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신냉전)] [include(틀:북한 관련 뉴스/2024년)] ||<-2> {{{+1 '''2024년 북한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사건'''}}} || ||<-2> [youtube(UQD171hNITU)] || || '''발생일시''' ||[[2024년]] [[5월 28일]] 23시 경|| || '''발생장소'''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전역|| || '''유형''' ||[[오물#s-1]] 살포[* 전선, 폐비닐, 거름 등 쓰레기, 분뇨 등[[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351573|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640065|2]]], 대남 도발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4년]] [[5월 28일]] 오후 11시경부터 [[북한]]이 개수 미상의 [[풍선]]을 통해 [[오물]]을 무단 살포한 사건. 사건 초기에는 [[삐라#s-4|대남전단(삐라)]] 살포로 의심되었으나 폐전선, 거름, 쓰레기, 분뇨, [[메이드 인 차이나|중국산]] [[건전지]] 등이 확인되었다. 접경지역부터 시작하여 남쪽으로는 [[https://www.news1.kr/articles/?5430632|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40529_0002753003|경상남도 거창군]],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664223&plink=SHARE&cooper=COPY|경상북도 영천시]]에 이어 [[https://www.safet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9909|수도권]]까지 풍선이 확인되었다. 29일 오후 4시 기준, 260여개 풍선이 발견되었으며 현재 공중에 떠 있는 풍선은 없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 정체 == [[파일:삐라뉴스.png|width=350px]] 북한에서 며칠 전인 5월 26일 남측의 [[대북전단]]에 맞서 자기들도 오물을 뿌리겠다고 도발했기 때문에 [[삐라]]의 내용물이 [[오물]]이라는 추측이 나왔다. 김강일 북한 국방성 부상은 조선중앙통신의 담화를 통해 "수많은 휴지장과 오물짝들이 곧 한국 국경지역과 종심지역에 살포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경고는 지난 13일 탈북민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의 [[박상학]] 대표가 “대북전단 30만장과 케이-팝(K-pop)·트로트 동영상 등을 저장한 이동식저장장치(usb) 2000개를 대형풍선 20개에 매달아 10일 밤 11시께 인천 강화도에서 북쪽으로 보냈다”고 언론에 주장한 뒤에 나왔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사건 전날인 5월 27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지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 쪽으로 전단을 살포해 자동차가 파손되는 등의 피해를 입혔고 풍선에 오물을 넣는 등 저급한 행동을 했다"며 "북한 풍선으로 보이는 물체를 발견했을 경우 군부대나 경찰로 신고해 달라"고 밝혔다. 5월 28일 23시 47분 경기일보 보도에서는 떨어진 일부 풍선에는 어두운 색깔과 냄새 등으로 미뤄 [[똥|분변]]으로 추정되는 오물이 봉투에 들어 매달려 있었다고 밝혔다. 얼마 지나지 않아 비행물체에서 떨어진 분변과 중국산 [[건전지]]로 추정되는 물체의 사진이 인터넷에 올라왔다. {{{#!folding 사진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북전단_건전지.jpg|width=500]] }}} == 대응 == 국군은 북한의 대남 비행물체 10개를 식별하였고, 야간 시간대를 고려해 격추는 하지 않고 지역별로 감시를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666/0000042833?sid=100|[속보] 경기도, 재난 문자 “北 대북전단 추정 미상물체…야외활동 자제”]] *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713424?sid=100| 軍, 북한 '대남전단' 추정 풍선 10여개 식별…오물 포착(종합)]] 5월 29일 08시, 국군은 발견된 대남 비행물체의 개수가 90개가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09시경 군 관계자는 대변 종류로 추정되는 오물이 봉투에 들어 매달려 있었다고 하나, 대남 전단은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미상 물체 식별 시 접촉하지 말고 가까운 군부대 또는 경찰에 신고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2041544?sid=100|군 "대남전단 현재 90여 개 발견...80개 추가 수거"]] * [[https://m.yna.co.kr/view/AKR20240529028300504?section=search/news|군, 북한이 살포한 '대남 오물 풍선' 90여개 발견…일부 수거]] 11시 10분, [[합동참모본부]]는 대남 오물 풍선이 10개 가량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12시 5분, [[합동참모본부]]는 약 150여개의 풍선이 살포되었으며, 군 화생방신속대응팀과 폭발물처리반 등이 출동해 수거중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351573|#]] 오물 살포 테러와 별개로 북한이 서해 지역에서 남쪽을 향해 [[GPS]] 전파 교란 공격도 동시다발적으로 실시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풍선을 무작위로 내려보내 공포를 조성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GPS 교란 공격을 감행하며 혼란을 증폭시키려 한 것으로 추정된다. *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40529/125172657/1|[단독]北, ‘오물 풍선 테러’ 직후 GPS 전파 교란 공격]] [[대통령실]]은 북한이 살포한 '오물 풍선'을 우리 정부를 향한 심리전으로 간주하고 "침착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https://www.mbn.co.kr/news/politics/5030091|#]] == 반응 == 2023년 중반부터 2024년까지 북한은 미사일발사, 로켓발사, 해안포사격, 국가전산망해킹 등 대남도발을 수시로 강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남한에서는 정치계, 사회계, 문화·연예계발 사건사고 이슈가 단 한번의 끊임도 없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바람에 여론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해왔다. 그러나 이번 도발은 그 수준이 상당히 엽기적이고 독특해서 일단 [[관심병|여론의 관심을 환기시키는데에는 성공]]했다는 평이다. == 재난문자 == 5월 28일 오후 11시 34분, [[경기도]] 일부(북부) 지역에 [[재난문자방송#s-4.1|위급재난문자]]가 발송되었다. 5월 29일 오전 12시 2분,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지역에도 재난문자가 발송되었는데, 민방공경보로 발송한 경기도와 다르게 테러로 지정하여 발송했다. 5월 29일 오전 9시 51분, [[양구군]]에서 강원특별자치도와는 별개로 재난문자가 발송되었다. 5월 29일 오전 11시 39분, [[강화군]] 일대에도 풍선이 발견됨에 따라 [[인천광역시]] 전역에 재난문자가 발송되었다. 테러로 지정한 강원특별자치도와는 다르게 기타로 지정하여 발송하였다. || {{{+1 ⚠️ '''[[위급재난문자|{{{#000,#fff 위급재난문자}}}]]'''}}}[br][[경기도|[[파일:경기도 휘장.svg|width=30px]]]][* 경기 광주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안성시, 양주시, 연천군, 오산시, 의정부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수원시(장안구, 권선구 , 팔달구, 영통구), 고양시(덕양구, 일산동구, 일산서구), 용인시(처인구, 기흥구, 수지구)[br]국민재난안전포털에 따르면 가평군, 과천시, 김포시, 안산시, 시흥시, 하남시, 화성시 등 도내 일부 지역은 이번 민방공경보 경계경보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포함되는 지역의 무선 기지국에서 휴대전화 신호가 잡히는 대로 위급재난문자를 발송하는 시스템 상 이들 미포함 지역(그리고 인천/서울/강원의 인접 지역)에서도 위급재난문자를 수신한 휴대전화가 울렸을 것이다.] {{{-2 5월 28일 23시 34분}}} {{{-2 [[경계경보]]}}} || || 북한 대남전단 추정 미상물체 식별. 야외활동 자제 및 식별 시 군부대 신고. Air raid Preliminary warning[* 민방위 경보 발령·전달 규정 (별표4 - 민방위경보 TV 자막방송 송출기준)에 따르면 Air raid는 공습, Preliminary warning은 경계경보를 의미한다. 즉 공습·경계경보 발령이라는 뜻이다.] [경기도] || || {{{+1 ⚠️ '''[[안전안내문자|{{{#000,#fff 안전안내문자}}}]]'''}}}[br][[강원특별자치도|[[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width=30px]]]][*1차 양구군, 인제군[br]경기도와 달리 접경지역에 한해서만 위급재난문자가 아닌 안전안내문자로 발송했다. 경기도는 민방공경보를 발령했기 때문에 해당 경보 규정 상 최상위 단계인 위급재난문자로 발송했고(이 단계에서는 어떻게든 휴대전화 수신 거부가 불가능하다.) 강원도는 그러지 않았기에 최하위 단계인 안전안내문자로 발송할 수 있었다.(이 단계에서는 휴대전화 수신 거부를 설정해 놓을 수가 있다.)] {{{-2 5월 29일 00시 02분}}} {{{-2 [[테러]]}}} || || 북 대남전단 추정 이상 물체가 강원 접전지역 일대에서 식별. 국민께서는 야외 활동을 자제하시고 미상 물체 식별 시 군부대 또는 경찰에 신고 바랍니다.[강원자치도] || || {{{+1 ⚠️ '''[[안전안내문자|{{{#000,#fff 안전안내문자}}}]]'''}}}[br][[강원특별자치도|[[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width=30px]]]][*2차 고성군, 양구군, 인제군] {{{-2 5월 29일 07시 46분}}} {{{-2 [[테러]]}}} || || 북 대남전단 추정 미상 물체 강원 접전지역 일대 식별. 미상 물체(흰색 둥근풍선 형태) 발견 시 절대 접촉하지 마시고 군부대 또는 경찰에 신고 바랍니다.[강원자치도] || || {{{+1 ⚠️ '''[[안전안내문자|{{{#000,#fff 안전안내문자}}}]]'''}}}[br][[양구군|[[파일:양구군 CI.svg|width=30px]]]][* 양구군 일대] {{{-2 5월 29일 09시 50분}}} {{{-2 [[교통]]}}} || || 북 대남전단 추정 미상 물체 양구지역 일대 식별.미상 물체(흰색 둥근풍선 형태) 발견시 절대 접촉하지 마시고 군부대 또는 경찰에 신고바랍니다.[양구군] || || {{{+1 ⚠️ '''[[안전안내문자|{{{#000,#fff 안전안내문자}}}]]'''}}}[br][[인천광역시|[[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width=30px]]]][* 인천광역시 전역] {{{-2 5월 29일 11시 39분}}} {{{-2 [[기타]]}}} || || 북 대남전단 추정 미상 물체 강화군 일대 식별. 대상 물체(흰색 둥근풍선 형태)발견시 절대 접촉하지 마시고 군부대 또는 경찰에 신고바랍니다.[인천시 경보통제소] || === 경계경보 발령 === [youtube(A24g3dJBsTA)] 경기도 위급재난문자의 영문 번역에 '공습예비경보'라는 표현이 들어가며 공습 여부에 대해 다수의 언론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 보도에 따르면 112와 119로 공습예비경보에 대한 확인 전화가 쇄도했다. 그러나 해당 영문은 공습예비경보가 아니라 '''[[경계경보]]의 영문명이다.''' 정확한 의미가 있는 단어로, 민방위 경보 발령·전달 규정 (별표4 - 민방위경보 TV 자막방송 송출기준)에 따르면 Air raid는 공습, Preliminary warning은 경계경보를 의미한다. 즉 공습·경계경보 발령이라는 뜻이다. 해당 사안을 [[민방공경보]]인 [[경계경보]] 발령 시스템을 사용해 재난문자를 발송했기 때문에, 위급재난문자에 경계경보를 알리는 영문 경보인 Preliminary warning이 삽입된 것이다. [[경기도]] 민방위경보통제소는 [[경계경보]] 위급재난문자 발송을 군부대에서 강하게 요청하였다면서, 북한의 비행체가 어떤 내용물인지 확인되지 않았다면 현행법상 위급재난문자로 발송해야 한다는 의무가 현행법에 기재되어 있다고 밝혔다. 다만 Air raid Preliminary Warning이라는 공습경계경보가 아니라 일반 경계경보인 Preliminary Warning만 발송되어야 하는 것이 맞지만, [[행정안전부]] 시스템에 이것이 반영되어 있지 않아 Air raid가 같이 발송된 것이라고 밝혔다. 즉 경계경보의 발송을 공습상황으로 가정하였는지 몰라도 Preliminary warning만 발송하는 템플릿이 없고 Air raid가 항상 붙어있는 템플릿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그것이 예비 경보라고 하더라도 'Air raid'는 [[진주만 공습]]을 전달하기 위해 보내진 [[This is not a drill|전보]]에도 등장하는 표현이다. 관련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에게는 더욱더 놀랄 수 밖에 없는 문구이며 특히 [[남북분단]] 상황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 체류 외국인은 화들짝 놀랄 수 있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94737?sid=102|"공습이라고?" 한밤 철렁…재난문자 번역에 불만 속출]] *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750761?sid=102|"공습 경보라니"…한밤 대남전단 문자에 시민들 '화들짝']] *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567758?sid=102|한밤 중 경기도내 '공습 위기 경보' 재난문자…놀란 시민들 ‘불안감’]] *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81392?sid=102|'전쟁 임박' 공습(Air raid) 예비경보? 알고 보니 북한 '삐라' 주의 재난문자]] *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1005096?sid=102|"한밤 중 공습경보라니"… 대남전단 재난문자에 '철렁']] *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385615?sid=103|'아침까지 가슴 졸였다'…공습 위기 경보?]] *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37068?sid=102|한밤중 영어로 온 ‘Air raid(공습)’ 재난문자…“외계인 나타난 줄”]] [[분류:북한/대남 도발]][[분류:2024년 테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