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인문학과 윤리]]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이 계승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목, rd1=2015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고전과 윤리)] [include(틀: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목차] == 단원 == === 성찰 대상으로서 나 === > [12인윤01-01] 내 몸과 마음의 관계를 탐구하고, 심신의 통합성을 자각하여 도덕적 주체로서 자신을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다. > [12인윤01-02] 삶의 주체인 나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고통과 쾌락의 근원 및 양상을 탐구하여, 고통과 쾌락에 지혜롭게 대처하는 자세를 갖출 수 있다. === 타인과 관계 맺기 === > [12인윤02-01]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상호성을 만끽하는 삶을 모색하고 실천할 수 있다. > [12인윤02-02] 우정과 사랑의 의미를 탐구하고, 행복한 삶의 기반인 진정한 우정과 참된 사랑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 자유와 평등 === > [12인윤03-01] 동⋅서양에서 바라보는 자유와 평등의 의미와 근거를 알고, 자유롭고 평등한 사람의 모습을 탐구하여 책임 있는 삶의 자세를 추구할 수 있다. > [12인윤03-02] 불평등이 발생하는 원인 및 실질적 기회균등을 구현하기 위한 조건을 탐구하여, 자유롭고 평등한 삶을 위한 정의의 원칙을 도출할 수 있다. === 다양성과 포용성 === > [12인윤04-01] 서로 다른 의견들이 발생하고 충돌하는 양상과 이유를 파악하고, 민주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의견을 포용하는 방법과 절차를 모색하여 실천할 수 있다. > [12인윤04-02]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같고 다른 점이 무엇인지 탐구하고, 가상세계에서도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자세를 갖출 수 있다. === 공존과 지속가능성 === > [12인윤05-01] 자아실현과 직업생활의 상호성을 이해하고, 삶의 방식으로서 소유와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여 나와 타인의 이익을 조화롭게 추구하는 삶의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 [12인윤05-02] 기후위기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이분법적 관점을 넘어선 상생의 원칙들을 수립하여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다. === 삶의 의미에 대한 물음 === > [12인윤06-01]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불안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 종교의 역할과 가치를 탐구하여, 종교에 대한 바람직한 관점을 정립할 수 있다. > [12인윤06-02] 인생의 유한성을 자각하고, 자아에 대한 성찰 및 다양한 가치 탐색을 통하여 내 삶의 의미를 묻고 답을 찾아가는 도덕적 주체로서 살아갈 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전과 윤리, version=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