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fff {{{+1 '''2022년 이탈리아 의회 총선거[br]Elezioni politiche in Italia del 2022'''}}}}}} || ||<-5> {{{#!wiki style="margin: -0px -11.7px -5px" {{{#!wiki style="margin-top: -6px; margin-bottom: -8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8년]] [[3월 4일]]}}}}}}[[2018년 이탈리아 의회 총선거|2018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22년]] [[9월 25일]]}}}}}}'''2022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 || }}}}}} || || {{{#009246 '''일정'''}}} ||<-4>9월 25일 || || {{{#009246 '''투표율'''}}} ||<-4>63.91% {{{-3 ([[2018년 이탈리아 의회 총선거|{{{#blue,#0000ff ▼ 9.03%p}}}]])}}}|| ||<-5> {{{#ffffff '''선거 결과'''}}} || ||<-5> [[파일:2022이탈리아하원결과.png|width=100%]] || ||<-5> {{{#!wiki style="margin: -6px 0" {{{-1 {{{#fff 하원 결과}}}}}}}}} || ||<-5> [[파일:2022이탈리아상원결과.png|width=100%]] || ||<-5> {{{#!wiki style="margin: -6px 0" {{{-1 {{{#fff 상원 결과}}}}}}}}} || || '''선거연합''' || '''주요 정당''' || '''득표율'''[br]{{{-3 '''상하원 합산'''}}} || '''하원''' || '''상원''' || ||<|3> [[중도우파 연합|중도우파]] || [include(틀:이탈리아의 형제들)] || '''26.0%''' || '''119석''' || '''65석''' || || [include(틀:동맹(정당))] || 8.8% || 66석 || 30석 || || [include(틀:전진 이탈리아)] || 8.2% || 45석 || 18석 || || [[중도좌파 연합|중도좌파]] || [include(틀:민주당(이탈리아))] || 19.0% || 69석 || 40석 || || || [include(틀:오성운동)] || 15.5% || 52석 || 28석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9월 25일에 실시된 이탈리아 의회 총선거. [[2020년 이탈리아 국민투표]]에 따른 [[이탈리아 의회]] 의원정수 축소가 이번 선거부터 적용된다. [[이탈리아 상원]]은 315석에서 200석, [[이탈리아 하원]]이 630석에서 400석으로 감축된다. == 배경 == 2021년, [[주세페 콘테]]의 [[제2차 주세페 콘테 내각|2기 내각]]이 무너지고 [[유럽중앙은행]] 총재 출신인 [[마리오 드라기]]가 [[이탈리아 총리]]로 내정되어 2월 13일 총리로 취임하고 [[마리오 드라기 내각|내각]]을 출범시켰다. 하지만 드라기의 내각은 2022년 [[주세페 콘테]] 전 총리가 당권을 잡은 [[오성운동]]과의 갈등으로 위기를 맞이했고, 연정 제1당인 오성운동이 드라기에 대한 불신임 의사를 보이자 결국 7월에 사임을 선택한다. 첫 번째 사임은 [[세르조 마타렐라]] [[이탈리아 대통령|대통령]]이 반려했지만 북부동맹, 전진 이탈리아, 오성운동이 상원에서 열린 신임 투표에서 드라기를 보이콧하면서 버틸 힘을 잃은 드라기는 다시 사임을 선택한다. 결국 사직서를 수리한 마타렐라 대통령에 의해 조기 총선이 선언되었고, 9월 25일이 조기 총선일로 확정되었다. == 선거 결과 == [[중도우파 연합]]이 양원에서 전체 의석의 60% 가까이를 차지하면서 압승을 거뒀다. 득표율에서는 중도우파 연합이 과반을 하지 못했지만[* 하지만 이건 이전 총선들에서 승리한 정당들도 마찬가지다.] 소선거구에서 중도우파 연합이 압승을 거두면서 승리의 원동력이 되었다. 만약 우파 연합의 득표율이 조금만 더 높았다면 개헌에 필요한 2/3 의석을 단독으로 확보할 뻔했다. 다만 [[중도우파 연합]] 내에서도 희비는 엇갈렸는데 강경우파 성향의 동맹([[마테오 살비니]])과 중도우파 성향 전진 이탈리아([[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모두 지난 총선 대비 득표율과 의석수를 크게 잃었지만 극우 이탈리아의 형제들([[조르자 멜로니]])이 그것을 상회할만큼 압도적인 결과를 내면서 이번 선거의 가장 큰 승자가 되었다. 민주당이 주도한 [[중도좌파 연합]] 진영은 지난 총선과 마찬가지로 독자 행보를 걷고 있는 범중도좌파연합 진영의 표가 [[오성운동]], [[행동(정당)|행동]]-[[생동하는 이탈리아]] 연합으로 표가 분산되면서 소선거구에서 대패[* 특히 하원 에밀리아-로마냐 8구에서는 오성운동 후보가 9%, 행동당-생동하는 이탈리아 연합 후보가 8%를 득표하면서 [[중도우파 연합]] 후보가 '''49표차'''로 당선되는 기록을 세웠다.[[https://elezioni.interno.gov.it/camera/scrutini/20220925/scrutiniCI1111311310000000|#]]], 패배의 쓴잔을 들이켰다. 다만 단일 정당으로 보면 [[엔리코 레타]]가 이끈 민주당은 이탈리아의 형제들의 뒤를 이어 2위를 차지하긴 했다. 반면 [[루이지 디마이오]] 전 부총리가 이끈 오성운동 탈당파 출신의 시민의 약속(Impegno Civico)은 선거 전 의석을 대부분 잃으면서 참패했다. 한편 민주당과의 연대를 거부하고 독자 노선으로 선거전을 치른 오성운동은 하원에서 175석, 상원에서 84석을 잃으면서 이번 선거의 가장 큰 패자로 불릴만한 결과를 맞이했는데, 그래도 [[주세페 콘테]] 대표를 중심으로 선거 막판 지지세 결집으로 인해 당초 예상되었던 최악의 결과는 면했다. 콘테 대표는 패배를 인정하면서도 타협하지 않는 선명 야당 노선을 유지해 당을 진보적 의제의 전초 기지로 재편하겠다고 선언했다.[[https://edition.cnn.com/2022/09/25/europe/italy-election-results-intl/index.html|#]] 최근 여러 선진국에서 열린 투표에서 남성과 여성간 표심 차이 꽤 두드러지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지만, 이번 이탈리아 총선에서는 여성층에서도 이탈리아의 형제들이 27%로 1위를 차지했다. 중도좌파 성향 민주당은 21%로 2위에 머물렀다.[* 다만 해당 조사에 따르면 응답한 여성 유권자의 41%가 기권을 선택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927156800109?section=international/all|#]] === [[이탈리아 하원]] === ||<-5> {{{#009246 '''전국 결과''' [br] {{{-1 (선출의석: 400석)}}}}}} || ||<-5> '''{{{#fff 주요 정당 의석}}}''' || || '''정당''' || '''득표''' || '''득표율''' ||<-2> '''의석''' || || [[이탈리아의 형제들|{{{#fff '''이탈리아의 형제들'''}}}]] || '''7,302,517표''' || '''26.0%''' || '''119석''' || || [[민주당(이탈리아)|{{{#fff '''민주당'''}}}]] || 5,356,180표 || 19.07% || 69석 || || [[동맹(정당)|{{{#fff '''동맹'''}}}]] || 2,464,005표 || 8.77% || 66석 || || [[오성운동|{{{#000 '''오성운동'''}}}]] || 4,315,497표 || 15.4% || 52석 || || [[전진 이탈리아|{{{#fff '''전진 이탈리아'''}}}]] || 2,278,217표 || 8.11% || 45석 || || [[행동(정당)|{{{#fff '''행동/'''}}}]][[생동하는 이탈리아|{{{#fff '''생동하는 이탈리아'''}}}]] || 2,178,035표 || 7.7% || 21석 || || {{{#fff '''녹색좌파연합'''}}} || 1,018,669표 || 3.63% || 12석 || || {{{#000 '''+유럽'''}}} || 793,961표 || 2.83% || 2석 || || {{{#fff '''우리는 중도'''}}} || 255,505표 || 0.91% || 7석 || || {{{#000 '''남부가 북부를 부른다'''}}} || 212,685표 || 0.76% || 1석 || || {{{#fff '''국민의 약속'''}}} || 169,165표 || 0.60% || 1석 || || [[남티롤 인민당|{{{#fff '''남티롤 인민당'''}}}]] || 117,010표 || 0.42% || 3석 || || {{{#fff '''해외 이탈리아인 운동연합'''}}} || 141,356표 || 13.04% || 1석 || || {{{#000 '''아오스타 협곡'''}}} ||<-2> || 1석 || ||<-400><:>'''{{{#ffffff 의석 구성}}}'''|| ||<-237><(>{{{#ffffff '''[[중도우파 연합|{{{#ffffff 중도우파연합}}}]][br]237석[* 이탈리아의 형제들 119석, 동맹 66석, 전진 이탈리아 45석, 우리는 온건 7석] (59.3%)'''}}}||<-78>||<-85><)>{{{#ffffff '''[[중도좌파 연합|{{{#ffffff 중도좌파연합}}}]][br] 85석[* 민주당 69석, 녹색좌파연합 12석, 기타 4석] (21.3%)'''}}}|| ||<-400><:>{{{#ffffff 정수 : 400석}}}|| === [[이탈리아 상원]] === ||<-5> {{{#009246 '''전국 결과''' [br] {{{-1 (선출의석: 200석)}}}}}} || ||<-5> '''{{{#fff 주요 정당 의석}}}''' || || '''정당''' || '''득표''' || '''득표율''' ||<-2> '''의석''' || || [[이탈리아의 형제들|{{{#fff '''이탈리아의 형제들'''}}}]] || '''7,135,316표''' || '''26.0%''' || '''65석''' || || [[민주당(이탈리아)|{{{#fff '''민주당'''}}}]] || 5,196,489표 || 18.9% || 40석 || || [[동맹(정당)|{{{#fff '''동맹'''}}}]] || 2,429,936표 || 8.8% || 30석 || || [[오성운동|{{{#000 '''오성운동'''}}}]] || 4,258,308표 || 15.5% || 28석 || || [[전진 이탈리아|{{{#fff '''전진 이탈리아'''}}}]] || 2,269,208표 || 8.2% || 18석 || || [[행동(정당)|{{{#fff '''행동/'''}}}]][[생동하는 이탈리아|{{{#fff '''생동하는 이탈리아'''}}}]] || 2,117,480표 || 7.7% || 9석 || || {{{#fff '''녹색좌파연합'''}}} || 972,316표 || 3.53% || 4석 || || {{{#000 '''남부가 북부를 부른다'''}}} || 271,549표 || 0.99% || 1석 || || {{{#fff '''우리는 중도'''}}} || 243,409표 || 0.88% || 2석 || || [[남티롤 인민당|{{{#fff '''남티롤 인민당'''}}}]] ||<-2> || 2석 || || {{{#fff '''해외 이탈리아인 운동연합'''}}} || 138,758표 || 12.73% || 1석 || ||<-200><:>'''{{{#ffffff 의석 구성}}}'''|| ||<-115><(>{{{#ffffff '''[[중도우파 연합|{{{#ffffff 중도우파연합}}}]][br]115석[* 이탈리아의 형제들 65석, 동맹 30석, 전진 이탈리아 18석, 우리는 온건 2석] (57.5%)'''}}}||<-41>||<-44><)>{{{#ffffff '''[[중도좌파 연합|{{{#ffffff 중도좌파연합}}}]][br]44석[* 민주당 40석, 녹색좌파연합 4석] (22.0%)'''}}}|| ||<-200><:>{{{#ffffff 정수 : 200석}}}|| == 정부 구성 == [[중도우파 연합]] 내에서도 1당을 차지한 [[이탈리아의 형제들]] [[조르자 멜로니]] 대표가 신임 이탈리아 총리에 지명되었으며, 10월 22일에 취임하였다.[[https://www.washingtonpost.com/politics/far-right-leader-giorgia-meloni-sworn-in-as-italian-premier/2022/10/22/4ae28b3c-51e3-11ed-ada8-04e6e6bf8b19_story.html|#]] [[https://www.yna.co.kr/view/AKR20221022042000109?input=1195m|#]] [[분류:이탈리아의 선거]][[분류:2022년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