 솔져]]→[[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호크아이(드라마)|호크아이]] ] * [[팔콘과 윈터 솔져]]의 배경 연도. * [[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의 배경 연도.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시점은 여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시점은 10월 말~[[리버티 섬 전투|11월 초 중반.]]] 의 배경 연도. * [[11월 14일]]: [[리버티 섬 전투]]가 발생한다. -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 [[호크아이(드라마)|호크아이]]의 배경 연도. * [[고질라 VS. 콩]]의 배경 연도. * [[모리시마 호다카]]와 [[아마노 히나]]가 재회한다. - [[날씨의 아이]] * [[미야미즈 미츠하]]와 [[타치바나 타키]]가 결혼한다. - [[너의 이름은.]] * 인간들 사이에서 EMP 사고가 레플리칸트의 짓이란 소문이 돌자 정부는 레플리칸트의 생산과 보유를 전면 금지시킨다. - [[블레이드 러너]] 시리즈 * 미국의 재건을 꿈꾸는 NUSA 측에서 [[조니 실버핸드]]가 아라사카 나이트 시티 지사에 벌인 [[핵무기]] 테러를 [[밀리테크]]가 사주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캘리포니아 전체에 계엄령을 선포한다. - [[사이버펑크 2077]]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VS 젠카이저]]의 배경년도. * [[웨이랜드 유타니|웨이랜드 사]]([[피터 웨이랜드]])는 프로토타입 안드로이드 [[데이빗]][* [[프로메테우스(영화)|영화 프로메테우스]]에서 첫 등장한 [[데이빗 8]]은 이 데이빗의 8세대 타입이다.]을 생산한다. 이에 일본의 유타니 기업이 안드로이드에 대한 특허를 주장하며 웨이랜드 사에게 소송을 건다. - [[에이리언 시리즈]] == 탄생 == ##=== 실존 인물 === === 가상 인물 === * [[8월 15일]]: [[넥키 바사라]] - [[마크로스 7]] * [[9월 6일]]: [[모모조노 모모코]] - [[신혼합체 고단나]] * [[9월 14일]]: [[신혼합체 고단나/등장인물|히이라기 토우코]] - [[신혼합체 고단나]] * 일자 불명: [[에밀리아 지너스]] - [[마크로스 7 은하가 나를 부른다]] == 사망 == ##=== 실존 인물 === === 가상 인물 === * [[4월 4일]] *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 [[웬우]] * [[7월 2일]]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 [[미스테리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미스테리오]] * [[11월 4일]] * [[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 - [[에이잭]] * [[11월 7일]] * [[카야바 아키히코]] - [[소드 아트 온라인]](소설/애니메이션 기준의 SAO 사건 종결일[* 게임판에선 설정이 좀 바뀌었다.]) * [[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 - [[길가메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길가메시]] * [[11월 11일]] * [[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 - [[이카리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이카리스]] * [[11월]]~[[12월]] 사이 *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 [[메이 파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메이 파커]] * 일자 불명 * 핵무기도 만들어 드릴까요? - 김준 == 달력 == [include(틀:2024년 달력)] === 연휴 === * 2023년 12/30(토)~1/1(월): [[새해 첫날]] [[연휴]] (3일) * 2/9(금)~2/12(월): [[설날]] 연휴 (4일) * 3/1(금)~3/3(일): [[삼일절]] 연휴 (3일) * 5/4(토)~5/6(월): [[어린이날]] 연휴 (3일) - 어린이날과 일요일이 겹침에 따라 바로 뒤에 오는 월요일이 [[대체 휴일]]로 지정됐다. * 6/6(목)~6/9(일): [[현충일]] [[징검다리 연휴]] (4일) * 8/15(목)~8/18(일): [[광복절]] 징검다리 연휴 (4일) * 9/14(토)~9/18(수): [[추석]] 연휴 (5일) * 10/3(목)~10/6(일): [[개천절]] 징검다리 연휴 (4일) == 음력 날짜 == || {{{#black,#e5e5e5 '''음력월'''}}} || {{{#black,#e5e5e5 '''월건'''}}} || {{{#black,#e5e5e5 '''대소'''}}} || {{{#black,#e5e5e5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black,#e5e5e5 '''일진'''}}} || || [[1월]] || [[병인]] || {{{#black,#e5e5e5 소}}} || [[2월 10일]] || [[갑진]] || || [[2월]] || [[정묘]] || {{{#black,#e5e5e5 대}}} || [[3월 10일]] || [[계유]] || || [[3월]] || [[무진(간지)|무진]] || {{{#black,#e5e5e5 소}}} || [[4월 9일]] || [[계묘]] || || [[4월]] || [[기사(간지)|기사]] || {{{#black,#e5e5e5 소}}} || [[5월 8일]] || [[임신(간지)|임신]] || || [[5월]] || [[경오]] || {{{#black,#e5e5e5 대}}} || [[6월 6일]] || [[신축]] || || [[6월]] || [[신미]] || {{{#black,#e5e5e5 소}}} || [[7월 6일]] || [[신미]] || || [[7월]] || [[임신(간지)|임신]] || {{{#black,#e5e5e5 대}}} || [[8월 4일]] || [[경자]] || || [[8월]] || [[계유]] || {{{#black,#e5e5e5 대}}} || [[9월 3일]] || [[경오]] || || [[9월]] || [[갑술]] || {{{#black,#e5e5e5 소}}} || [[10월 3일]] || [[경자]] || || [[10월]] || [[을해]] || {{{#black,#e5e5e5 대}}} || [[11월 1일]] || [[기사(간지)|기사]] || || [[11월]] || [[병자]] || {{{#black,#e5e5e5 대}}} || [[12월 1일]] || [[을사]] || || [[12월]] || [[정축]] || {{{#black,#e5e5e5 소}}} || [[12월 31일]] || [[기사(간지)|기사]] || [[분류: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