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LyingDesertedSomberServant, 합의사항1=출마설을 다룬 토론 관리 방침상 7~8순위 언론 보도가 1건 이상 or 지역언론 보도 3건 이상, 토론주소2=LyingDesertedSomberServant, 합의사항2=해당 직책의 원내정당(출마 당시의 원내정당과 서술 시점의 원내정당 모두 포함\) 후보로 공천받거나\, 당내경선에 출마한 이력이 있음, 토론주소3=FrailMurkyVariousGlass, 합의사항3=오차범위 이내의 여론조사 1위 보기 강조 표시 금지, 토론주소4=JumpyImportedOrdinaryCrook, 합의사항4=현재의 문서명을 존치하고 하반기 재보궐선거 실시가 공고될 경우 문서명을 202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로 변경하며 동음이의어 문서를 생성한다., 토론주소5=SmellyUnadvisedInternalCactus, 합의사항5=사건사고 문단 존치)] ---- [include(틀: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include(틀:2021년 재보궐선거)] ---- ||<-6><#00a495> {{{+1 '''2021년 재보궐선거'''}}} || ||<-6> '''{{{#white 출구조사 영상}}}''' || ||<-6>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5dpSo1hlKA, start=3127)]}}} || ||<-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0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20년]] [[4월 15일]]}}}}}}[[2020년 재보궐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21년]] [[4월 7일]]}}}}}}'''2021년 재보궐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22년]] [[3월 9일]][* [[제20대 대통령 선거]]와 동시 실시.]}}}}}}[[2022년 3월 재보궐선거]] || }}}}}} || ||<-6><#00a495> '''선거 결과''' || |||| '''정당''' || {{{#!wiki style="margin: 0 -10px" '''광역단체장'''}}} || {{{#!wiki style="margin: 0 -10px" '''기초단체장'''}}} || {{{#!wiki style="margin: 0 -10px" '''광역의원'''}}} || {{{#!wiki style="margin: 0 -10px" '''기초의원'''}}} || |||| [include(틀:국민의힘)] || '''2석'''* || '''2석''' || '''5석''' || '''6석'''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석 || 0석 || 2석 || 2석 || |||| [include(틀:무소속)] || 0석 || 0석 || 1석 || 1석 || ||<-6> ,,,{{{#white * 장관급 광역자치단체장 포함}}},,,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D7JBFuM9us)]}}}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투표참여 대국민행동수칙'''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년 재보궐선거 정책선거''' [[https://youtu.be/urAV3DeYZlI|#]]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년 재보궐선거 투표참여''' [[https://youtu.be/jzmqGG8703w|#]] || [[2021년]] [[4월 7일]]에 실시한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다. 주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교육감 등의 선출직 공직 가운데 [[2021년]] [[2월 28일]]까지 궐위된 곳[* 일부 지역은 궐위사유가 발생함에도 미실시.]에서 선거가 치러진다. 대표적으로 [[서울특별시장]]과 [[부산광역시장]]을 선출하였다. 선거 당일 기준 18세 이상인 [[2003년]] [[4월 8일]] 이전에 출생하여 재보궐선거에 해당하는 선거구의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사람이 투표권을 가진다.[* 민법 상 연령은 출생일부터 하루로 계산해서 생일 하루 전날 나이가 바뀌기 때문에 2003년 4월 8일에 태어난 사람도 이번 재보궐선거에서 투표가 가능하다.[[https://news.joins.com/article/24007670|#]]] 이 선거 이후 현재까지 [[더불어민주당]]은 [[2021년 재보궐선거|'''3연패'''를]] [[제20대 대통령 선거|기록하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있다.]] == 상세 내용 == [[21대 총선]]에서 1년도 지나지 않아 시행되는 선거라 국회의원 재보선은 몇 석 생기지 않을 걸로 예상되었고, 실제로 단 한 석도 성사되지 않았다. 기초단체장 재보선 역시 PK에서도 보수세가 특히 강한 일부 지역에서만 확정되어서 주목도가 낮았다. 원래대로라면 구청장, 군수 1명씩과 지방의원 몇 명 정도나 뽑는 소규모 선거가 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오거돈 성추행 사건]]'''으로 인해 가해자인 [[오거돈]] 전 [[부산광역시장]]이[* [[더불어민주당|소속 정당]]에서도 제명되었다.] 임기 도중 사퇴했고 '''[[박원순 성폭력 사건]]'''의 가해자인 [[박원순]] 전 [[서울특별시장]]이 임기 중 돌연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사망 사건|자살]]로 생을 마감하면서 상황이 급변한다. '''[[서울특별시|대한민국의 수도]]와 [[부산광역시|제2의 도시]]의 시장 자리가 모두 성폭력 사건으로 인해 동시에 궐위하는 초유의 사태가 터지면서, 한순간에 거대 양당 모두 전력을 다해서 반드시 승리해야 할, 그야말로 전국 단위급 규모의 초대형 선거로 상황이 바뀐 것이다.''' [[2004년 재보궐선거|200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이후 17년 만에 판이 커졌는데, 다시 뽑는 광역자치단체장 수는 2004년 상반기의 절반인 2곳이지만, 유권자 수 면에서는 이쪽이 더 많아서 그만큼 규모도 더 크다. [[대한민국]]의 제1, 2도시이자 인구수 2, 3위의 경합지역 광역지자체장의 재보선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며 이렇게 되면 960만 [[서울특별시|서울]] 시민[* 유권자 수 842만 5869명]과 340만 [[부산]] 시민[* 유권자 수 293만 6301명]까지 대한민국 인구 4분의 1의 민생과 직결된 대규모의 재보궐 선거가 되면서 [[2022년]]에 있을 [[20대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띠게 되어 미니 대선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선거의 중요성이 급상승했고, 양당 모두 사활을 걸고 임해야 할 상황이 되었다. 위와 같이 규모와 중요성이 큰 선거로 예상되고 있기에 [[출구조사]]를 진행하기로 결정됐다. 이미 [[박원순]] 전 [[서울특별시장|서울시장]]이 처음 당선된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선거에서 [[출구조사]]가 진행된 바 있다. == 선거 일정 == [[파일:2021년재보궐선거 주요사무일정.png|align=center]] 서울이나 부산 등 선거 실시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나 타지에서 대학을 다니는 등의 이유로 선거일 혹은 사전투표 기간에 본가로 가기 어려울 경우, [[거소투표]]로써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및 관할 구청 웹사이트에서 거소투표신고서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 관공서 홈페이지 특성상 익스플로러로 들어가는 게 편하다.] 3월 20일 18시까지 주민등록지 관할 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로 송부한다. 그러면 거소(학교 기숙사 등)로 투표용지를 발송해 주며, 투표용지에 볼펜 등으로 기표하고 회송용 봉투에 넣어 우편발송하면 끝난다. 우편요금은 수취인(국가/지자체) 부담. 단, 거소가 선거 실시지역 안에 있을 경우, 거소 주변의 사전투표소에 방문하여 사전투표를 하면 된다.[* 예시로, [[인서울 대학교]]를 다니는 [[부산광역시]] 출신 학생이라면 사전투표 기간에 기숙사나 자취방 근처의 사전투표소 아무 곳이나 찾아가서 투표하면 된다.] == [[/선거 지역|선거 지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선거 지역)] ||<-3> {{{#fff '''2021년 재보궐선거 지역구'''}}} || ||<-3> {{{#fff '''광역자치단체장'''}}} || ||[[서울특별시|{{{#000000,#dddddd 서울}}}]]||[[서울특별시장]]||[[더불어민주당]] [[박원순]]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사망 사건|사망]] (보궐) || ||[[부산광역시|{{{#000000,#dddddd 부산}}}]]||[[부산광역시장]]||[[더불어민주당]] [[오거돈]] [[오거돈 성추행 사건|사퇴]] (보궐) || ||<-3> {{{#fff '''기초자치단체장'''}}} || ||[[울산광역시|{{{#000000,#dddddd 울산}}}]]||[[남구청장(울산)|남구청장]]||[[더불어민주당]] [[김진규(1968)|김진규]] 당선 무효 (재) || ||[[경상남도|{{{#000000,#dddddd 경남}}}]]||[[의령군]]수||[[국민의힘]] [[이선두]] 당선 무효 (재) || ||<-3> {{{#fff '''광역의회의원'''}}} || ||[[서울특별시|{{{#000000,#dddddd 서울}}}]]||[[강북구]]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김동식(1959)|김동식]] 당선 무효 (재) || ||[[경기도|{{{#000000,#dddddd 경기}}}]] ||[[구리시]]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서형열]] 사망 (보궐) || ||[[충청북도|{{{#000000,#dddddd 충북}}}]]||[[보은군]] 선거구||[[무소속]] 박재완 사퇴 (보궐) || ||<|2>[[전라남도|{{{#000000,#dddddd 전남}}}]]||[[순천시]]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김기태(정치인)|김기태]] 사망 (보궐) || ||[[고흥군]] 제2선거구||[[더불어민주당]] [[박금래]] 사망 (보궐) || ||<|3>[[경상남도|{{{#000000,#dddddd 경남}}}]]||[[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제1선거구||[[더불어민주당]] 이옥철 당선 무효 (재) || ||[[의령군]] 선거구||[[국민의힘]] [[손호현]] 사퇴 (보궐) || ||[[함양군]] 선거구||[[국민의힘]] [[임재구]] 사망 (보궐) || ||<-3> {{{#fff '''기초의회의원'''}}} || ||<|2>[[서울특별시|{{{#000000,#dddddd 서울}}}]]||[[영등포구]] 바선거구||[[더불어민주당]] 허홍석 당선 무효 (재) || ||[[송파구]] 라선거구||[[더불어민주당]] 김장환 사망 (보궐) || ||[[울산광역시|{{{#000000,#dddddd 울산}}}]]||[[울주군]] 나선거구||[[더불어민주당]] 박정옥 사망 (보궐) || ||[[경기도|{{{#000000,#dddddd 경기}}}]]||[[파주시]] 가선거구||[[민중당(2017년)|민중당]] 안소희 피선거권 상실 (보궐) || ||[[충청남도|{{{#000000,#dddddd 충남}}}]]||[[예산군]] 라선거구||[[국민의힘]] 유영배 당선 무효 (보궐) || ||[[전라북도|{{{#000000,#dddddd 전북}}}]]||[[김제시]] 나선거구||[[무소속]] 온주현 사퇴 (보궐) || ||[[전라남도|{{{#000000,#dddddd 전남}}}]]||[[보성군]] 다선거구||[[더불어민주당]] 정광식 피선거권 상실 (보궐) || ||<|2>[[경상남도|{{{#000000,#dddddd 경남}}}]]||[[의령군]] 다선거구||[[국민의힘]] 손태영 사퇴 (보궐) || ||[[함안군]] 다선거구||[[국민의힘]] 김정선 피선거권 상실 (보궐) || == [[2021년 재보궐선거/최종 후보|후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최종 후보)] == [[2021년 재보궐선거/선거 전 예상|선거 전 예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선거 전 예상)] == [[2021년 재보궐선거/변수|변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변수)] == [[/선거방송|선거방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선거방송)] == [[2021년 재보궐선거/여론조사|여론조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여론조사)] == [[2021년 재보궐선거/출구조사|출구조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출구조사)] == 투표 결과 == === 사전 투표율 === ||<-3> '''일자·시간별 사전 투표율'''[* 사전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10분 전’에 집계된 자료입니다. (18:00 제외)] || ||<-3> 선거인 수: '''12,161,624명''' || ||<-3> '''4월 2일''' || || '''시간''' || '''투표자 수''' || '''누적 투표율''' || || 7시 || 36,949 || 0.30% || || 8시 || 76,046 || 0.63% || || 9시 || 132,075 || 1.09% || || 10시 || 223,040 || 1.83% || || 11시 || 332,736 || 2.74% || || 12시 || 438,345 || 3.60% || || 13시 || 540,569 || 4.44% || || 14시 || 654,456 || 5.38% || || 15시 || 773,468 || 6.36% || || 16시 || 888,986 || 7.31% || || 17시 || 1,003,442 || 8.25% || || 18시 || 1,112,167 || 9.14% || ||<-3> '''4월 3일''' || || '''시간''' || '''투표자 수''' || '''누적 투표율''' || || 7시 || 1,151,427 || 9.47% || || 8시 || 1,207,756 || 9.93% || || 9시 || 1,285,108 || 10.57% || || 10시 || 1,396,648 || 11.48% || || 11시 || 1,526,794 || 12.55% || || 12시 || 1,657,264 || 13.63% || || 13시 || 1,776,918 || 14.61% || || 14시 || 1,906,576 || 15.68% || || 15시 || 2,045,133 || 16.82% || || 16시 || 2,187,785 || 17.99% || || 17시 || 2,335,505 || 19.20% || || 18시 || 2,497,959 || 20.54% || ---- ||<-4> '''지역별 최종 사전 투표율''' || || '''지역''' || '''선거인 수''' || '''사전투표자 수''' || '''투표율''' || || [[서울특별시|{{{#dc143c,#eb234b 서울}}}]] || 8,425,869 || 1,849,324 || 21.95% || || [[부산광역시|{{{#373a3c,#dddddd 부산}}}]] || 2,936,301 || 547,499 || 18.65% || || [[울산광역시|{{{#373a3c,#dddddd 울산}}}]] || 344,488 || 41,803 || 12.13% || || [[경기도|{{{#blue,#6495ed 경기}}}]] || 203,758 || 13,402 || 6.58% || || [[충청북도|{{{#373a3c,#dddddd 충북}}}]] || 29,212 || 5,420 || 18.55% || || [[충청남도|{{{#373a3c,#dddddd 충남}}}]] || 15,921 || 2,596 || 16.31% || || [[전라북도|{{{#373a3c,#dddddd 전북}}}]] || 20,825 || 2,466 || 11.84% || || [[전라남도|{{{#373a3c,#dddddd 전남}}}]] || 86,735 || 15,316 || 17.66% || || [[경상남도|{{{#373a3c,#dddddd 경남}}}]] || 98,515 || 20,133 || 20.44% || ---- ||<-5> '''이전 선거 사전투표율과 비교''' || ||<-5> '''1일차''' || || '''시간''' || [[제19대 대통령 선거|{{{#000000,#e5e5e5 '''2017[br]대선'''}}}]]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2018[br]지선'''}}}]]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020[br]총선'''}}}]] || {{{#000000,#e5e5e5 '''2021[br]재보선'''}}} || || 7시 || 0.35% || 0.34% || 0.41% || 0.30% || || 8시 || 0.76% || 0.69% || 0.86% || 0.63% || || 9시 || 1.39% || 1.24% || 1.51% || 1.09% || || 10시 || 2.38% || 2.04% || 2.52% || 1.83% || || 11시 || 3.53% || 2.92% || 3.72% || 2.74% || || 12시 || 4.64% || 3.71% || 4.90% || 3.60% || || 13시 || 5.80% || 4.49% || 5.98% || 4.44% || || 14시 || 7.06% || 5.39% || 7.19% || 5.38% || || 15시 || 8.28% || 6.26% || 8.49% || 6.36% || || 16시 || 9.45% || 7.09% || 9.74% || 7.31% || || 17시 || 10.60% || 7.90% || 10.93% || 8.25% || || 18시 || 11.70% || 8.77% || 12.14% || 9.14% || ||<-5> '''2일차''' || || '''시간''' || [[제19대 대통령 선거|{{{#000000,#e5e5e5 '''2017[br]대선'''}}}]]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2018[br]지선'''}}}]]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020[br]총선'''}}}]] || {{{#000000,#e5e5e5 '''2021[br]재보선'''}}} || || 7시 || 12.06% || 9.13% || 12.65% || 9.47% || || 8시 || 12.50% || 9.54% || 13.25% || 9.93% || || 9시 || 13.15% || 10.14% || 14.04% || 10.57% || || 10시 || 14.15% || 10.98% || 15.16% || 11.48% || || 11시 || 15.44% || 11.97% || 16.46% || 12.55% || || 12시 || 16.82% || 12.99% || 17.80% || 13.63% || || 13시 || 18.17% || 13.98% || 19.08% || 14.61% || || 14시 || 19.66% || 15.10% || 20.45% || 15.68% || || 15시 || 21.22% || 16.28% || 21.95% || 16.82% || || 16시 || 22.78% || 17.48% || 23.46% || 17.99% || || 17시 || 24.34% || 18.72% || 24.95% || 19.20% || || 18시 || 26.06% || 20.14% || 26.69% || 20.54% || === 투표율 === ||<-5> '''시간별 투표율'''[* 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정각에 집계된 자료입니다.][* 각 시간별 투표자 수는 잠정 투표자 수입니다.] 주의: [[http://info.nec.go.kr/main/showDocument.xhtml?electionId=0020210407&topMenuId=VC&secondMenuId=VCVP01|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시도지사 결과표만 제대로 나옴.[* 이번 선거는 서울, 부산시장 외에 타 선거 투표자 수가 선관위 홈페이지에서 제대로 집계되지 않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시도지사 결과값만 메인에 표출되고 나머지 시군구청장, 시도의원, 시군구의원 선거는 별도 메뉴에 따로 정렬돼 있다. 이 때문에 시군구청장, 시도의원, 시군구의원 선거를 전부 포괄한 전체 재보선 투표율은 1시간마다 나오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련 [[연합뉴스]], [[뉴시스]], [[뉴스1]] 등 관련 보도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 || ||<-5> 선거인 수: '''12,161,624명''' || || '''시간''' || '''시간별[br]투표수''' || '''누적[br]투표수''' || '''누적[br]투표율''' || '''출처''' || || 7시 || 178,561 || 178,561 || 1.5%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2311810|#]] || || 8시 || 267,514 || 446,075 || 3.7%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5272181|#]] || || 9시 || 313,615 || 759,690 || 6.2% ||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7014851001|#]] || || 10시 || 341,336 || 1,101,026 || 9.1%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5272605|#]] || || 11시 || 381,811 || 1,482,837 || 12.2% ||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7014852001|#]] || || 12시 || 342,031 || 1,824,868 || 15.0%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5273083|#]] || || 13시[* 13시부터 [[사전투표]], [[거소투표]] 투표자 수 합산 시작. 누적 투표수에 포함되어 반영됨.] || 2,836,696 || 4,661,564 || 38.3% ||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7014853001|#]] || || 14시 || 286,993 || 4,948,557 || 40.6%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77&aid=0004880548|#]] || || 15시 || 268,889 || 5,217,446 || 42.9% ||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7855|#]] || || 16시 || 263,098 || 5,480,544 || 45.1%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5273915|#]] || || 17시 || 266,405 || 5,746,949 || 47.3%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4071705096110|#]] || || 18시 || 267,842 || 6,014,791 || 49.5% ||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40718091791857|#]] || || 19시 || 299,293 || 6,311,084 || 51.9%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69&aid=0000595095|#]] || || 20시 || 556,386 || 6,867,470 || 55.5%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10435911|#]] || ||<-4> '''지역별 투표율''' || || '''지역''' || '''선거인 수''' || '''투표자 수''' || '''총 투표율''' || || [[서울특별시|{{{#dc143c,#eb234b 서울}}}]] || {{{#dc143c,#eb234b 8,425,869}}} || {{{#dc143c,#eb234b 4,903,624}}} || {{{#dc143c,#eb234b 58.2%}}} || || [[부산광역시|{{{#373a3c,#dddddd 부산}}}]] || 2,936,301 || 1,547,296 || 52.7% || || [[울산광역시|{{{#373a3c,#dddddd 울산}}}]] || 344,488 || 132,234 || 38.4% || || [[경기도|{{{#0000ff,#0000ff 경기}}}]] || {{{#0000ff,#0000ff 203,758}}} || {{{#0000ff,#0000ff 48,652}}} || {{{#0000ff,#0000ff 23.9%}}} || || [[충청북도|{{{#373a3c,#dddddd 충북}}}]] || 29,212 || 13,591 || 46.5% || || [[충청남도|{{{#373a3c,#dddddd 충남}}}]] || 15,921 || 7,368 || 46.3% || || [[전라북도|{{{#373a3c,#dddddd 전북}}}]] || 20,825 || 6,693 || 32.1% || || [[전라남도|{{{#373a3c,#dddddd 전남}}}]] || 86,735 || 34,701 || 40.0% || || [[경상남도|{{{#373a3c,#dddddd 경남}}}]] || 98,515 || 52,230 || 53.0% || ||<-4> 투표율 최저 지역은 {{{#0000ff,#0000ff 파란색}}}, 투표율 최고 지역은 {{{#dc143c,#eb234b 빨간색}}}으로 표기. || ---- ||<-6> '''이전 선거 투표율과 비교'''[*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선거]]의 투표수 합산 시작. 누적 투표수에 포함됨.][* 2011 재보궐선거 투표율 중 서울의 투표율만 기재. [[https://www.yna.co.kr/view/GYH20111026002100044|연합뉴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08726596416856&mediaCodeNo=257&OutLnkChk=Y|8시 투표율]][[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102610254993246|10시 투표율]]] || || '''시간''' ||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000000,#e5e5e5 '''2011[br]서울'''}}}]] || [[제19대 대통령 선거|{{{#000000,#e5e5e5 '''2017[br]대선'''}}}]]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2018[br]지선'''}}}]]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020[br]총선'''}}}]] || {{{#000000,#e5e5e5 '''2021[br]재보선'''}}} || || 7시 || 2.1% || 2.5% || 2.2% || 2.2% || 1.5% || || 8시 || 6.2% || 5.6% || 4.6% || 5.1% || 3.7% || || 9시 || 10.9% || 9.4% || 7.7% || 8.0% || 6.2% || || 10시 || 15.5% || 14.1% || 11.5% || 11.4% || 9.1% || || 11시 || 19.4% || 19.4% || 15.7% || 15.3% || 12.2% || || 12시 || 22.7% || 24.5% || 19.7% || 19.2% || 15.0% || || 13시 || 26.8% || 55.5% || 43.5% || 49.7% || 38.3% || || 14시 || 29.5% || 59.9% || 46.8% || 53.0% || 40.6% || || 15시 || 32.0% || 63.7% || 50.1% || 56.5% || 42.9% || || 16시 || 34.7% || 67.1% || 53.2% || 59.7% || 45.1% || || 17시 || 37.2% || 70.1% || 56.1% || 62.6% || 47.3% || || 18시 || 39.9% || 72.7% || 60.2% || 66.2% || 49.5% || || 19시 || 42.9% || 75.1% ||<-2><|2><#f5f5f5,#2d2f34> || 51.9% || || 20시 || 48.6% || 77.2% || 55.5% || === 투표율 분석 === [[파일:Screenshot_20210922-164740_Chrome.jpg]] [[파일:2021재보선연령별분석.jpg]] 2021년 7월 선관위에서 투표율 관련 보고서를 제출했다. [[https://www.nec.go.kr/cmm/dozen/view.do?cbIdx=1131&bcIdx=146262&fileNo=2|#]] 사전투표 투표율은 최종 20.54%를 기록했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20.14%)보다는 높게, [[제19대 대통령 선거|19대 대선]](26.06%)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26.69%)보다는 낮게 나왔다. 재보선 사전투표율로는 역대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이어 본투표에서도 최종 투표율이 55.5%를 기록하면서 50%의 투표율을 돌파해 재보선 역대 투표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부산보다는 서울의 투표율이 더 높게 나왔으며, 70대 이상 고령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의 투표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서울, 부산시장 선거에서는 모든 연령과 성별집단에서 보궐선거 기준 최고 투표율이 나왔다. 다만 젠더이슈가 화두로 떠오른 20대 남녀 투표율은 과반에 미치지 않았고[* 투표장에 나오지 않은 기권자가 더 많다는 말이다.], 20대 남성의 투표율이 동나이대 여성 대비 더 낮게 나왔다. 젠더갈등과 20대 남녀 유권자 표심 해석을 놓고 각 당과 진영이 저마다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할 소지가 있어보인다. 향후 치러질 전국 단위 선거에서는 보다 쉬운 일반화 가능한 선거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전국 단위 선거, 특히 대선은 투표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 [[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개표 결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 === [[2021년 재보궐선거/지역별 결과|지역별 결과 분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지역별 결과)] === [[2021년 재보궐선거/정당별 결과|정당별 결과 분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정당별 결과)] == 사건 및 사고 == * 선거 당일, 출구조사 발표 직후 환호하던 [[국민의힘]] 당사 개표상황실에 폭행시비가 일었다. 당직자들은 [[송언석]] 의원이 자신의 자리가 준비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무처 국장 및 팀장급 당직자들에게 [[쪼인트|발길질]][* 연합뉴스 기사에서 정강이를 걷어찼다는 부분이 있다. 링크 #2 참고.] 등의 육체적 폭행과 욕설 등의 폭력을 자행했다"며 송 의원의 공개사과와 탈당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송 의원은 "소리만 있었지, 폭행은 없었다"며 사실과 다르다는 해명을 내놓았다. [[https://www.mbn.co.kr/news/politics/4471440|#1]]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7146500001|#2]] 결국 자진해서 탈당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329208|#]] * 부산경찰청은 부산시장 보궐선거 관련 선거법위반 혐의로 3명을 수사 완료 검찰 송치, 2명을 내사 종결했으며, 34명에 대한 내사 및 수사가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8109300051|#]] == 기타 == ||<-6> 선거 홍보 포스터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년 재보궐선거 포스터.png|width=100%]]}}} || * 이번 재보궐선거가 상술되었다시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1년 앞두고 열리는 만큼, '''당선된 이들은 1년 2개월 후에 다시 선거를 치러야 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36001&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재보궐선거 비용 부담]] 등 많은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 재보궐로 당선된 인물도 1선으로 간주되며, 3선 연임 제한에 당연히 포함된다. 즉, 연임 기간이 8회, 9회 지선에 연속으로 당선되어도 최대 9년밖에 안 되기 때문에 정치인들 입장에서는 연임에 제한이 없는 [[국회의원 선거]]와 비교하자면 상대적으로 출마 메리트가 적다. *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1, 2동, 수유 2, 3동 주민들과 영등포구 신길4[* 17통, 18통, 20통 1~2반 제외.], 5, 7동 주민들, 그리고 송파구 잠실본동, 2동, 7동 주민들은 각각 서울특별시장과 해당 지역구의 서울특별시의원, 영등포구의원, 송파구의원의 재보궐선거를 치르게 되어 본 재보궐선거에서 '''2표'''를 행사하게 되었다.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용덕면, 가례면, 칠곡면, 대의면, 화정면, 낙서면, 부림면, 봉수면 주민들[* 의령군수, 경남도의원.]과 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지정면, 궁류면, 유곡면 주민들[* 의령군수, 경남도의원, 의령군의원.]도 각각 '''2표'''와 '''3표'''를 행사하게 되었다. 상술한 사유로 인해 의령군수와 경남도의원, 의령군의원이 모두 공석인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정말 특이하다. 전직 의령군수가 당선 무효되어 치러지는 보궐선거에 의령군 지역구 경남도의원이 출마해 그 자리는 공석이 되었고, 그 공석을 메꾸기 위한 보궐선거에 의령군의원이 출마해 또 의령군의원 1석이 공석이 되었기 때문이다. 공석 1석이 졸지에 3석으로 뻥튀기되는, 한 마디로 '''도미노 선거'''라고 하는데, 정말 보기 힘든 현상이라고 한다.[* 사실 이번 선거에 나가 당선되는 3인 모두에겐 정말 좋은 기회이다. 결국 많은 지방 정치인들의 최종 목표는 [[국회의원]]일 텐데, 말단 기초의원부터 국회의원 공천을 받으려면 사실상 기초의원→광역의원→기초단체장 2~3선의 커리어를 쌓는 게 보통이기 때문에, 최소 12년은 넘게 걸릴 것이다. 하지만 이번 재보궐선거를 통해 그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당선인들에겐 정말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출마한 주요정당 후보들은 모두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와 연관이 있다. [[박영선]] 후보와 [[나경원]] 전 의원, [[박원순]] 전 시장과 [[오세훈]] 후보의 경우 10년 전과 입장이 바뀌며 기막힌 [[데자뷔]]를 불러일으키게 되었고, [[안철수]]의 경우 후보로 출마하지 않은 대신 단일화에 성공한 모든 후보를 당선시킨 [[킹메이커]]의 역할을 수행했다. * [[나경원]]: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여당 본선 후보, 본선서 '''낙선'''(2위) →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야당 경선 탈락(2위) * [[박영선]]: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야당 통합경선 탈락(2위) →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여당 본선 후보, 본선서 '''낙선'''(2위) * [[오세훈]]: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개최 사유 제공'''([[2011 서울특별시 무상급식 주민투표]]로 인한 사퇴) → [[박원순]] 후보가 후임자로 당선 →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 * [[박원순]]: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당선''' → 2021년 재보궐선거 '''개최 사유 제공'''([[박원순 사망 사건]]) → [[오세훈]] 후보가 후임자로 당선 * [[안철수]]: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2021년 재보궐선거 모두 야당 본선 후보[* 2011년 [[박원순]], 2021년 [[오세훈]]]에게 '''단일화 양보''' → 해당 후보들 모두 서울특별시장에 당선 *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출마한 후보 중 2명이 이름이 비슷하다. [[신지예|신지'''예''']]와 [[신지혜|신지'''혜''']]이다. 또한 둘 다 [[페미니스트]]를 자처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장]] 최종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에 [[김영춘(정치인)|김영춘]], 국민의힘에 [[박형준]]이 올라옴으로써 두 [[국회사무총장]], 두 [[고려대학교]][* 사실 [[부산시장]] 자리는 1995년 광역시 개칭 이후로 [[서울대]]와 고려대 출신들이 줄곧 나눠먹고 있다. [[서병수]] 시장만 [[서강대]] 출신.] 동문[* 박형준과 김영춘은 고려대 2년 선후배로, 박형준이 문예부(문학 동아리) 회장을 할 때 신입생 김영춘이 신입 부원으로 들어와 박형준이 많이 데리고 다니면서 친해져 박형준이 자신이 살던 자취방을 김영춘에게 물려주기도 했다고 한다.]들의 대결로 이어지게 되었다. 심지어 [[자유민주당(대한민국)|자유민주당]] [[정규재]]도 고려대학교 출신이라 부산시장은 1, 2, 3위 후보들이 전부 고려대학교 교우들이라는 진기록을 남겼다. * [[서울특별시장]]에 [[오세훈]]이 당선되면서 서울시정은 2006년 이래로 15년간 오세훈, [[박원순]] 두 명이서 독식하게 되었으며, 둘 다 좋지 않게 시장직에서 물러나 서로에게 재보선 사유를 제공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오세훈은 [[2011 서울특별시 무상급식 주민투표|자진 사퇴]], 박원순은 [[박원순 성폭력 사건|성추행]] 및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사망 사건|자살]].] 또한 오세훈도 고려대 출신이기 때문에 부산시장(누가 되든)과 동문이 된다. 즉 고려대가 향후 최소 1년간은 대한민국의 제1도시, 제2도시 수장직을 독식하게 되며, 박형준이 부산시장에 당선되면서 [[대일고]]-고려대 선후배가 나란히 서울시장, 부산시장에 오르게 됐다.[* 실제로 [[고려대학교 교우회]]에서 박형준, 오세훈, 김영춘 교우의 서울·부산시장 후보 선출을 언급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박원순 성폭력 사건|성추행 사건]] 피해자가 이번 4·7 재보궐선거로 오세훈 서울시장이 당선된 것과 관련해 “오세훈 당선 연설에 가족과 함께 울었다”고 밝혔다. [[https://naver.me/GBlCdLoF|#]] * 오세훈은 이번을 포함한 3번의 서울시장 선거에서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40800340000309|2006년 강금실, 2010년 한명숙, 그리고 2021년 박영선 등 모두 민주당계 정당의 여성 후보를 상대로 승리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예외적으로 1년 전의 21대 총선에서 광진을 지역구에 출마 여성 후보인 [[고민정]]에 패했지만, 이번 보궐선거에서 광진구에서도 박영선을 앞서는 득표율을 기록해 간접적으로 설욕했다.] *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에 출마한 4명의 양당 후보 오세훈, 박영선, 박형준, 김영춘은 모두 1~2월에 태어난 [[빠른 생일|빠른년생]]이다. 또한 박형준과 박영선이 빠른60으로 동갑이고 오세훈이 빠른 61, 김영춘이 빠른 62로서 모두들 나이 차가 1년씩 난다는 특이점이 있다. * [[2017년 4월 재보궐선거]] 이래 처음으로 원외정당이 재보궐선거에 참가한 선거이다. 당시엔 [[가자코리아]], [[국민행복당(2015년)|국민행복당]], [[민중연합당]], [[복지국가당]]에서 후보를 냈고, 이번엔 [[민생당]], [[진보당(2020년)|진보당]], [[미래당]], [[여성의당]], [[자유민주당(2021년)|자유민주당]], [[국가혁명당]] 후보들이 출마했다. * 군소후보들 중에서는 그래도 나름 이름값이 있는 [[정규재]]와 [[허경영]]이 비교적 선전하고 있는데, 정규재는 최대 3.4%, 허경영은 1.6%로 그나마 이번 서울/부산시장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군소후보들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고, 실제로 두 후보 모두 개표 결과 각각 1.07%, 1.06%의 득표율을 올리며 3위를 차지했다. * [[일본]]에서는 [[더불어민주당|여당]]이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했다면서 [[문재인 정부|문정부]]에 매우 큰 타격이라고 보도했다. [[https://naver.me/5cTCZ7qu|#]]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068283|#]]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894369|#]] * [[정의당]]은 참가하지 않았다. 권수정 서울시의원과 김영진 정의당 부산시당위원장의 출마가 유력했으나, 김종철 전 당대표의 성범죄로 인하여 무공천 결정을 함에 따라 '아쉽지만 당론에 따르겠다'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 2021년 4월 1일 광주사랑방 내집마련[* 최초 캡쳐 이후 광주사랑방부동산 '광사부 내집갖기'로 카페명을 변경하였다.]이란 카페에서 한 달간 광주에서 2480명이 감소했다는 게시물이 올라오자 선거 때문에 잠깐 거주지를 서울, 부산으로 옮긴 것 뿐이라는 댓글이 상당수 달려 논란이 되었다.[[https://cafe.naver.com/sutdytool/178680|원본]][*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ED%81%B0%EC%9D%BC%EC%9D%B4%EB%84%A4%EC%9A%94.+%EC%9D%B8%EA%B5%AC%EA%B0%90%EC%86%8C%EA%B0%80+%EB%B9%A8%EB%9D%BC%EC%A7%80%EB%84%A4%EC%9A%94|네이버 검색을 통해]] 접근하면 확인이 가능하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10&no=2051344|캡쳐본]] 다만 해당 게시글을 살펴본 결과 처음 두 명의 이용자 외에는 해당 발언이 없으며, 나머지 댓글들 모두 해당 댓글을 비판하고 있다. 글 작성자도 투표 때문에 주소 이전을 하진 않는다고 해당 댓글들에 의문을 표했다. * 한편, 지난해 총선 때와 달리 국민의힘 선거 유세장에는 보수단체가 들고 온 태극기가 거의 보이지 않고 대신 2030 청년층의 지지 발언으로 젊은 지지층을 끌어 모으는데 주력하고 있다. 20대 청년층은 마침내 태극기와 결별하는 것에 환영하는 모습이다. 그리고 [[우리공화당(2020년)|우리공화당]]을 비롯한 극우 정당들은 후보를 내지 않고 사실상 국민의힘을 지지하기로 했기 때문에 콘크리트 지지층에는 균열이 가지 않을 것으로 보였고,[[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16&aid=0001816282|#]] 결국 국민의힘이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준하는 압승을 거두는 요인이 되었다. * 오세훈 서울시장은 당선이 확정, '''헌정 사상 2번째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다음 선거인 [[8회 지선]]에 출마해 4선에 도전할 수 있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자살하지 않았어도 민선 5기인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민선 6,7기까지 연임해 어차피 8회 지선에는 출마가 불가능한 상태였다.]현행 지방자치법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연임 제한 규정에 있어 '''계속 재임'''을 3회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34대 임기 수행 중 사퇴를 하고 38대 시장에 다시 당선되었으므로 계속 재임이 성립되지 않아서 향후 2번 더 출마가 가능한 것이다. 재선 도전에 성공할 시 헌정 사상 처음으로 민선 4선 [[광역자치단체장]][* [[심대평]] 전 [[충남지사]]가 4선 광역단체장, [[우근민]] 전 [[제주지사]]가 5선 광역단체장을 지내긴 했지만 심 전 지사는 첫 번째 집권은 [[노태우]] [[전 대통령]]에 의한 관선직으로 시작했고 민선은 나머지 3선 연임으로 끝냈으며 우 전 지사도 노태우 전 대통령에 의한 관선직으로 시작해 [[김영삼]] [[전 대통령]]까지 연임했으며 민선으로 재선을 했다가 중간에 쉬고 3선이 되었다. 즉 민선직에 당선되었다가 잠시 물러난 후 다시 당선된 사례가 오세훈이 처음은 아니지만, 민선만으로 4선이 된 사례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현재까지 전무하다.]이 된다. 참고로 기초자치단체장의 경우 [[성장현]] 용산구청장, [[고재득]] 전 성동구청장, [[유덕열]] 동대문구청장, [[노현송]] 강서구청장, [[엄태항]] 봉화군수 등이 민선 4선을 달성한 선례가 있다. * [[압구정 현대아파트]]에서는, [[https://newstapa.org/article/KowMe?reset_cache|오세훈 후보에 '''93.6%'''의 표를 몰아줬다.]] * 더불어민주당의 후보로 출마한 [[박영선]]은 과거 [[MBC]]에서 아나운서, 기자, 앵커로 활동했던 이력이 있는데 캠프 대변인이였던 [[고민정]]([[광진구 을]])도 [[KBS]]에서 [[아나운서]]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한편 박영선과 같은 MBC 출신인 [[배현진]]([[송파구 을]])은 오세훈 지원 유세에 참여했다.] *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서울시장은 [[박원순|박씨]]에서 [[오세훈|오씨]]로 바뀌고 부산시장은 [[오거돈|오씨]]에서 [[박형준|박씨]]로 바뀌었다는 사실이다.[* 둘 다 박씨와 오씨의 근본이자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밀양 박씨]]와 [[해주 오씨]]이기도 하다. 두 명의 박 시장이 모두 종교가 딱히 없는 무종교인 것도 비슷하다.] 참고로 [[박혁거세]]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민간 단체[* 박씨는 본관이 여러 개가 있지만([[밀양 박씨|밀양]], [[반남 박씨|반남]], [[함양 박씨|함양]] 등....) 전부 박혁거세 계열이다. [[오릉]] 문서 참조.]인 오릉보존회 산하 기관지인 숭덕전신문에서 2021년 재보궐선거 직후에 재보궐선거에 대해 언급했는데, 같은 가문의 [[박형준]]의 압도적 격차로 부산시장에 당선된 것을 축하하는 내용이었다. 여기서 [[박원순]] 전 시장에 대해서는 [[:파일:1dc9f9cd4ed6d67f6aff7178e2c7bd14_1621049546_0582.jpg|일언반구도 하지 않았다.]] * 한편으로는 [[서울 공화국]] 문제가 나타난 선거이기도 하다. 서울시장의 경우 토론회 전부를 방송사의 특별편성이나 토론프로그램으로 통해서 전국적으로 중계를 한 반면, 부산시장의 경우 지역권 방송사에서도 부산지역을 벗어나면 부산과의 영향을 주고받는 경남과 울산에서도 찾아보지 않으면 토론회를 볼 수 없을 정도였다. * 그로부터 2년 6개월후 이번엔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국민의힘이 리버스]]로 당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2021년 재보궐선거/선거 전 예상, version=427, paragraph=3)] == 같이 보기 == * [[2004년 재보궐선거#s-2|200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 [[부산광역시장]], [[경상남도지사]], [[전라남도지사]], [[제주특별자치도지사|제주도지사]] * [[201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 [[강원도지사]] *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 [[서울특별시장]] * [[2012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 [[경상남도지사]]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021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분류:2021년 재보궐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