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 [include(틀: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목차] == 개요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과 융합 선택 과목인 기후변화와 환경생태에 관한 문서. 약칭 기환. == 단원 == === 기후와 환경생태의 특성 === >[12기환01-01] 날씨와 기후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12기환01-02] 기후시스템이 유지되는 되먹임 과정을 이해하고 생물권과 다른 권역 간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12기환01-03] 기후변화가 생태계와 우리의 생활환경에 영향을 미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기후위기와 환경생태 변화 === >[12기환02-01] 기후위기가 일어나는 주요 원인을 이해하고,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할 수 있다. >[12기환02-02] 빙상의 융해와 열팽창으로 인한 해수면 상승을 기후변화와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2기환02-03] 극한 기상 현상의 종류와 원인을 이해하고 극한 기상 현상이 환경생태에 미친 영향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12기환02-04]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생태계 변화 예측 보고서를 찾아보고, 미래의 기후와 생태계의 변화 양상을 추론할 수 있다. >[12기환02-05] 꽃의 개화 시기 변화 자료를 조사하고, 꽃의 개화 시기 변화가 우리 생활에 끼치는 영향을 추론할 수 있다. >[12기환02-06] 꿀벌을 비롯한 곤충의 개체 수 감소 원인을 기후변화와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2기환02-07] 수생태계의 물꽃 현상을 이해하고, 기후변화가 수생태계의 생물다양성에 끼치는 영향을 추론할 수 있다. >[12기환02-08] 모기나 파리와 같은 곤충 매개 감염병이 새롭게 출현하거나 급격히 확산되는 현상을 기후변화와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우리의 노력 === >[12기환03-01] 산호의 멸종으로 인한 백화현상의 예를 통해 기후변화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바다 사막화를 예방하거나 복원할 수 있는 과학기술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12기환03-02] 기후변화에 따라 가속화되는 사막화, 대형산불, 지역적 가뭄과 홍수 등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12기환03-03] 탄소중립 사회를 이루기 위한 탄소 저감 관련 과학기술 개발 현황을 알아보고, 이의 적용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12기환03-04] 기후위기와 환경생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알아보고, 민주 시민으로서 참여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 여담 == * [[2009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 과학Ⅰ|2009 개정 지구 과학Ⅰ]]에서 대거 삭제된 환경오염, 지리 자원 관련 내용들(BOD, 광물 등)이 이 과목에 포함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그러지 않았고, 아예 사회 교과군에 어울릴 만한 내용들로 구성되었다. * 절대평가 유지가 확정되었다. [[분류: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기후변화와 환경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