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3년 대한민국 서부 산불)] ||<#000> {{{#fff '''2023년 대한민국 서부 산불 발생 이후'''}}} || || {{{+5 '''D[dday(2023-04-02)]'''}}} || [목차] == 개요 == [[2023년]] [[4월 2일]]~[[4월 4일]]까지 [[대한민국]] 서부 지역에서 연쇄적으로 발생한 대형[[산불]]이며, '''총 합쳐서 3013ha'''라는 매우 거대한 임야가 소실되었다. 홍성 산불과 대전-금산 산불, 함평 산불, 순천 산불은 산불 대응 3단계, 서울 [[인왕산]]과 당진, 보령 산불은 산불 대응 2단계, 나머지는 산불 대응 1단계가 발령되었다. 특히, 이 날은 전국적으로 40여건의 [[산불]]이 발생하는 등 매우 건조한 날[* [[경상도]]와 [[전라도]] 일부를 제외하고 건조주의보가 최장 2주째 지속되었고, 특히 [[서울특별시|서울]]과 [[대전광역시|대전]] 전역과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충청도]] 일부, [[강원도|강원]] [[원주시|원주]], [[경상북도|경북]] [[문경시|문경]]에는 건조경보가 내려진 상황이었다. 지난 겨울부터 장기간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대지가 바짝 말라 있었던 것도 한 몫 했다.]이었기에 대형 산불이 많이 발생했다. 이외에도 [[홍성군]] [[금마면(홍성)|금마면]], [[서산시]] [[해미면]], [[부여군]] [[세도면]], [[정읍시]] [[산외면]], [[김제시]] [[금구면(김제)|금구면]], [[무안군]] [[몽탄면]], [[고창군]] [[고창읍]], [[화성시]] [[양감면]]과 [[송산면(화성)|송산면]], [[당진시]] [[석문면]] 등 수도권과 충청, 호남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산불이 잇따랐다. 또한, 1986년 산불 최초 실시간 감시 이후 100ha 이상을 태운 산불이 5개 이상 동시에 발생한 최초의 사례이다. [[4월 4일]]부로 [[2023년 대한민국 서부 산불]]은 종료가 되었다. 특히 4일 오후/저녁부터 전국에 걸쳐 내린 비 덕분에 잔불까지 자연스레 진화되었다. 다만 비가 그치고 7일부터 다시 건조해진다는 예보라 여전히 안심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 [[2023년]] [[4월 2일]] == === [[2023년 홍성 산불|홍성군 서부 산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년 홍성 산불)] 진화 완료 === [[2023년 당진 대호지면 산불|당진시 산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년 당진 대호지면 산불)] 진화 완료 === [[2023년 보령 청라면 산불|보령시 산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년 보령 청라면 산불)] 진화 완료 === [[2023년 고창 상하면 산불|고창군 산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년 고창 상하면 산불)] 진화 완료 === [[2023년 서울 인왕산-북악산 산불|서울시 산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년 서울 인왕산-북악산 산불)] 진화 완료 === [[2023년 대전-금산 산불|대전시-금산군 산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년 대전-금산 산불)] 진화 완료 === [[2023년 옥천 군북면 산불|옥천군 산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년 옥천 군북면 산불)] 진화 완료 === 2023년 서산 성연면 산불 === 2023년 4월 2일 13시 32분, 충청남도 서산시 성연면 일람리 일대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대응 1단계를 발령했다가 오후 6시 16분 경 주불 진화가 완료되었다. 이 산불로 4ha가 소실되었다. === 2023년 부여 세도-임천면 산불 === 2023년 4월 2일 오후 3시 경,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 일대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임천면 구교리까지 산불이 확산되자 저지하기 위해 대응 1단계를 발령, 509명의 인력을 투입해 약 4시간 만에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 이 산불로 15ha가 소실되었다. == [[2023년]] [[4월 3일]] == === [[2023년 함평 산불|함평군 산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년 함평 산불)] 진화 완료 === [[2023년 순천 송광면 산불|순천 송광면 산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년 순천 송광면 산불)] 진화 완료 === 2023년 남양주 예봉산 산불 === 2023년 4월 3일 오후 12시 18분 경,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예봉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인력 200여 명과 헬기 15대를 투입해 약 33시간만에 밤샘 진화를 마쳤다. 이 화재로 산림 27ha의 거대한 면적이 소실되었다. == 논란 == 일부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서 [[공무원]]들을 비상 동원하면서 [[여자]] 직원은 동원에서 배제하고 [[남자]] 직원만 동원하는 [[성차별]]적 조치를 취해 논란이 되었다.[[https://www.mk.co.kr/news/society/10702770|#]] == 여담 == 보통 이맘때는 동해안을 중심으로 고온건조해지면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지만([[양간지풍]]), 올해는 유독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동해안 쪽에 고기압이 발달하면서 고온건조한 바람이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서쪽에 엄청난 온도와 바람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높새바람]]) 실제 대형 산불이 발생하던 4월 2일 [[경기도]] [[고양시]]가 27도, 서울이 25도를 기록하는 등 사실상 [[여름|초여름]]에 가까운 날씨였고, [[바람]]도 초속 10㎧ 내외의 바람이 불어 진화하는데 애를 먹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화재/한국)] [[분류:2023년 대한민국 서부 산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