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냉전)] [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3>
{{{#white {{{+1 '''2022 NATO 마드리드 정상회의'''}}}[br]{{{-1 '''NATO Summit Madrid 2022[br]La cumbre de la OTAN 2022 en Madrid'''}}}}}}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Madrid_summit.jpg|width=50%]] }}} || || '''일시''' ||<-2>[[2022년]] [[6월 28일]] ~[[6월 30일]] (현지시간) || || '''장소''' ||<-2>[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마드리드]] || || '''주최''' ||<-2>[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 '''초청국''' ||<-2>[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br][include(틀:국기, 국명=호주)][br][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br][include(틀:국기, 국명=조지아)] || || '''결과''' ||<-2>'''핀란드, 스웨덴의 나토 가입'''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1년 10월 8일,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의 회담 후,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2022년 마드리드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https://www.europapress.es/nacional/noticia-sanchez-anuncia-madrid-acogera-cumbre-otan-29-30-junio-2022-20211008141338.html|#]] 그리고 2022년 3월 29일 정상회의의 로고를 공개했다.[[https://www.europapress.es/nacional/noticia-escudo-espana-colores-rojo-amarillo-protagonistas-logo-cumbre-otan-madrid-20220329172601.html|#]] == 의제 == 2022년 6월 중순에 있을 정상회담을 이틀 동안 준비한 후 [[옌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정상회의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영역에는 "강화된 억지력과 방어, 위험에 처한 우크라이나 및 기타 파트너에 대한 지원, 새로운 NATO 전략 개념"이 포함된다고 보고했다. === 2022년 전략 개념 === 바야흐로 [[신냉전]] 시대에 돌입하면서 여김없이 NATO의 전략 개념도 리비전되었다. 나토의 차기 전략 개념인 진화하는 세계 환경에서 동맹의 안보 문제를 뒷받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NATO의 정치 및 군사적 과제를 개괄하는 10개년 청사진이 정상회의에서 채택되어 2010년 [[리스본]]에서 채택된 전략적 개념으로부터 탈피한다.[* 2010년 문서는 "유럽 대서양 지역의 평화"와 "나토 영토에 대한 재래식 공격의 위협이 낮음"을 언급하여 이전 전략 개념의 구식 특성을 보여준다.[[https://www.euractiv.com/section/global-europe/news/global-europe-brief-nato-mulls-massive-defence-overhaul/|#]]] 특이사항으로는 그간 NATO의 전략 개념에는 단 한번도 언급되지 않던 [[중국]]이 10번 이상 나타나며 "중국의 행보는 '''NATO의 안보·이익·가치에 대한 도전'''이며 악의적인 ([[해킹|사이버전]]과 물리적 [[사보타주]]를 혼합한)하이브리드 공격과 동맹국을 타깃으로 한 분열 및 갈등을 조장하는 외교적 수사로 '''NATO 동맹국들의 안보에 심대한 해를 끼치고 있다'''"며 사실상 [[주적|적성국]]으로 지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https://www.nato.int/strategic-concept/|#]] === [[핀란드]], [[스웨덴]]의 NATO 가입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핀란드와 스웨덴의 나토 가입 여론이 기울어 정상회의를 앞두고 양국이 NATO 가입을 신청할 가능성이 제기됐다.[[https://www.rferl.org/a/finland-sweden-nato-memberships-jozwiak-analysis/31803749.html|#]] [[5월 12일]],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과 [[산나 마린]] [[핀란드 총리]]는 "핀란드는 지체 없이 NATO 가입을 신청해야 한다"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https://www.presidentti.fi/en/press-release/joint-statement-by-the-president-of-the-republic-and-prime-minister-of-finland-on-finlands-nato-membership/|#]] [[5월 16일]]엔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스웨덴 총리]]는 "스웨덴이 회원국 자격을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https://sverigesradio.se/artikel/sweden-announces-it-will-apply-for-nato-membership|#]] 두 나라 모두 [[5월 18일]]에 NATO 가입 신청서를 제출했지만 [[튀르키예]]가 자국 내에서 분리주의 운동을 벌이는 [[쿠르디스탄 노동자당]](PKK)을 핀란드, 스웨덴이 지원하는 것을 문제 삼아 계속 반대해오고 있었는데, [[6월 29일]] 핀란드, 스웨덴이 튀르키예의 요구 조건들을 수용하며 튀르키예 공화국에서 지목한 핀란드,스웨덴 내의 테러 관련 [[쿠르드족]]들을 튀르키예로 넘길 것을 약속하자[[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06/571648/|#]]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07019760Y|##]] 튀르키예가 찬성으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사실상 가입이 확정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23936?sid=104|#]] === 지역 방어 === ==== 동유럽 ==== 정상회의를 앞두고 [[부쿠레슈티]] 나인[* 부쿠레슈티 나인은 [[클라우스 요하니스]] 루마니아 대통령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이 양자 회담에서 주도하여 [[2015년]]에 설립된 조직이다. 루마니아,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불가리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가 가입되어 있다.]은 2022년 6월 10일 NATO 동쪽 측면에서 전방 방어를 촉구하는 공동 선언을 했다.[[https://www.president.pl/news/declaration-of-the-heads-of-state-bucharest-9-meeting-,55290|#]] 또한 동맹이 NATO 대응군을 40,000명에서 6배로 확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카야 칼라스]] 에스토니아 총리는 NATO가 잠재적인 러시아 침공에 맞서 각 국가의 영토를 방어하기 위해 [[발트 3국|발트해 연안 국가]]마다 20,000명에서 25,000명의 군인으로 구성된 부대를 확대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https://www.ft.com/content/a430b191-39c8-4b03-b3fd-8e7e948a5284|#]] 기타나스 나우세다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발트해 연안 부대를 여단 규모로 늘리려고 하고 있다.[[https://www.washingtonpost.com/opinions/2022/06/23/lithuanian-president-gitanas-nauseda-strengthen-nato-russia-war-ukraine/|#]] 기존 계획에 따르면 각 주에 약 1000명의 외국인 병사만 주둔하고 있다고 한다. ==== 스페인령 아프리카 지역 ==== [[세우타]]와 [[멜리야]]도 문제되었다. 정상회의를 주최한 스페인은 북아프리카의 스페인 영토에도 나토 헌장 5조가 적용되길 희망했고, 그간 모호했던 것이 확정되었다. [[https://inspain.news/nato-extends-its-protection-to-ceuta-and-melilla-for-the-first-time/|#]] == 정상회의 == === 장소 및 보안 === 정상회의는 [[마드리드]]에 있는 IFEMA 박람회 의 파빌리온(Pavilions) 9와 10에서 개최된다.[[https://www.elmundo.es/madrid/2022/04/12/625336adfc6c83dd6f8b4589.html|#]] 25,000명 이상의 경찰이 도시에 배치될 것으로 예상한다. 마드리드의 LGBT 프라이드 축하 행사가 정상회의로 인해 [[일주일]] 연기되었다. 스페인 내무부는 6,000개의 [[테이저]] 구입을 포함하여 정상 회담의 보안 강화를 위해 공개 입찰 없이 약 3,700만 유로(한화 505억원)를 할당했다.[[https://www.20minutos.es/noticia/4990028/0/el-gobierno-adjudica-a-dedo-37-millones-para-organizar-la-cumbre-de-la-otan-en-madrid-y-comprar-armas-que-garanticen-su-seguridad/|#]] === 3국 각서 === 정상회의 첫날 [[튀르키예]] 대표단은 핀란드와 스웨덴의 NATO 가입 신청에 대한 반대를 철회하고 무기 수출과 테러리즘에 관한 튀르키예의 우려를 다루는 3자 양해각서에 서명했다.[[https://www.reuters.com/world/europe/turkey-clears-way-finland-sweden-join-nato-stoltenberg-2022-06-28/|#]] 협정의 일환으로 핀란드와 스웨덴은 PESCO의 군사 이동 프로젝트에 튀르키예의 참여를 지원할 것이라고 한다.[[https://www.euractiv.com/section/defence-and-security/news/turkey-drops-resistance-to-sweden-and-finland-joining-nato/|#]] == 시위 == 2022년 6월 26일 미국 주도의 군사 동맹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마드리드에 모여 나토 조직의 해산과 [[해외 주둔 미군|스페인 주둔 미군 기지]] 폐쇄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회담 첫날에 열릴 예정이었던 시위는 스페인 정부에 의해 금지됐다고 한다.[[https://www.aljazeera.com/news/2022/6/26/thousands-demonstrate-in-madrid-ahead-of-nato-summit|#]] == 참가국 == ||
{{{#ffffff '''지역'''}}} || {{{#ffffff '''국가'''}}} ||<-2> {{{#ffffff '''정상'''}}} || {{{#ffffff '''비고'''}}} || ||<|5> [[중부유럽|[[파일:중부유럽 아이콘.png|width=50]]]]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50]]]][br][[독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ld-olaf-scholz.jpg|height=130]]}}} || [[올라프 숄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연방총리'''}}}}}} || 회원국 (1955년 가입) || ||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50]]]][br][[폴란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esident_of_Poland_Andrzej_Duda_(cropped).jpg|height=130]]}}} || [[안제이 두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대통령'''}}}}}} || 회원국 (1999년 가입) || || [[체코|[[파일:체코 국기.svg|width=50]]]][br][[체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ala-petr-01.jpg|height=130]]}}} || [[페트르 피알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총리'''}}}}}} || 회원국 (1999년 가입) || || [[헝가리|[[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50]]]][br][[헝가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iktor_Orb%C3%A1n_%282013%29.jpg|height=130]]}}} || [[오르반 빅토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총리'''}}}}}} || 회원국 (1999년 가입) || || [[슬로바키아|[[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width=50]]]][br][[슬로바키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uzana-caputova.png|height=130]]}}} || [[주자나 차푸토바]][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대통령'''}}}}}} || 회원국 (2004년 가입) || ||<|5> [[서유럽|[[파일:서유럽 아이콘.png|width=50]]]]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50]]]][br][[영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Boris_Johnson_official_portrait.jpg|height=130]]}}} || [[보리스 존슨]][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총리'''}}}}}} || 회원국 (1949년 가입) ||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50]]]][br][[프랑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크롱.jpg|height=130]]}}} || [[에마뉘엘 마크롱]][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대통령'''}}}}}} || 회원국 (1949년 가입) ||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50]]]][br][[네덜란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뤼터 총리 공식사진5.jpg|height=130]]}}} || [[마르크 뤼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총리'''}}}}}} || 회원국 (1949년 가입) || ||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50]]]][br][[벨기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알렉산더르더크로.jpg|height=130]]}}} || [[알렉산더르 더크로]][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총리'''}}}}}} || 회원국 (1949년 가입) || || [[룩셈부르크|[[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50]]]][br][[룩셈부르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룩셈부르크총리.jpg|height=130]]}}} || [[그자비에 베텔]][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총리'''}}}}}} || 회원국 (1949년 가입) || ||<|7> [[남유럽|[[파일:남유럽 아이콘 수정.png|width=50]]]]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50]]]][br][[스페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페드로 산체스 - 스페인.png|height=130]]}}} || [[페드로 산체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총리'''}}}}}} || 주최 & 회원국 (1982년 가입) ||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50]]]][br][[이탈리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aghi3.jpg|height=130]]}}} || [[마리오 드라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각료평의회 의장'''}}}}}} || 회원국 (1949년 가입) || || [[루마니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50]]]][br][[루마니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클라우스 베르너 요하니스.jpg|height=130]]}}} || [[클라우스 요하니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대통령'''}}}}}} || 회원국 (2004년 가입) ||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50]]]][br][[포르투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tonio Costa.jpg|height=130]]}}} || [[안토니우 코스타]][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총리'''}}}}}} || 회원국 (1949년 가입) || || [[그리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50]]]][br][[그리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PP_Zagreb_Congress_in_Croatia,_20-21_November_2019_(49099472986)_(cropped)_2_(cropped).jpg|height=130]]}}}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총리'''}}}}}} || 회원국 (1952년 가입) || || [[불가리아|[[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50]]]][br][[불가리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umen_Radev.jpg|height=130]]}}} || [[루멘 라데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대통령'''}}}}}} || 회원국 (2004년 가입) || || [[리투아니아|[[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50]]]][br][[리투아니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추가예정.jpg|height=130]]}}} || [[기타나스 나우세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B404; font-size: .8em" {{{#white '''대통령'''}}}}}} || 회원국 (2004년 가입) || == 반응 == === 대한민국 === *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은 기대보다 성과가 좋았다고 자평하였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805361&plink=ORI&cooper=NAVER|#]] * [[더불어민주당]]의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대한민국의 나토 정상회의 참가는 중국을 자극하는 행위였다며, [[신냉전]] 시대에서 한 쪽을 편 들면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703020451001?input=1195m|#]] === [[튀르키예]] === * 스웨덴, 핀란드 가입을 두고 비토권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국가였다. 에르도안은 이를 협상카드로 내세워 [[쿠르드족]] PKK 인원의 송환을 약속받았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630/114233999/1|#]] === [[북한]] === * [[북한 외무성]] 명의로 '동아시아의 나토화', '반공화국 책동'이라며 해당 정상회의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rK0SjYeylxI|#]] === [[중국]] === *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아시아 태평양은 북대서양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며 반발했다[[https://youtu.be/Jc4FEalpr3k?si=NqF2-IrK_lEFf42V|#]] == 관련 문서 == * [[북대서양 조약 기구]] [include(틀:바이든 행정부 정상회담)] [include(틀:윤석열 정부 정상회담)] [[분류:회담]][[분류:바이든 행정부]][[분류:북대서양 조약 기구]][[분류:신냉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