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3> {{{#ffffff {{{+1 '''2022년 대한민국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비행'''}}}}}}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미사일 실험.jpg|width=100%]]}}}|| ||<-2> '''일시''' ||[[2022년]] [[12월 30일]][br]18시 5분경 ~ 10분경 ,,([[KST]]),, || ||<-2> '''관측 지역'''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전역[br][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전역[br]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동북 3성]] 일부 지역[br]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프리모리예 지방|프리모리예]] 남부 등[br]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규슈]] ~ [[도쿄도]] 서쪽 지역 || ||<-2> '''발사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발사 기관''' ||[[국방과학연구소]]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Ytp1iB5ZcY)]}}}|| || '''[[국방과학연구소|{{{#fff 국방과학연구소}}}]] 발표 관련 [[연합뉴스TV|{{{#fff 연합뉴스TV}}}]] 속보'''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zbZn_59Vgc)]}}}|| || '''[[국방부|{{{#fff 국방부}}}]] 공식 영상''' || [[2022년]] [[12월 30일]], [[대한민국 국방부]]의 [[한국형 고체연료 발사체|고체연료추진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가 [[대한민국]] 전국 각지를 비롯하여 [[중국]] [[동북 3성]] 일부 지역[* [[단둥시]], [[지린시]] 등], [[러시아]] 일부 지역[* 프리모리예 지방 남부], [[일본]] 일부 지역[* 규슈부터 간토지방 일부]에서 미확인 비행체로 관측된 사건. == 상세 == [[국방과학연구소]]의 해상사격훈련이 [[2022년]] [[12월 30일]]에 진행되었으며 두번째로 [[12월 31일|31일]]에 예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해 일대에 [[https://www.khoa.go.kr/kcom/cnt/selectContentsPage.do?cntId=31304010|접근 금지 구역이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태안군]]의 [[국방과학연구소]] 시험장에서 고체연료추진 발사체 시험을 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6324755|고체추진 우주 발사체]]라는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의 발표가 나왔으며, 발사를 성공했다는 발표도 나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402223|기사]] 발사 시험 결과, 450km의 목표 고도에 도달하였다.[* [[대기권]] 중 열권에 해당하는 높이이다. 보통 이 정도 고도는 [[우주]]로 본다. [[국제우주정거장|ISS]]의 궤도도 340~433km 가량.] 또한 최종 개발 단계인 1단을 제외하고 2단과 3단으로 구성된 로켓을 쏜 것이라고 밝혔다. 2단과 3단 간의 단 분리도 성공적이었다고 한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6324848|#]] 마치 [[UFO]]를 연상시키는 빛은 '[[야광운#황혼 현상|황혼 현상]]'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A1%9C%EC%BC%93%EC%9D%B4-%EB%A7%8C%EB%93%9C%EB%8A%94-%ED%99%A9%ED%99%80%ED%95%9C-%EB%AA%A8%EC%8A%B5-%ED%99%A9%ED%98%BC-%ED%98%84%EC%83%81/|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몰]] 또는 일출시간 무렵 발사된 [[미사일]] 또는 [[로켓]] 추진체에서 나오는 배기 입자가 응결되어 얼었다가 대기권에서 팽창할 때, 배기 입자가 [[햇빛|태양빛]]을 받아 빛나는 현상이다.] 일몰 무렵에 발사되었기에 이와 같은 진풍경이 연출되었다. 지상에서는 이미 [[태양]]이 [[지평선]] 너머로 저물어 어두워진 상태이지만, 그보다 높은 고도에서는 여전히 태양이 떠 있기 때문에[* 이는 [[지구]]가 구형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높은 고도의 비행체가 생성한 비행운과 배기 입자는 태양빛을 받아 환하게 빛나게 된다. 이를 상대적으로 어두운 지면에서 관찰하게 되면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에서는 이번 고체연료추진 우주발사체 시험은 보안상의 이유로 불가피하게 국민들에게 늦게 알리게 되었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327097?sid=100|기사]]. 사실 원래 군사 목적을 띈 미사일 등 무기실험은 사후 공개가 원칙이라서 이상한 일은 아니다. == 관측 사항 == [[2022년]] [[12월 30일]] 18시 30분 경부터 실시간으로 속보가 갱신되고 있으며, 19시 이후에는 일본 언론들도 트위터 등의 목격담을 기반으로 기사를 내기 시작했다. [[https://www3.nhk.or.jp/news/html/20221230/amp/k10013938691000.html|NHK]][[https://news.yahoo.co.jp/articles/1db86247c4c79704a6d38fcb8dc57feb404066cf|야후!재팬]][* [[https://news.yahoo.co.jp/articles/d3c1ec36eb9f71e69183c908ba6fa24728deaeca|기사 삭제]]][[https://www.sankei.com/article/20221231-3RFWBXAGNJKJ3CT3TGXG6XCYIU/?outputType=amp|산케이신문]] 비행체는 발사국인 [[대한민국]] 외에 [[중국]] [[동북 3성]] 일부 지역[* 중국에서는 비행체가 목격된 시각 기준 동북 3성만 하늘의 밝기가 한반도와 비슷했고 베이징이나 그 서남쪽은 밝았다. [[https://www.timeanddate.com/worldclock/sunearth.html?day=30&month=12&year=2022&hour=18&min=05&sec=0&n=235&ntxt=Seoul&earth=0|#]] [[타이완]], [[오키나와현]] 일부 지역은 아예 낮이었다. 북한의 [[신의주시]]와 강을 맞대고 있는 [[단둥시]]에서 북한 방향에서 비행체가 목격되었다는 동영상이 있었고, 해가 진 [[지린성]]에서도 웨이보에는 인증을 받은 유력 인사의 지역 동영상까지 올라왔으나 구체적인 언론사의 보도는 없다. [[https://s.weibo.com/weibo?q=%23%E5%90%89%E6%9E%97%E5%A4%9A%E5%9C%B0%E5%A4%9C%E7%A9%BA%E4%B8%AD%E5%87%BA%E7%8E%B0%E4%B8%8D%E6%98%8E%E5%85%89%E6%9D%9F%23|#]].], [[러시아]] [[프리모리예 지방]][* [[https://ria.ru/20221230/raketa-1842470139.html|#]]], [[일본]] [[간사이]]와 일부 [[간토]] 지역[* 고베신문과 같은 서일본의 지역 언론사들이 목격 정보를 취합해 기사를 냈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fec55fe9d3ca0127de8374820eeadde157d7127b|#]]] 등 대한민국 인근 동아시아 전역에서 목격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 중심에서 800~1,000km 정도 떨어진 곳까지 목격되었다.] 디시인사이드 [[군사 마이너 갤러리]]에 영상이 올라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3131849|#1]] [[https://gall.dcinside.com/m/war/3132080|#2]] 북한에서는 보였다는 보도가 없었지만 북중 접경 지역이나 북한과 러시아의 접경 지역, 북한과 가까운 한국 수도권에서 보인 것과 당시 북한에 구름이 없던 것을 감안하면 볼 수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YTN에만 18시 20분 이후 20분 동안 1,000건 이상의 목격제보가 올라왔고 [[https://youtu.be/B5eLaKEH9Dk|#]] 경찰과 소방 당국에도 신고가 폭주하는 건 물론 [[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2/12/30/LZO3W2VBN5G6PPO3RJ5ONTJFJ4/%3foutputType=amp|#]] 목격 사진과 영상이 수많은 sns와 커뮤니티에 업로드 되는 등 초반에는 미상 비행체의 정체를 두고 큰 혼란이 있었다. 발사체는 직선으로 위로 올라가지만, 비행운과 배기가스 입자는 상공의 강한 바람에 흔들려 번개 같은 지그재그 모양을 띄게 된다.[[https://en.wikipedia.org/wiki/Twilight_phenomenon|링크]]. 이를 보고 좌우로 기동한 흔적이거나 격렬하게 흔들려 실패한 모습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었다. 사진으로만 본 일부 사람들은 [[상층대기 번개]]로 오해하기도 하였다.[* 당시 한반도 상공에는 [[적란운]]은 커녕 구름도 거의 없었기 때문에 상층대기 번개일 가능성은 없긴 하나, 모양과 색깔이 특이해서 착각한 사람들이 나왔다.] 유사 사례로 러시아의 미사일 실험이었던 [[노르웨이의 나선형 불꽃]]이 있다. 다만 이런 사례를 고려해보면 진심으로 미사일을 숨기고자 해도 이런 모습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이 현상 자체는 우연의 일치일 가능성도 높다. 한국의 언론 보도에서는 국방과학연구소를 두고 '북한의 관측을 의도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라는 언급을 하는 경우도 있었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50241?sid=100|#]] 정확한 발사일과 시간은 당일 어선을 대피시킨 이후에 정해지기 때문에, 이 발사도 바로 직전에 그 시점이 정해졌는데, 하필 어선을 대피시키는 것이 늦어져서 어쩔 수 없이 저녁에 쐈다고 보도하는 경우도 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402309|#]] 2017년 12월 22일 발사한 [[스페이스X]]의 [[팰컨 9]] 발사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난 것이 [[https://www.youtube.com/watch?v=V2K96aY0tLw|영상]]으로 남아있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A1%9C%EC%BC%93%EC%9D%B4-%EB%A7%8C%EB%93%9C%EB%8A%94-%ED%99%A9%ED%99%80%ED%95%9C-%EB%AA%A8%EC%8A%B5-%ED%99%A9%ED%98%BC-%ED%98%84%EC%83%81/|기사]] [* 애초에 애네는 의도적으로 이 현상이 일어나는 시간대에 [[Falcon 9]]을 발사한다. 민간용이기에 딱히 숨길 이유가 없고 시민들에게 볼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서인것으로 추정] == 분석 == 대한민국 외에 주변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관측되었기 때문에 미사일로 전용할 경우 큰 사거리를 가지지 않을까 하는 의견도 나왔다. 해당 훈련의 목적은 한국군 내부에서 적대국 [[북한]] 외에도 안보위기가 고조되는 살벌한 동북아 정세 상황 속에서 주변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비하기 위함이라는 분석이 있다.[* 현재 동아시아에서 일본은 3대 안보문서를 개정하면서 사실상 일본군의 부활을 선언했으며, 중국은 이미 몇년 전부터 양안관계가 험악해지면서 대만에 대한 군사적 위협을 계속 가하고 있다. 그리고 러시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상황이고, 북한은 당장 며칠 전 대한민국의 영공 위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정찰용 무인기를 날려보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471168|#]] 시험비행 다음날인 12월 31일 08시경, 북한은 동해상으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며 맞대응을 하듯 [[2022년 북한 연쇄 도발|도발을 감행했다]]. [[https://www.ytn.co.kr/_ln/0101_202212311016131525|#]]. 이런 로켓은 눈에 안 띄는 낮에 쏘아야 기밀 유지가 쉽지만, 31일 [[SBS]] [[김태훈(기자)|김태훈]] 기자의 기사에 따르면 소동을 감수하고 로켓을 저녁에 쏘게 된 것은 다음과 같은 사정이 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24779?sid=100|#]] * 발사장소가 국방과학연구소의 [[충남]] 태안 안흥 시험장 외엔 없고 서해안이라 중국이 있는 서쪽과 북한이 있는 북쪽을 향해 쏠수는 없었다. 무조건 남쪽으로 쏴야했다. * 그런데 이 시기 [[태안군]] 남쪽 바다에서 [[홍어]]가 많이 잡히는 성수기이기 때문에 어선들이 많았다. * 발사를 하려면 어선들을 대피시켜야 하는데 어민들더러 생업을 포기하라고 할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 어민 생업에 지장이 안 되는 범위에서 설득도 하고 보상도 하면서 시험날짜를 잡는데 어선 소개가 잘 안되다보니 계속 미뤄졌다. 원래 예정일은 1~2주전이였다. * 어민들과 협의해서 겨우 받아낸 시간이 밤 9시였는데 오후 6시가 다가오면서 어선 소개가 다 되었고 그나마 이른 시간이라 서둘러 발사했다. == 관련 문서 == * [[한국형 고체연료 발사체]] * [[노르웨이의 나선형 불꽃]] [include(틀: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로켓]][[분류:대한민국 국방부]][[분류:방위사업청]][[분류:2022년/사건사고]][[분류:제6공화국/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