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사일 발사 사건]][[분류:북한/대남 도발/2022년]][[분류:울릉군의 사건사고]] [include(틀:관련 문서, top1=2022년 북한의 연쇄 도발, top2=2022년 북한의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 사건)]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KnottyAnnoyedSwankyCollar, 합의사항1=표제명 변경 및 서술범위 조정으)] [include(틀:북한 관련 뉴스/2022년)] ||<-2> '''{{{+1 2022년 11월 2일 북한 미사일 도발}}}[br]{{{-1 2nd Nov. 2022 North Korean Missile Launc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EqDuGX1I6Y, width=100%, height=224)]}}} || ||<-2> {{{-1 '''▲ YTN의 보도'''}}}[br]{{{-2 (2022년 11월 2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rlMpsl_cOw, width=100%, height=224)]}}} || ||<-2> {{{-1 '''▲ SBS의 보도'''}}}[br]{{{-2 (2022년 11월 2일)}}} || || '''발생일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1차'''}}}}}} [[2022년]] [[11월 2일]] {{{-1 06:41}}}[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2차'''}}}}}} [[2022년]] [[11월 2일]] {{{-1 08:51}}}[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3차'''}}}}}} [[2022년]] [[11월 2일]] {{{-1 09:12}}}[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4차'''}}}}}} [[2022년]] [[11월 2일]] {{{-1 16:38}}} || || '''발생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1차'''}}}}}} [[평안북도]] [[정주시]] / [[피현군]][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2차'''}}}}}} [[강원도(북한)|강원도]] [[원산시]][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3차(서)'''}}}}}} [[남포시]] [[온천군]], [[평안남도]] [[평원군]],[br]    [[황해남도]] [[과일군]][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3차(동)'''}}}}}} [[함경남도]] [[락원군]] / [[신포시]] / [[정평군]][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4차(서)'''}}}}}} [[남포시]] [[온천군]], [[황해남도]] [[과일군]][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4차(동)'''}}}}}} [[함경남도]] [[신포시]] / [[정평군]] || || '''유형''' ||'''[[북한/대남 도발|군사도발 {{{-1 (국지)}}}]]''' || || '''당사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도발측'''}}}}}}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상대측'''}}}}}}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원인''' ||▶ [[비질런트 스톰]] 훈련에 대한 반발[br]▶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기도[br]▶ [[대한민국]] 국민에 대한 긴장 유발[br]▶ 위기감 조성에 따른 [[북한]] 주민 결속 강화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11월 2일]], [[북한]]이 동해와 황해상에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고 완충 해역에 포사격을 가한 사건이다. 분단 이후 최초로 [[NLL]] 이남으로 미사일을 발사한 사건이다. [[2022년]] [[9월 25일]]부터 진행 중인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2022년 북한 연쇄 도발|2022년 북한의 연쇄 도발]] 문서 참조 바람. == 사건 경과 == 해당 도발에 대한 종합 정보.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2118751504|기사{{{-2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GYH20221102001400044|그래픽{{{-2 (연합뉴스)}}}]][*최신 [[2022년]] [[11월 2일]] 22시 33분 기준] [[https://newsis.com/view/?id=NISI20221102_0001120547|그래픽{{{-2 (뉴시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67390090174.jpg|width=100%]]}}} || ||<-2> '''▲ [그래픽] 北, 동해 완충구역에 100여발 포격… 추가 도발[br]{{{-2 ([[2022년|{{{#white 2022년}}}]] [[11월 2일|{{{#white 11월 2일}}}]] / [[뉴시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white" [[파일:뉴시스 로고.svg|width=60]]}}}]])}}}''' || 같은 날 13시 27분에는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 일대에서 총 100여 발의 포병사격도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2022년 북한의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 사건#11월 2일|2022년 북한의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 사건]] 문서 참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년 북한의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 사건, 앵커=11월 2일)] 이후 2022년 11월 7일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북한 총참모부]] 명의 성명과 함께 미사일 발사 사진도 공개되었다. === 1차 도발 === ||{{{+1 '''6시 41분'''}}} || '''(누적 4발)'''|| ||[[조선인민군 전략군|{{{#037901 ●}}}]] [[북한판 KTSSM]]{{{-1 (SRBM)}}} 2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황해'''}}}}}} [[평안북도]] [[정주시]] ▶ [[남포시]] 서해갑문 앞 무인도 || ||[[조선인민군 전략군|{{{#037901 ●}}}]] [[KN-23/열차 발사형]]{{{-1 (SRBM)}}} 2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황해'''}}}}}} [[평안북도]] [[피현군]] ▶ [[남포시]] 서해갑문 앞 무인도 || [[2022년]] [[11월 2일]] 06시 41분에 [[단거리 탄도 미사일]] 4발을 발사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2118751504|기사{{{-2 (연합뉴스)}}}]] 06시 41분에 포착된 미상 항적은 발사 지점은 평안북도 [[피현군]]과 [[정주시]]였다고 한다. 군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판단했다. 해당 부분의 도발과 관련하여 중국-북한 접경 지대인 [[단둥]]에서 촬영된 북한 미사일의 모습이라며 [[웨이보]] 상에 사진들이 유포되고 있다. 이에 북한 무기 기고가인 네이선 헌트는 해당 사진에서 사진 촬영 지점의 지리 좌표가 [[https://www.google.com/maps/place/40%C2%B008'16.2%22N+124%C2%B024'18.5%22E/@40.1385926,124.4115257,13.88z/data=!4m5!3m4!1s0x0:0x36984c6b5c3ebcc6!8m2!3d40.137823!4d124.405134|40.137823° 124.405134°]]인 단둥이고, 사진에 담긴 풍광이 실제 [[신의주시]]([[위화도]]) 일대임을 밝혀냈다. 이에 북한은 2022년 1월 피현군의 [[백마선]] 연선에서 [[KN-23/열차 발사형]]을 발사한 전례가 있는데 그 때와 유사한 지점에서 발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특히 웨이보의 사진이 새벽~아침 시간대로 보이는 것은 6시 41분에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대한민국 합참의 추정과 부합한다.[* 백마선 연선 발사 당시는 오후였기 때문에 이 때 찍은 미사일 궤적일 수는 없다.] 또한 웨이보에 사진이 유포된 시점에서 합참은 피현군에서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공표하지 않았다는 점도 사진 조작의 가능성을 낮춘다.[* 공표가 먼저 있었다면 끼워맞추기식 조작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을 것이다.] [[https://twitter.com/ColinZwirko/status/1587670084973363200|(재한 언론인 콜린 즈위르코의 트윗 글타래]], [[https://twitter.com/ISNJH/status/1587675904951533570|네이선 헌트의 분석)]]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2년 11월 2일 오전6시 북한 미사일 도발.jpg|width=100%]]}}} || || 06시 41분의 1차 도발[br][[북한판 KTSSM]](위)와 [[KN-23/열차 발사형]](아래) || 이후 북한의 사진 공개를 통해 06시 41분 도발이 [[KN-23/열차 발사형]] 2발과 [[북한판 KTSSM]] 2발 발사였음이 확인되었다. 윗 문단의 웨이보 사진과도 교차 검증된다. [[백마선]] 연선상 동일 지점에서 발사한 것이 확인되어, 북한판 KTSSM은 정주시에서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해당 미사일 발사 사진 중 미사일 부분만 찍힌 북한판 KTSSM 사진은 기존 1차 시험 발사 때 사진의 재탕임이 [[https://twitter.com/rockfish31/status/1589433605641895936|확인]]되었다. 또한 TEL에서 발사되는 장면도 찍힌 위치가 [[마전해수욕장]]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https://twitter.com/ColinZwirko/status/1589433166804439040|해당 의혹]]) 사진 조작의 가능성이 있긴 하나, 1차 시험 발사 때와 (1) 하늘의 색깔, (2) 주차된 TEL 차량의 앞바퀴 각, (3) TEL 표면의 수풀 위장 여부가 다르긴 하다. 북한은 표적지가 [[서해갑문]] 앞 무인도라고 밝혔다. 또한 '지하침투전투부'라는 것을 장착했다고 하는데, 북한이 탄두를 '전투부'라고 부르는 것에 비추어 이것이 [[벙커버스터]]의 [[문화어]] 표기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 2차 도발 === ||{{{+1 '''8시 51분'''}}} || '''(누적 7발)'''|| ||[[조선인민군 공군|{{{#3399FE ●}}}]] [[SA-5]]{{{-1 (SAM)}}} 1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동해'''}}}}}} [[강원도(북한)|강원도]] [[원산시]] ▶ [[NLL]] 이남 공해상 || ||[[조선인민군 전략군|{{{#037901 ●}}}]] 미상 단거리 탄도 미사일 2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황해'''}}}}}} [[강원도(북한)|강원도]] [[원산시]] ▶ 동해상 || ||<-2>✔ 특징: '''[[9.19 남북군사합의]] 위반 사례''' {{{-1 ([[북한]] 12번째, [[대한민국]] 2번째)}}} 및 북한 측 도발 부정 || [[2022년]] [[11월 2일]] 08시 51분에 [[강원도(북한)|강원도]] [[원산시]]에서 3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이 중 한 발이 [[울릉도]] 방향으로 [[북방한계선]] 이남 [[동해]] 공해상에 낙탄됐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110201070130159001|기사{{{-2 (문화일보)}}}]] 분단 이후 최초로 발생한 사례이다. 이 때문에 [[경상북도]] [[울릉군]]에 [[공습경보]]가 발령됐다. 미사일 탄착지점은 [[NLL]] 이남 27km, [[속초시|속초]] 동방 57km, 울릉 서북방 167km 지점으로서 이례적으로 [[강원도]]와 [[울릉도]]에서 가까운 지점에서 벌어진 도발이며 남북 '''분단 이후 처음으로 NLL 이남 한국 영해 인근에 떨어진 미사일'''이다. 이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공군]]은 11시 10분에 [[F-15K]]와 [[KF-16]]을 동원하여 공대지 미사일 총 3발{{{-1 ([[AGM-84E SLAM|SLAM-ER]] 2발, [[http://mbiz.heraldcorp.com/military/view.php?ud=20210506000354|SPICE 2000 유도폭탄]] 1발)}}}을 [[북방한계선]] 이북 [[동해]] 공해상에 낙탄시켰다. [[https://newsis.com/view/?id=NISI20221102_0019420169|기사{{{-2 (뉴시스)}}}]] 해당 무장의 발사 영상도 공개했다. [[https://youtu.be/eNjAyqk0Oy4|영상{{{-2 (YTN)}}}]]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10216084832231|기사{{{-2 (머니투데이)}}}]] 또한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대한민국 국군|전군]] 2급 경계태세'로 격상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4852467|기사{{{-2 (뉴스1)}}}]] 하지만 이후 밝혀진 바에 따르면 원래 SLAM-ER 1발, SPICE-2000 2발을 발사하려 했으나 두번째 SPICE-2000이 타깃 설정 오류로 발사되지 못했고, 대신 SLAM-ER 1발을 더 발사하기로 했으나 처음 발사하려던 기체도 미사일 장착 오류로 발사하지 못해 예비기가 겨우 발사했다고 하여 공군의 준비태세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60418?sid=100|#]] 이로 인해 [[대한민국 국군]]도 [[9.19 남북군사합의]]를 위반한 셈이 되었는데, 이에 대해 국군 관계자는 "('비례성 원칙'에 따른 것으로서) 자위권 차원의 대응 조치에 대해 합의 위반 여부를 따지는 것은 부적절하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2572|기사{{{-2 (KBS)}}}]] [[https://youtu.be/bLRu_-IaZN4?t=78|영상{{{-2 (KBS)}}}]] 한편 미사일이 낙탄된 지점은 홍게 어장이 있는 곳으로 조업 중인 어민이 피해를 봤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https://www.ytn.co.kr/_ln/0115_202211021849303210|기사{{{-2 (YTN)}}}]] 한편 북한군 발표에서는 이 발사 사실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이 2차 도발에 대해 "적들이 남조선《령해》가까이에 우리의 미싸일이 락탄되였다고 주장하며 공중대지상유도탄과 활공유도폭탄으로 우리측공해상에 대응사격하는 망동을 부린것"이라고 논평했다. 즉, 대한민국 국군이 조작 및 날조했다는 주장이다. 이에 북한은 대한민국 국군의 대응조치에 또 보복하는 의미로 순항미사일을 NLL 이남으로 발사했다고 한다. 아래 5차 도발 항목 참조. 낙탄된 미사일을 대한민국 국군이 인양하여 조사한 결과 예상했던 [[KN-23]] 계열이 아니라 [[SA-5]] 지대공미사일이었음이 확인되었다. ==== 울릉군 공습경보 발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11 02 공습경보.jpg|width=100%]]}}} || ||<-2> '''▲ 울릉군 공습경보 발령 장면[br]{{{-2 ([[2022년|{{{#white 2022년}}}]] [[11월 2일|{{{#white 11월 2일}}}]] / [[연합뉴스TV|{{{#!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white"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width=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1102 울릉군공습경보 YTN.jpg|width=100%]]}}} || ||<-2> '''▲ 울릉군 공습경보 발령 장면[br]{{{-2 ([[2022년|{{{#white 2022년}}}]] [[11월 2일|{{{#white 11월 2일}}}]] / [[YTN|{{{#!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white" [[파일:YTN 로고.svg|width=60]]}}}]])}}}''' || * 발령주체: [[민방위|[[파일:민방위 마크.svg|width=25]] 민방위경보센터]] * 발령유형: '''민방위경보 {{{-1 (민방공경보)}}}''' [[http://www.safekorea.go.kr/idsiSFK/neo/sfk/cs/contents/civil_defense/SDIJKM1301.html?menuSeq=53|국민재난안전포털]] * 발령시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red; font-size: .9em" {{{#white '''공습경보'''}}}}}}: [[2022년]] [[11월 2일]] 08시 55분 ~ 14시 02분 '''(5시간 7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lue; font-size: .9em" {{{#white '''경계경보'''}}}}}}: [[2022년]] [[11월 2일]] 14시 02분 ~ 22시 00분 '''(7시간 58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white; font-size: .9em" >'''[행정안전부] 14:00 경북 울릉지역 경계경보 발령 / 방송을 청취하며 지시에 따라 행동''' >---- >14시 02분 위급재난문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white; font-size: .9em" {{{#black '''경보해제'''}}}}}}: [[2022년]] [[11월 2일]] 22시 00분 * 발령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동해'''}}}}}} [[경상북도]] [[울릉군]] 전 지역 ===== 발령 상황 ===== [[2022년]] [[11월 2일]] '''08시 51분''', [[북한]]이 [[강원도(북한)|강원도]] [[원산시]]에서 [[단거리 탄도 미사일]] 3발을 발사했고 그 중 1발이 [[울릉도]]를 향해 [[북방한계선]] 이남 [[동해]] 공해상으로 떨어졌다. 이에 민방위 당국은 4분 뒤인 '''08시 55분'''에 [[경상북도]] [[울릉군]] 전 지역을 대상으로 '[[공습경보]]'를 발령했다. 이는 탄도탄 경보 레이더가 자동으로 발령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금 뒤인 '''09시 08분'''에는 울릉군이 주민대피령을 해제했다. 이후 '''14시 02분'''에는 공습경보가 경계경보로 전환되었다. [[https://youtu.be/WOh-euyFB3U|영상{{{-2 (연합뉴스TV)}}}]] 그리고 '''22시 00분''' 부로 모든 경보가 해제되었다. [[https://youtu.be/WLkimP_ZGcQ|영상{{{-2 (KBS)}}}]] 공습경보가 송출된 것은 과거 [[2016년]] [[2월]] [[광명성]] 미사일 발사 이후로 6년 9개월 만이다. ===== 반응 ===== 이 일이 터지자마자 [[이태원 압사 사고|이태원 참사]] 특보를 전하던 [[YTN]], [[연합뉴스TV]] 등 뉴스전문채널 뿐만 아니라 [[KBS 1TV]], [[MBC]], [[SBS]] 등 지상파 채널들은 전부 정규방송을 중단[* 다만, 발령 당시에는 이태원 참사로 인해 정규방송이 일부 또는 전부 중단된 상태였다.]하고 [[뉴스특보]] 체제로 운영했으며,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노력했다. [[KBS 1TV]]는 '[[아침마당]]'이 끝난 직후 바로 'KBS 뉴스특보'를 방송했으며, 이후 '열린채널',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이슈 픽 쌤과 함께]]' 등 정규 프로그램은 모두 결방 처리했다. 이때 KBS의 대처 능력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들도 꽤 되었다. [[MBC]]와 [[YTN]], [[연합뉴스TV]]뿐만아니라 [[종합편성채널|종편4사]]까지 모두 1분 내에 경보를 송출하였으나[* [[SBS]]는 4분여뒤에서야 공습경보 자막을 띄웠다.], 3분이 지나서야 [[KBS]] 2TV에서 겨우 스크롤 자막을 띄운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에도 이유가 있는데, [[KBS]] 1TV는 주조정실 시스템 사정으로 공습경보 자동송출에 실패해 표준규격 공습경보자막을 적시에 표출하지 못한 사고를 저질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6/0000115386?sid=105|#]] 이에 KBS는 하단 스크롤자막으로 대체해 표출하고 지상파 중 가장 빠른 9시 19분에 뉴스특보를 편성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울릉군]] 주민이나 [[관광객]]이나 할 거 없이 모두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으며, 상당 시간동안 공습경보 사이렌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혼란한 상태에 방치됐다. [[https://youtu.be/YQkcjXGxf8o|영상{{{-2 (MBN)}}}]] [[울릉읍]]의 한 이장은 '주민들이 공습 경보 사이렌을 [[이태원 참사]] 사망자들에 대한 묵념 사이렌으로 착각했다'고도 말했으며, '울릉알리미'라는 앱을 통해서 전파되는 메시지도 공습경보가 발령된 지 25분 가량 지난 09시 19분 37초에서야 전파되었으며, 공무원들과 일부 주민들도 대피 장소로 이동하긴 했지만 울릉군에는 제대로 된 대피 장소를 갖추지 못한 상태였을 뿐만 아니라 일선 학교에서는 대피 장소가 없어서 학생들이 [[체육관]]에 이동하는 웃지 못할 소동이 있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55433|기사{{{-2 (SBS)}}}]] [[https://youtu.be/QRfSoZTdCVc|영상{{{-2 (SBS)}}}]]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2110215590412276|기사{{{-2 (매일신문)}}}]]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2112|KBS 뉴스특보]]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90431|JTBC 뉴스룸]]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3232_35744.html|MBC 뉴스데스크1]]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56419|SBS 8뉴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2542|KBS 9시 뉴스1]]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2573|KBS 9시 뉴스2]]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2574|KBS 9시 뉴스3]] 뉴스 진행자들도 당황하긴 마찬가지였다. [[https://youtu.be/3EqDuGX1I6Y|영상{{{-2 (YTN)}}}]] 해당 영상을 보면 공습경보 발령 직후 방송국 사람들이 웅성거리는 소리와 "뭐야 이게?", "저도 모르겠어요."로 추정되는 말소리도 희미하게 들린다. 이날 08시 56분에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소재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에서 추모 중이던 [[윤석열]] 대통령도 해당 소식을 전해 듣자마자 [[용산구]] 소재 [[대통령실]]로 이동하여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하여 회의를 주재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2043800001|기사{{{-2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애도기간]]에 도발을 하는 것은 인륜에 반하는 행위라며 북한에 강한 분노를 표했고, [[일본 정부]]도 긴급 회의를 소집했다. 사건 당시 동해상의 항공로 일부도 폐쇄되었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11020199|기사{{{-2 (한국경제TV)}}}]] 참고로 발령상황 전체 영상에 대해서는 [[채널A]]가 유일하게 유튜브에 업로드한 상태이다.[[https://youtu.be/d_79hjgW7g4?t=100|2022년 11월 2일 김진의 돌직구쇼 다시보기]] [[MBC]], [[KBS]], [[SBS]], [[JTBC]], [[TV조선]]은 비뉴스 정규방송이 진행중이어서 다시보기가 없으며, [[MBN]]은 정규뉴스가 진행중[[https://youtu.be/So9TyBwRCg0|#]]이었으나 유튜브 라이브에선 자막이 뜨지 않았다. [[YTN]]은 당황한 관계자의 목소리가 섞이는 바람에 해당 부분을 편집해 올렸으며, [[연합뉴스TV]]는 관련 영상을 아예 올리지 않았다. ===== 기타 ===== 이날의 경보 체제는 [[2018년]]에 개정된 '재난방송 및 민방위경보방송의 실시에 관한 기준' 규정이 적용된 최초의 사례이다. 관련 규정은 아래와 같다. >'''제4조(재난방송 등의 준칙)''' ⑤ 「방송법」제2조제3호가목에 따른 지상파방송사업자(지상파텔레비전방송사업자에 한정한다) 및 「방송법」 제2조제3호라목에 따른 방송채널사용사업자(종합편성 또는 보도에 관한 전문편성을 행하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에 한정한다)는 지진 규모 5.0 이상 조기경보 및 '''민방위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 1. 재난방송 등이 중간 확인과정 없이 즉시 실시 될 수 있도록 할 것 > 1. 재난방송 등이 시청자의 주목을 끌 수 있도록 기존 자막과 다른 형식을 활용하여 긴급한 재난상황임을 알 수 있도록 할 것 > 1. 시각장애인이나 일반 국민들이 재난상황을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정한 재난 경보음을 송출할 것 > 1. 제3항제1호 내지 제3호에 대해서는 외국인을 위한 영어자막을 포함한 재난방송 등을 실시할 것 >---- >'''- 재난방송 및 민방위경보방송의 실시에 관한 기준{{{-2 (시행 2021. 7. 2., 방송통신위원회고시 제2021-7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2021-49호)}}}''' [[https://www.law.go.kr/행정규칙/재난방송 및 민방위경보방송의 실시에 관한 기준|국가법령정보센터]] === 3차 도발 === * 발생일시: [[2022년]] [[11월 2일]] 09시 12분 * 발생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황해'''}}}}}} [[남포시]] [[온천군]], [[평안남도]] [[평원군]] 화진리, [[황해남도]] [[과일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동해'''}}}}}} [[함경남도]] [[락원군]] / [[신포시]] / [[정평군]] * 발사 무기 및 발사량: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및 지대공 미사일 10여 발 '''(누적: 17발)''' [[2022년]] [[11월 2일]] 09시 12분, 10여 발의 미사일 궤적이 포착되었다. [[함경남도]] [[락원군]], [[신포시]], [[정평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했고, [[남포시]] [[온천군]], [[평안남도]] [[평원군]] 화진리, [[황해남도]] [[과일군]]에서 황해상으로 발사했다. 이 중에는 지대공 미사일이 포함되어 있었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110216050819115|기사{{{-2 (부산일보)}}}]] [[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211021617001|기사{{{-2 (경향신문)}}}]] === 4차 도발 === * 발생일시: [[2022년]] [[11월 2일]] 16시 38분 * 발생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황해'''}}}}}} [[남포시]] [[온천군]], [[황해남도]] [[과일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동해'''}}}}}} [[함경남도]] [[신포시]] / [[정평군]] * 발사 무기 및 발사량: 지대공 미사일 6발 '''(누적: 25발)''' [[2022년]] [[11월 2일]] 16시 38분경, 북한이 동해상으로 6발의 지대공 미사일을 추가로 발사해, 하루에만 최소 25발의 미사일을 발사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2118751504|기사{{{-2 (연합뉴스)}}}]] [[함경북도]] [[신포시]]와 [[정평군]]에서 동해상으로, [[남포시]]과 [[황해남도]] [[과일군]]에서 황해상으로 발사하였다. [[https://www.donga.com/news/NewsStand/article/all/20221102/116286945/1|기사{{{-2 (동아일보)}}}]]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2년 11월 2일 북한 지대공 미사일 도발.jpg|width=100%]]}}} || || 북한이 공개한 11월 2일 [[번개-5]], [[번개-7]] 발사 사진 ||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는 [[번개-5]], [[번개-7]]과 미상 지원 차량이 식별되었다. 오전과 오후에 발사했다는 사실과 동해와 황해에서 진행했다고도 밝혀 3차 도발과 4차 도발을 인정했다. 대한민국은 3차 도발 10여 발, 4차 도발 6발로 16발 이상으로 판단했는데, 북한은 이 두개를 합쳐 지대공 미사일 23발이라고 했다. === 5차 도발(미상) === * 발생일시: [[2022년]] [[11월 2일]] 미상 시각(대한민국 공대지 미사일 사격 후, 일몰 이전) * 발생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bc002d; font-size: .9em" {{{#white '''동해'''}}}}}} [[함경북도]] [[미상]] * 발사 무기 및 발사량: [[화살-1]] '''2발'''[* 북한 언론이 발표한 사진을 보면 순항미사일 A형으로 알려졌던 화살-1인 것으로 보인다.[[https://www.yna.co.kr/view/PYH20221107007300042?section=nk/photo/index|연합뉴스 인용보도]]] * 특징: '''[[9.19 남북군사합의]] 위반 사례''' {{{-1 ([[북한]] 13번째)}}} 11월 7일 북한 총참모부 발표에 따르면 이날 오전 대한민국 공군이 대응 차원에서 북방한계선 이북으로 발사한 SLAM-ER 2발, SPICE-2000 1발에 또다시 보복하기 위해 함경북도 지역에서 590.5㎞ 사거리로 '''"[[대한민국|남조선]] 지역 [[울산광역시|울산시]] 앞 80㎞ 부근 수역 공해상에 2발의 전략순항미사일로 보복타격을 가했다"'''고 '''주장'''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706116|#]] 사진까지 공개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2년 11월 2일 북한 자칭 순항미사일 도발.jpg|width=100%]]}}} || || 북한이 공개한 자칭 '11월 2일 울산 앞바다 낙탄 미사일' 사진 || 하지만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에서는 당시 포착된 순항미사일은 없었으며 북한의 기만술책이라고 주장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782961?sid=100|#]]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주장 측 || 북한의 08시 탄도 미사일 도발 || 대한민국 공군의 공대지 미사일 발사 || 조선인민군의 지대지 순항미사일 발사 ||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주장 || 북한의 도발, 강원도 [[속초시]] 인근 해상 낙탄 || 정당한 대응조치 || 조작, 날조 || || 북한 총참모부의 주장 || 조작, 날조[* 인양 결과 SA-5 지대공미사일이 발견되었으므로 북한의 주장이야말로 날조임이 확인되었다.] || 대한민국의 도발 || 정당한 대응조치, [[울산광역시]] 인근 해상 낙탄 || == 분석 == 11월 9일, 합참은 2일 속초 인근 해역에 낙탄된 미사일이 소련제 [[SA-5]](S-200)미사일로 판명되었음을 밝혔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0003185054_001_20221109104801127.pn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0003185054_002_20221109104801192.png|width=100%]]}}} || || 합참이 공개한 북한 SA-5 미사일 잔해 || 지난 70년대 말부터 북한에 배치되기 시작해 현재까지 20~40기의 발사대가 운용되고 있으며, 특성상 지대지 미사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탄도 궤적을 그려 탐지 자산에는 탄도 미사일로 감지된 것이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1110008007|#]] [[은하 로켓]] 잔해 수거로 관련 [[기술정보]]를 습득한 전례가 있기에 [[KN-23]] 계열이었다면 큰 도움이 되었을텐데 소련제 구닥다리 미사일이었기에 큰 군사적인 의미는 없다고 한다.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1109010004964|키릴 문자]]가 발견되어 소련(혹은 러시아)에서 직수입해왔다는 것이 검증 된 정도이다. 군 관계자는 발사 당시 지대공 레이더가 작동하지 않아 지대지 모드로 놓고 의도적으로 도발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yJ5C2mjZ-OM|#]] === 도발의 목적 === * 해당 도발은 의도적이고 계획된 도발이라는 평가가 있다. * "우리의 연례적이고 방어적인 성격의 정상 훈련을 빌미로 의도적이고 계획된 도발을 진행한 것으로 보고 있다." {{{-1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관계자)}}} [[https://www.ytn.co.kr/_ln/0101_202211021037108457|기사{{{-2 (YTN)}}}]] [[https://youtu.be/bLRu_-IaZN4|영상{{{-2 (KBS)}}}]] * 해당 도발의 표면적 이유는 한미 연합의 대규모 공군 훈련 [[비질런트 스톰]]이라는 평가가 있다. * "미국의 핵전쟁 각본이 마지막 단계에 들어섰다, 북한을 겨냥한 침략적이고 도발적인 군사훈련이다, 공군력이 열세인 북한 입장에서, 한국과 미국의 압도적인 공군력 과시 훈련에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입니다." {{{-1 (안정식 / [[SBS]] 북한전문기자)}}}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56407|기사{{{-2 (SBS)}}}]] [[https://youtu.be/e-FaATcm7kw|영상{{{-2 (SBS)}}}]] * 다종 다량의 미사일을 동시다발적으로 발사한 것은 '[[대한민국 국군]]의 대응에 혼선을 주면서 요격을 회피하고 허점을 찾기 위한 목적'이라는 평가가 있다. * "오늘(2일) 북한이 쏜 미사일들은 고도가 낮았고 비행 거리도 짧아서 분석하기가 더 어려웠다고 합니다. 우리 군 대응에 혼선을 주기 위한 의도였을 것으로 군은 보고 있습니다. 북한은 새벽부터 오후까지 여러가지 미사일을 섞어 쏘는 형태로 도발을 감행했는데, 요격을 더 어렵게 하는 시도로 보이고요. 한미의 대응 체계를 살피면서 허점을 찾아보려는 의도도 다분해 보입니다." {{{-1 (송영석 / [[KBS]] 통일외교부 기자)}}}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2572|기사{{{-2 (KBS)}}}]] [[https://youtu.be/bLRu_-IaZN4|영상{{{-2 (KBS)}}}]] * '사실상 핵보유국으로서 미국과의 담판을 짓기 위한 목적'이라는 평가가 있다. * "한반도 긴장을 지속적으로 고조시킨 후에 7차 핵실험으로 방점을 찍고 사실상 핵보유국의 위상을 갖고 미국과 담판에 나서려고 (할 겁니다.)" {{{-1 (박원곤 /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21102019500038|기사{{{-2 (연합뉴스TV)}}}]] [[https://youtu.be/sxwIA0Ufr2o|영상{{{-2 (연합뉴스TV)}}}]] * '[[대한민국]]의 직접적인 군사대응 억제와 대한민국 사회 긴장 고조를 동시에 노린 것'이라는 평가가 있다. * "우리 영해를 침범하지 않은 만큼 군의 직접적인 군사대응은 제한되지만, 북한 미사일이 남쪽으로 넘어왔고 울릉도에 공습경보가 발령된 것만으로도 정보가 신속하게 공유되는 남한 사회에 주는 긴장 고조 효과는 큽니다." {{{-1 (안정식 / [[SBS]] 북한전문기자)}}}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56407|기사{{{-2 (SBS)}}}]] [[https://youtu.be/e-FaATcm7kw|영상{{{-2 (SBS)}}}]] === 도발의 특이성과 전망 === * 북한의 공세적 대응이 잦아진 것에 대해서 '자신들의 핵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라는 평가가 있다. * "(북한이) 자신들의 핵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라고 판단이 됩니다. 핵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미가 쉽사리 자신들에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것이죠." {{{-1 (박원곤 /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56407|기사{{{-2 (SBS)}}}]] [[https://youtu.be/e-FaATcm7kw|영상{{{-2 (SBS)}}}]] * [[이태원 압사 사고]]가 있었음에도 도발에 나선 것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평가가 있다. * "저는요, 김정은 위원장이 그렇게 머리가 나쁜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 ... (중략) ...}}} 이태원 사고로 인해서 온 국민이 슬픔에 잠겨 있고, 국가애도기간이라는 것을 우리 국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다 알고 있는 겁니다. 그렇다면 이 시기에 이런 도발을 하게 되면 우리 국민은 물론이고 국제사회가 북한을 어떻게 생각하겠습니까? 그런데 김정은에게는 그런 것이 안중에 없는 것 같습니다." {{{-1 (문성묵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https://youtu.be/JqD92eTpegc?t=874|영상{{{-2 (연합뉴스TV)}}}]] * "지금까지 북한이 남한의 참사에 침묵하는 건 그만큼 악화된 남북관계를 방증한다." {{{-1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2139200504|기사{{{-2 (연합뉴스)}}}]] * "일각에서는 이태원 참사에 따른 국가 애도기간에 대규모 도발을 감행한 것은 윤석열 정부를 더욱더 압박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1 (지성림 / [[연합뉴스TV]] 기자)}}}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21102019500038|기사{{{-2 (연합뉴스TV)}}}]] [[https://youtu.be/sxwIA0Ufr2o|영상{{{-2 (연합뉴스TV)}}}]] * '북한이 앞으로도 도발을 이어나갈 것 또는 미국이 현재 러시아, 중국과 대립하는 사이 이를 방패 삼아서 도발을 이어가거나 '''남침을 시도'''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있다. * "주변 상황을 신경 쓰기보다는 한미훈련 기간, 4일까지죠, 그냥 넘기지 않겠다는 거고 구실이 생길 때마다 군사 대응하겠다 수위도 더 높인다는 의도가 분명해 보입니다. {{{-2 ... (중략) ...}}} 시기적으로 보면 중국은 시진핑 주석이 3연임 체제를 확정했고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고 대외적으론 미국이 우크라이나 문제로 러시아, 대만 문제로 중국과 대립하는 상황입니다. 북한이 러시아·중국을 방패 삼아서 국지적인 도발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고요." {{{-1 (엄지인 / [[MBC]] 외교안보팀 기자)}}}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3237_35744.html|기사{{{-2 (MBC)}}}]] [[https://youtu.be/W7S02a0Cgps|영상{{{-2 (MBC)}}}]] *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위치한 'Open Nuclear Network'에서 본 상황을 '긴장이 점진적으로 고조된(escalating)'것으로 분석했다. 향후 분석 등을 담은 [[https://opennuclear.org/publication/escalating-tensions-korean-peninsula?language_content_entity=en|보고서 페이지]]를 통해 이런 내용을 밝혔다. 추후에 북한이 핵실험, ICBM 실험을 또 할수도 있다고 내다 보았다. == 반응 == * 무소속 [[윤미향]] 의원은 '한미연합훈련 중지'를 주장했다. 미국, 일본의 개입 없이 국가를 지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2110341947|#]] * [[민주노총]]은 공식 성명을 통해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한미연합공중훈련 때문에 도발이 일어났다며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요구했다. [[https://www.chosun.com/national/2022/11/03/GTG3BQLHEZC6TLLNPHXL6GH7T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기타 == * [[연합뉴스]]가 '공해가 아닌 [[영해]]에 미사일이 낙탄됐다'는 [[오보]]를 냈다.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109|기사{{{-2 (메디어스)}}}]] * 이 도발이 발생한 날에는 국제정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도가 2건이나 더 터졌다. * '[[이란]]이 [[2022년 이란 시위|자국 내 시위 상황]]에도 불구하고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사우디군 vs 이란군|48시간 이내 전면전을 개시]]할 것'이라는 첩보가 입수됐다. [[https://www.ytn.co.kr/_ln/0104_202211021016169391|기사{{{-2 (YTN)}}}]] [[이란 혁명 수비대]]는 시위의 배후국으로 미국/영국/사우디/이스라엘을 지목한 상황이다. 하지만 아무 일도 없었다. * [[미국]] [[백악관]]은 '[[북한]]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 침공]] 중인 [[러시아]]에 포탄을 지원했다'는 내용의 기밀을 해제했다. [[https://www.washingtonpost.com/national-security/2022/11/02/north-korea-russia-weapons-ukraine/|기사{{{-2 (워싱턴포스트)}}}]]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03_0002071711|기사{{{-2 (뉴시스)}}}]] * 이날 하루 동안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비용만 7000만 달러인 걸로 추정된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03_0002071756|기사{{{-2 (뉴시스)}}}]] * 공습 경보 발령 이후 [[울릉경찰서]] 서장은 조기 퇴근했다고 한다. 경찰은 조기 퇴근 사유는 유연근무였다고 해명했으며, 퇴근해서 상추를 수확했다고 한다. [[https://www.donga.com/news/NewsStand/article/all/20221103/116298999/2|#]]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2021-2022년 북한 미사일 도발, version=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