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제 탐구]]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을 계승한 교육과정의 과목, rd1=2015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제 탐구,)] [include(틀: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 개요 및 특징 == * 2022 개정 사회문제 탐구 과목은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회문제를 탐구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사회구조와 사회제도 및 이의 변동 양상에 관심을 갖고 능동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개설된 일반사회 영역의 융합선택 과목이다. === 사회문제의 이해와 탐구 === >[12사탐01-01] 사회문제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하고,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주요 관점을 비교한다. >[12사탐01-02]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 탐구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사회문제 탐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의 특징을 비교한다. >[12사탐01-03]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을 적용한 실제 사례를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2사탐01-04] 사회문제의 탐구 과정에서 요구되는 연구 윤리를 설명하고, 연구 윤리를 준수하며 사회문제를 탐구하는 태도를 가진다. === 일상생활과 사회문제 === >[12사탐02-01]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성 불평등 문제의 실태를 조사하고,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12사탐02-02]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조사하고,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 변화하는 세계와 사회문제 === >[12사탐03-01]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문제의 실태를 조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12사탐03-02] 인공지능 발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탐색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 사회문제 사례 연구 === >[12사탐04-01]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사회문제 중 하나를 선정하여 해당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탐구 계획을 수립한다. >[12사탐04-02] 탐구 계획에 적합한 자료 수집 방법을 적용하여 자신이 선정한 사회문제에 관한자료를 수집한다. >[12사탐04-03] 수집한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12사탐04-04] 자신의 사회문제 탐구 과정과 결과를 연구 보고서로 작성하여 발표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권리이자 의무라는 점을 인식하며 해결 방안을 적극적으로 실천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15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제 탐구 , version=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