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 ||<-3> {{{#fff,#000 {{{+1 '''2022년 파키스탄 폭우 사태'''}}}[br]''''''}}}{{{#fff,#000 {{{+1 '''پاکستان میں سیلاب 2022ء'''}}}[br]{{{+1 '''2022 Pakistan floods'''}}}[br]''''''}}} || ||<-2> '''발생일''' || [[2022년]] [[6월 14일]] ~ '''2022년 10월''' || ||<-2><|2> ''' 발생 위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파키스탄)]}}} || ||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길기트 발티스탄]],[[펀자브(파키스탄)|펀자브]] 주 남부, [[신드]],[[카이베르파크툰크와]] || ||<-2> '''유형''' || '''폭우, 홍수''' || ||<-2> '''원인''' || {{{#000,#fff '''몬순'''}}} || ||<|4> '''인명피해''' || '''사망''' || {{{#fff '''1,717명'''}}}[* [[https://naver.me/xFrJzrgY|관련기사]]] || || '''부상''' || {{{#fff '''12,867명'''}}} || || '''실종''' || {{{#000 '''집계중'''}}} || || '''이재민''' || {{{#000 ''' 3,300만 명(추산)'''}}} || ||<-2> '''재산 피해''' || '''400억 달러 이상(추산)''' || [[파일:파키스탄 홍수.jpg|width=490]]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gUKrB91gCNQ)] [[2022년]] [[6월 14일]]부터 파키스탄에 쏟아지고 있는 폭우 및 홍수 사태. 전국토의 1/3이 잠겨 지형이 바뀌는 수준이었다. 피해는 [[2010년 파키스탄 홍수]]보다도 컸으며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 등과 마찬가지로 [[기후위기]]의 일환[[https://m.khan.co.kr/world/asia-australia/article/202208290903001#c2b|#]]이다. == 원인 및 피해 현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pakistan_flood_oli_2022.jpg|width=100%]]}}} || || {{{#000 [[NASA]] 위성에서 촬영한 파키스탄 [[신드]] 북부 홍수 전(8월 4일)과 후(8월 28일) 비교}}} [[https://earthobservatory.nasa.gov/images/150279/devastating-floods-in-pakistan|출처]] || 원래 [[인도]]와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6~9월 사이 [[몬순]]으로 우기가 오고, 따라서 비가 내리는 것 자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2022년에는 평년보다 '''2~3배'''[* 가장 피해가 심각한 신드 주의 경우에는 무려 평년의 8배의 강수량을 기록한 곳도 있다고 한다.]가 더 많은 강수량을 기록하면서 파키스탄 남부 지방에 대규모의 홍수가 발생해 남부 지역, 특히 신드와 발루치스탄이 '''초토화'''되다시피 하였고, 이에 파키스탄 정부에서도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이재민이 무려 '''3천만명'''이 발생하였다.[[https://m.yna.co.kr/view/MYH20220827006700038|#]] 이렇게 기록적인 홍수가 발생한 이유로는 2022년 3~5월에 있었던 [[2022년 남아시아 폭염]]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파키스탄은 5월 14일 자코바바드에서 무려 51.0℃를 경신한 바가 있다. 따뜻한 공기는 습기를 흡수해서 비를 내리게 하는데, 이때의 뜨거운 공기가 많은 습기를 흡수했고, 결국 이것이 폭우로 이어졌다는 것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40459?sid=104|#]] 안 그래도 파키스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방역 등으로 경제난을 겪고 있었는데, 자그마치 수백억 달러가 넘는 피해를 입게 된 이 홍수로 치명타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400억 달러면 파키스탄의 2021년 GDP의 약 12%, 파키스탄 전체 국부로도 약 6%에 달하는 막대한 금액이며, 2022년 8월 19일 기준 파키스탄의 [[외환보유고]]인 약 78억 달러보다 5배나 많다. 거기에 아직 피해가 집계중이라 피해액이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설상가상으로 농작물들까지 막대한 피해를 입어서[* [[면화]]만 140만 에이커(약 5,600㎢)가 초토화되었고, [[벼]]와 [[대추야자]]도 제주도 전체 면적을 능가하는 70만 에이커(약 2,800㎢)가 초토화되었다고 한다.[[https://www.dawn.com/news/1707495/floods-inflict-10bn-losses-across-pakistan|#]]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어서 전국적으로는 무려 남한 면적의 78%에 달하는 2100만 에이커의 농경지가 침수되었다고 하며,[[https://theprint.in/go-to-pakistan/livestock-on-life-support-where-pakistan-floods-hit-the-hardest/1117116/|#]] 소 등의 가축들의 피해도 엄청나 무려 2600만 마리의 소가 홍수로 죽었다는 추산까지 나올 정도다.] 당장 먹을 식량까지 걱정해야 할 판이 되었다. 이미 파키스탄 현지에서는 [[양파]]와 [[토마토]][* 양파와 토마토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비롯한 남아시아 지역에서 거의 필수적으로 밥상에 올라가는 채소이기 때문에(가장 흔한 식품 중 하나인 [[커리]]에 쓰이는 중요한 재료이다.) 이들의 물가가 크게 오르면 서민들의 가계에 큰 타격을 받는다.] 가격이 40%나 급등하는 등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식량난의 조짐]]이 벌어지고 있으며, 거기에 10월부터 밀을 파종해야 하는데, 홍수로 밀 파종마저 어려워져 밀 농사까지 망치게 된 상황이라고 한다.[[https://www.france24.com/en/live-news/20220830-pakistan-floods-fuel-back-breaking-food-inflation|#]] 그리고 인플레이션은 더욱 심각해져서 일부 지역의 경우 채소 가격이 500%나 급등했다고 한다.[[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2-09-05/500-jump-in-onion-costs-to-worsen-pakistan-s-inflation?leadSource=uverify%20wall|#]]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파키스탄의 154개 행정구역 중 75%인 116곳이 이번 폭우로 피해를 봤다"고 한다.[[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902_0002000706|#]] 파키스탄이 이번 폭우로 입은 경제적 손실이 무려 3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이 밝혔다.[[https://www.business-standard.com/article/current-affairs/pakistan-floods-caused-nearly-30-bn-economic-loss-un-chief-guterres-122090901318_1.html|#]] 2022년 10월 초반에 폭우는 사실상 종결되었지만 침수는 여전한 상태이다. 전술했듯 10월부터 시작되는 밀 파종도 불가능하게 되어 올해 밀 농사를 망치게 되는 등 피해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거기에 학교만 무려 24,000곳이 침수되거나 파괴되어서 안 그래도 열악한[* 파키스탄 인구의 50% 가량이 문맹일정도로 심각하다고 한다.] 파키스탄의 교육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359695?sid=104|#]] 또한 피해규모는 계속 커지고 있어 추산액은 400억 달러까지 불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17977?sid=104|#]] == 대응 및 반응 == 파키스탄 정부는 앙숙인 인도에서 채소 등 식량의 수입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또한 트위터로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를 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06941?sid=104|#]] 대한민국 정부도 파키스탄에 3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171959?sid=104|#]] 이후 10월 6일, 170만 달러를 추가로 지원하기로 결정해 총 지원금은 200만 달러로 늘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378199?sid=100|#]] 셰리 레흐만 기후장관은 비가 그칠 때쯤이면 "파키스탄의 4분의 1, 혹은 3분의 1이 물에 잠겨있을 것이다"고 말했다.[[https://m.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1056548.html?_fr=gg#cb|#]] 위성사진으로 확인한 결과 3분의 1이 물에 잠긴 것이 사실로 확인되었다.[[https://imnews.imbc.com/news/2022/world/article/6404182_35680.html|#]] == 기타 == 현재 지구온난화와 직결되는 탄소, 화석연료 배출 규모에서 파키스탄이 차지하는 비중은 [[https://www.donga.com/news/amp/all/20220830/115224733/1|세계 전체의 0.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 파키스탄에서 이처럼 전례없는 기후 재난이 발생한 것을 두고 "선진국들이 일으키는 기후위기에 후발 국가들이 더 치명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는 비판 및 지적[[https://twitter.com/algore/status/1564687157498941440?t=ntbxOLIyWL850oWFZcq9NA&s=19|#]][[https://m.yna.co.kr/view/AKR20220911018400077|#]]이 이어지고 있다. 10월 2일 이후로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서 종결되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수인성 전염병은 계속 유행중이다. 11월이 되도 물이 완전 빠지려면 몇주, 최대 몇개월은 걸릴 것으로 보고있다.[[https://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46|#]] 이재민들이 대피소에서 생활하다 어렵사리 귀향하기 위해 탄 버스에서 화재가 발생해 18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참사도 벌어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62114?sid=104|#]] 또 1년도 채 되지 않은 2023년 3월부터 홍수가 재발하였으며 7월까지 전국적으로 159명이 사망하였다. [[분류:2022년 재난]][[분류:파키스탄의 재난]][[분류:폭우]][[분류:홍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