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1년 재보궐선거)] [include(틀:2021년 재보궐선거)] [목차] == 개요 == 2021년 재보궐선거의 개표 결과를 정리한 문서. 4월 7일 20시에 투표가 종료된 후 개표가 시작된다. == 광역자치단체장 == === [[서울특별시장]] === ||<-4> [[서울특별시|[[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0px]]]] [[서울특별시장|{{{#ffffff {{{+1 '''서울특별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영선|{{{#373a3c,#dddddd 박영선}}}]](朴映宣) || 1,907,336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9.18% || 낙선 || ||<|2> {{{#FFFFFF {{{+5 '''2'''}}}}}} || '''[[오세훈|{{{#373a3c,#dddddd 오세훈}}}]](吳世勳)''' || '''2,798,788'''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7.50%''' || '''당선''' || ||<|2> {{{#FFFFFF {{{+5 '''--4--'''}}}}}} || --[[안철수|{{{#373a3c,#dddddd 안철수}}}]](安哲秀)-- ||<|2><-2> 사퇴[* 2021년 3월 23일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와 단일화 확정으로 사퇴했다. 후보 등록일 이후 사퇴하였기 때문에 투표 용지에는 인쇄되었으나, 기표란에 '''사퇴'''라고 표시되었다.] || || --[include(틀:국민의당)]-- || ||<|2> {{{#FFFFFF {{{+5 '''6'''}}}}}} || [[신지혜|{{{#373a3c,#dddddd 신지혜}}}]](申智惠) || 23,628 || 5위 || || [include(틀:기본소득당)] || 0.48% || 낙선 || ||<|2> {{{#FFFFFF {{{+5 '''7'''}}}}}} || [[허경영|{{{#373a3c,#dddddd 허경영}}}]](許京寧) || 52,107 || 3위 || || [include(틀:국가혁명당)] || 1.07% || 낙선 || ||<|2> {{{#FFFFFF {{{+5 '''8'''}}}}}} || [[오태양|{{{#373a3c,#dddddd 오태양}}}]](吳太陽) || 6,483 || 9위 || || [include(틀:미래당)] || 0.13% || 낙선 || ||<|2> {{{#FFFFFF {{{+5 '''9'''}}}}}} || [[이수봉|{{{#373a3c,#dddddd 이수봉}}}]](李守峯) || 11,196 || 8위 || || [include(틀:민생당)] || 0.23% || 낙선 || ||<|2> {{{#FFFFFF {{{+5 '''10'''}}}}}} || [[배영규|{{{#373a3c,#dddddd 배영규}}}]](裵永奎) || 634 || 12위 || || [include(틀:신자유민주연합)] || 0.01% || 낙선 || ||<|2> {{{#FFFFFF {{{+5 '''11'''}}}}}} || {{{#373a3c,#dddddd 김진아}}}(金珍芽) || 33,421 || 4위 || || [include(틀:여성의당)] || 0.68% || 낙선 || ||<|2> {{{#FFFFFF {{{+5 '''12'''}}}}}} || [[송명숙|{{{#373a3c,#dddddd 송명숙}}}]](宋名淑) || 12,272 || 7위 || || [include(틀:진보당(2020년))] || 0.25% || 낙선 || ||<|2> {{{#FFFFFF {{{+5 '''13'''}}}}}} || [[정동희|{{{#373a3c,#dddddd 정동희}}}]](鄭東熙) || 1,874 || 10위 || || [include(틀:무소속)] || 0.03% || 낙선 || ||<|2> {{{#FFFFFF {{{+5 '''14'''}}}}}} || [[이도엽(작가)|{{{#373a3c,#dddddd 이도엽}}}]](李度燁) || 1,664 || 11위 || || [include(틀:무소속)] || 0.03% || 낙선 || ||<|2> {{{#FFFFFF {{{+5 '''15'''}}}}}} || [[신지예|{{{#373a3c,#dddddd 신지예}}}]](申智藝) || 18,039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0.3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425,869 ||<|3> '''투표율'''[br]58.19% || || '''투표 수''' || 4,902,630 || || '''무효표 수''' || 35,188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결과표.png|width=100%]]}}} || || [[파일:재보선 동별 개표 결과.png|width=100%]] || ---- {{{#!folding [서울특별시장 구별 개표 결과 보기] ||<-5> {{{#ffffff '''2021년 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장 구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2> '''투표 수[br](투표율)''' || || '''후보''' || [[박영선|{{{#ffffff '''박영선'''}}}]] || [[오세훈|{{{#ffffff '''오세훈'''}}}]] || ||<|2> '''전체''' || '''1,907,336[br](39.18%)''' || {{{#ffffff '''2,798,788[br](57.50%)'''}}} ||<|2> '''4,902,630'''[br]'''(58.19%)''' || ||<-2><:> ◁ 18.32%p {{{#e61e2b ▶}}} || ||<|2> '''종로구''' ||<:> 32,309[br](41.26%) ||<:> {{{#e61e2b 43,255[br](55.24%)}}} ||<|2> 78,852[br](59.6%) || ||<-2><:> ◁ 13.98%p {{{#e61e2b ▶}}} || ||<|2> '''중구''' ||<:> 25,958[br](39.98%) ||<:> {{{#e61e2b 36,881[br](56.81%)}}} ||<|2> 65,391[br](57.4%) || ||<-2><:> ◁ 16.83%p {{{#e61e2b ▶}}} || ||<|2> '''용산구''' ||<:> 39,280[br](33.36%) ||<:> {{{#e61e2b 74,689[br](63.44%)}}} ||<|2> 118,460[br](57.9%) || ||<-2><:> ◁ 30.08%p {{{#e61e2b ▶}}} || ||<|2> '''성동구''' ||<:> 55,941[br](37.17%) ||<:> {{{#e61e2b 89,924[br](59.76%)}}} ||<|2> 151,520[br](58.7%) || ||<-2><:> ◁ 22.59%p {{{#e61e2b ▶}}} || ||<|2> '''광진구''' ||<:> 69,179[br](39.77%) ||<:> {{{#e61e2b 98,620[br](56.69%)}}} ||<|2> 175,342[br](57.2%) || ||<-2><:> ◁ 16.92%p {{{#e61e2b ▶}}} || ||<|2>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동대문구'''}}} ||<:> 69,406[br](40.46%) ||<:> {{{#e61e2b 96,340[br](56.16%)}}} ||<|2> 172,922[br](57.3%) || ||<-2><:> ◁ 15.70%p {{{#e61e2b ▶}}} || ||<|2> '''중랑구''' ||<:> 81,450[br](43.45%) ||<:> {{{#e61e2b 99,555[br](53.10%)}}} ||<|2> 188,880[br](53.9%) || ||<-2><:> ◁ 9.65%p {{{#e61e2b ▶}}} || ||<|2> '''성북구''' ||<:> 94,055[br](42.79%) ||<:> {{{#e61e2b 117,596[br](53.50%)}}} ||<|2> 221,414[br](58.5%) || ||<-2><:> ◁ 10.71%p {{{#e61e2b ▶}}} || ||<|2> '''강북구''' ||<:> '''66,451[br](45.17%)''' ||<:> {{{#e61e2b 75,327[br](51.21%)}}} ||<|2> 148,390[br](54.4%) || ||<-2><:> ◁ 6.04%p {{{#e61e2b ▶}}} || ||<|2> '''도봉구''' ||<:> 68,848[br](42.37%) ||<:> {{{#e61e2b 88,274[br](54.33%)}}} ||<|2> 163,628[br](57.5%) || ||<-2><:> ◁ 11.96%p {{{#e61e2b ▶}}} || ||<|2> '''노원구''' ||<:> 111,652[br](42.02%) ||<:> {{{#e61e2b 145,073[br](54.60%)}}} ||<|2> 267,498[br](60.0%) || ||<-2><:> ◁ 12.58%p {{{#e61e2b ▶}}} || ||<|2> '''은평구''' ||<:> 104,281[br](44.85%) ||<:>{{{#e61e2b 119,068[br](51.21%)}}} ||<|2> 234,238[br](56.0%) || ||<-2><:> ◁ 6.36%p {{{#e61e2b ▶}}} || ||<|2>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서대문구'''}}} ||<:> 67,277[br](42.02%) ||<:> {{{#e61e2b 86,375[br](53.95%)}}} ||<|2> 161,388[br](59.1%) || ||<-2><:> ◁ 11.93%p {{{#e61e2b ▶}}} || ||<|2> '''마포구''' ||<:> 77,948[br](40.66%) ||<:> {{{#e61e2b 105,676[br](55.12%)}}} ||<|2> 193,234[br](59.7%) || ||<-2><:> ◁ 14.46%p {{{#e61e2b ▶}}} || ||<|2> '''양천구''' ||<:> 91,182[br](39.63%) ||<:> {{{#e61e2b 132,189[br](57.46%)}}} ||<|2> 231,478[br](60.5%) || ||<-2><:> ◁ 17.83%p {{{#e61e2b ▶}}} || ||<|2> '''강서구''' ||<:> 120.310[br](42.56%) ||<:> {{{#e61e2b 152,517[br](53.95%)}}} ||<|2> 284,823[br](56.4%) || ||<-2><:> ◁ 11.39%p {{{#e61e2b ▶}}} || ||<|2> '''구로구''' ||<:> 89,385[br](43.73%) ||<:> {{{#e61e2b 108,763[br](53.21%)}}} ||<|2> 205,837[br](57.7%) || ||<-2><:> ◁ 9.48%p {{{#e61e2b ▶}}} || ||<|2> '''금천구''' ||<:> 48,743[br](44.82%) ||<:> {{{#e61e2b 56,238[br](51.71%)}}} ||<|2> 109,584[br](52.2%) || ||<-2><:> ◁ 7.69%p {{{#e61e2b ▶}}} || ||<|2>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영등포구'''}}} ||<:> 75,376[br](38.33%) ||<:> {{{#e61e2b 114,765[br](58.36%)}}} ||<|2> 198,145[br](58.3%) || ||<-2><:> ◁ 20.03%p {{{#e61e2b ▶}}} || ||<|2> '''동작구''' ||<:> 81,367[br](40.06%) ||<:> {{{#e61e2b 114,862[br](56.55%)}}} ||<|2> 204,664[br](59.3%) || ||<-2><:> ◁ 16.49%p {{{#e61e2b ▶}}} || ||<|2> '''관악구''' ||<:> 106,896[br](44.44%) ||<:> {{{#e61e2b 122,604[br](50.97%)}}} ||<|2> 242,935[br](53.9%) || ||<-2><:> ◁ 6.53%p {{{#e61e2b ▶}}} || ||<|2> '''서초구''' ||<:> 60,029[br](26.74%) ||<:> {{{#e61e2b 159,433[br](71.02%)}}} ||<|2> 225,574[br]('''64.0%''') || ||<-2><:> ◁ 44.28%p {{{#e61e2b ▶}}} || ||<|2> '''강남구''' ||<:> 66,907[br](24.32%) ||<:> {{{#e61e2b '''202,320[br](73.54%)'''}}} ||<|2> 276,485[br](61.1%) || ||<-2><:> ◁ 49.22%p {{{#e61e2b ▶}}} || ||<|2> '''송파구''' ||<:> 114,468[br](33.28%) ||<:> {{{#e61e2b 219,812[br](63.91%)}}} ||<|2> '''346,139'''[br](61.0%) || ||<-2><:> ◁ 30.63%p {{{#e61e2b ▶}}} || ||<|2> '''강동구''' ||<:> 88,638[br](37.83%) ||<:> {{{#e61e2b 138,632[br](59.17%)}}} ||<|2> 235,809[br](59.3%) || ||<-2><:> ◁ 21.34%p {{{#e61e2b ▶}}} ||}}} ---- '''전 자치구에서 이겼으며''', 세부적으로 보면 5개 동을 제외한 나머지 동에서 전부 오세훈 후보가 이겼다. 그리고 이 선거로 인해 오세훈은 '''최다 득표수로 당선된 서울특별시장, 역대 가장 높은 득표율[*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61.0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로 당선된 서울특별시장'''이란 타이틀을 모두 갖게 되었다. 사전 투표에서도 오세훈 후보가 약 10만 표차로 승리하였다. 세부적으로 자치구별 사전투표 결과를 보면 25개 구 중 11개 구[* 종로구, 서대문구, 은평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중랑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에서 박영선 후보가 승리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86630|#]] 그리고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는 전체 425개 동 중에서 420곳에서 이겼고,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는 5곳에서 이겼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서울특별시장)] === [[부산광역시장]] === ||<-4> [[부산광역시|[[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width=20px]]]] [[부산광역시장|{{{#ffffff {{{+1 '''부산광역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영춘|{{{#373a3c,#dddddd 김영춘}}}]](金榮春) || 528,135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4.42% || 낙선 || ||<|2> {{{#FFFFFF {{{+5 '''2'''}}}}}} || '''[[박형준|{{{#373a3c,#dddddd 박형준}}}]](朴亨埈)''' || '''961,576'''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62.67%''' || '''당선''' || ||<|2> {{{#FFFFFF {{{+5 '''6'''}}}}}} || [[손상우|{{{#373a3c,#dddddd 손상우}}}]](孫尙佑) || 7,933 || 5위 || || [include(틀:미래당)] || 0.51% || 낙선 || ||<|2> {{{#FFFFFF {{{+5 '''7'''}}}}}} || [[배준현|{{{#373a3c,#dddddd 배준현}}}]](裵俊炫) || 7,251 || 6위 || || [include(틀:민생당)] || 0.47% || 낙선 || ||<|2> {{{#FFFFFF {{{+5 '''8'''}}}}}} || [[정규재|{{{#373a3c,#dddddd 정규재}}}]](鄭奎載) || 16,380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2021년))] || 1.06% || 낙선 || ||<|2> {{{#FFFFFF {{{+5 '''9'''}}}}}} || [[노정현|{{{#373a3c,#dddddd 노정현}}}]](盧正炫) || 13,054 || 4위 || || [include(틀:진보당(2020년))] || 0.8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936,301 ||<|3> '''투표율'''[br]52.65% || || '''투표 수''' || 1,546,051 || || '''무효표 수''' || 11,722 || ---- [[파일:sedfgfh.png]] ---- {{{#!folding [부산광역시장 구•군별 개표 결과 보기] ||<-5> {{{#ffffff '''2021년 재보궐선거 부산광역시장 구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2> '''투표 수[br](투표율)''' || || '''후보''' || [[김영춘|{{{#ffffff '''김영춘'''}}}]] || [[박형준|{{{#ffffff '''박형준'''}}}]] || ||<|2> '''전체''' ||<:> '''528,135[br](34.42%)''' || {{{#ffffff '''961,576[br](62.67%)'''}}} ||<:> '''1,546,051''' || ||<-2><:> ◁ 28.25%p {{{#e61e2b ▶}}} ||<:> '''52.65%''' || ||<|2> '''중구''' ||<:> 6,480[br](33.40%) ||<:> {{{#e61e2b 12,391[br](63.88%)}}} ||<:> 19,552 || ||<-2><:> ◁ 30.48%p {{{#e61e2b ▶}}} ||<:> 50.4% || ||<|2> '''서구''' ||<:> 16,029[br](32.27%) ||<:> {{{#e61e2b 32,323[br](65.07%)}}} ||<:> 50,098 || ||<-2><:> ◁ 32.80%p {{{#e61e2b ▶}}} ||<:> 52.5% || ||<|2> '''동구''' ||<:> 13,663[br](32.59%) ||<:> {{{#e61e2b 27,047[br](64.52%)}}} ||<:> 42,257 || ||<-2><:> ◁ 31.93%p {{{#e61e2b ▶}}} ||<:> 52.4% || ||<|2> '''영도구''' ||<:> 18,810[br](37.26%) ||<:> {{{#e61e2b 30,413[br](60.25%)}}} ||<:> 50,888 || ||<-2><:> ◁ 22.99%p {{{#e61e2b ▶}}} ||<:> 50.3% || ||<|2>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부산진구'''}}} ||<:> 60,653[br](36.61%) ||<:> {{{#e61e2b 100,511[br](60.67%)}}} ||<:> 166,917 || ||<-2><:> ◁ 24.06%p {{{#e61e2b ▶}}} ||<:> 52.6% || ||<|2> '''동래구''' ||<:> 41,443[br](32.93%) ||<:> {{{#e61e2b 80,524[br](63.98%)}}} ||<:> 126,732 || ||<-2><:> ◁ 31.05%p {{{#e61e2b ▶}}} ||<:> 55.0% || ||<|2> '''남구''' ||<:> 42,683[br](34.09%) ||<:> {{{#e61e2b 78,621[br](62.79%)}}} ||<:> 126,091 || ||<-2><:> ◁ 28.70%p {{{#e61e2b ▶}}} ||<:> 54.7% || ||<|2> '''북구''' ||<:> 46,860[br](35.84%) ||<:> {{{#e61e2b 80,183[br](61.32%)}}} ||<:> 131,810 || ||<-2><:> ◁ 25.48%p {{{#e61e2b ▶}}} ||<:> 53.6% || ||<|2>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해운대구'''}}} ||<:> 58,717[br](32.39%) ||<:> {{{#e61e2b 117,478[br](64.80%)}}} ||<:> '''182,561''' || ||<-2><:> ◁ 32.41%p {{{#e61e2b ▶}}} ||<:> 53.6% || ||<|2> '''기장군''' ||<:> 24,128[br](35.23%) ||<:> {{{#e61e2b 42,440[br](61.97%)}}} ||<:> 68,949 || ||<-2><:> ◁ 26.74%p {{{#e61e2b ▶}}} ||<:> 48.4% || ||<|2> '''사하구''' ||<:> 47,857[br](35.54%) ||<:> {{{#e61e2b 83,173[br](61.77%)}}} ||<:> 135,689 || ||<-2><:> ◁ 26.23%p {{{#e61e2b ▶}}} ||<:> 50.0% || ||<|2> '''금정구''' ||<:> 34,884[br](31.51%) ||<:> {{{#e61e2b '''72,339[br](65.35%)'''}}} ||<:> 111,558 || ||<-2><:> ◁ 33.84%p {{{#e61e2b ▶}}} ||<:> 54.5% || ||<|2> '''강서구''' ||<:> '''22,347[br](41.67%)''' ||<:> {{{#e61e2b 30,048[br](56.03%)}}} ||<:> 53,979 || ||<-2><:> ◁ 14.36%p {{{#e61e2b ▶}}} ||<:> 49.6% || ||<|2> '''연제구''' ||<:> 33,763[br](33.90%) ||<:> {{{#e61e2b 62,316[br](62.58%)}}} ||<:> 100,380 || ||<-2><:> ◁ 28.68%p {{{#e61e2b ▶}}} ||<:> '''55.6%''' || ||<|2> '''수영구''' ||<:> 26,514[br](31.81%) ||<:> {{{#e61e2b 54,054[br](64.85%)}}} ||<:> 83,955 || ||<-2><:> ◁ 33.04%p {{{#e61e2b ▶}}} ||<:> 53.5% || ||<|2> '''사상구''' ||<:> 33,304[br](35.50%) ||<:> {{{#e61e2b 57,715[br](61.52%)}}} ||<:> 94,635 || ||<-2><:> ◁ 26.02%p {{{#e61e2b ▶}}} ||<:> 50.3% ||}}} ---- 전임자 [[오거돈]] 전 시장이 [[오거돈 성추행 사건|성추행 사건]]으로 직을 사퇴하게 되면서 재보궐선거가 발생하게 되었는데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변성완]] 전 행정부시장(시장 권한대행) 등이 도전하였으나 체급이 가장 높았던 [[김영춘]] 전 [[해양수산부장관]]이 출마하게 되었고 [[국민의힘]]에서는 [[이언주]] 전 의원, [[박성훈(1971)|박성훈]] 전 정무부시장 등이 도전하였으나 TV 출연 등으로 인지도가 높았던 [[박형준]] 전 [[국회사무총장]]이 공천을 받게 되었다. 최종적으로는 [[국민의힘]]의 공천을 받은 [[박형준]]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김영춘]] 후보를 상대로 큰 격차로 승리하면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앞서 PK 고토 회복에 성공하였다. 여담으로 [[2004년 재보궐선거]]와 같이 행정부시장, 정무부시장 모두 부산광역시장 선거전에 뛰어들고 각각 여당, 야당을 선택하였으나 지난 번과는 달리 최종 후보로 선출되는데는 실패하였다. 그리고 둘 모두 사퇴하면서 기획조정실장의 권한대행이 이루어졌으나 빠른 시일 내에 [[행정안전부]]에서 행정부시장을 지명하며 공백이 해소되었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부산광역시장)] == 기초자치단체장 == === [[남구청장(울산)|울산광역시 남구청장]] === ||<-4><:>[[남구(울산광역시)|{{{+1 [[파일:남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남구청장(울산)|{{{#ffffff,#000000 {{{+1 '''남구청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김석겸(정치인)|{{{#373a3c,#dddddd 김석겸}}}]](金錫謙) ||<:>24,223||<:>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2.15%||<:>낙선|| ||<|2><:>{{{#FFFFFF {{{+5 '''2'''}}}}}}||<:>'''[[서동욱(1963)|{{{#373a3c,#dddddd 서동욱}}}]](徐東旭)''' ||<:>'''69,689'''|| '''1위''' || ||<:>[include(틀:국민의힘)]||<:>'''63.73%'''|| '''{{{#000 당선}}}''' || ||<|2><:>{{{#FFFFFF {{{+5 '''6'''}}}}}}||<:>[[김진석(1963)|{{{#373a3c,#dddddd 김진석}}}]](金眞奭) ||<:>15,431||<:>3위|| ||<:>[include(틀:진보당(2020년))]||<:>14.11%||<:>낙선|| ||<|3><:>'''계'''||<:>'''선거인 수'''|| 271,967 ||<|3><:>'''투표율'''[br]40.5%|| ||<:>'''투표 수'''|| 110,136 || ||<:>'''무효표 수'''|| 793 || ||<-5><:>{{{#ffffff '''울산 남구청장 재보궐선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width=100%]]]]||<:>[[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width=80%]]]]||<:>[[진보당(2020년)|[[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width=60%]]]] ||<|2><:>'''격차'''|| ||<:>'''후보'''||<:>[[김석겸(정치인)|{{{#FFFFFF '''김석겸'''}}}]]||<:>[[서동욱(1963)|{{{#FFFFFF '''서동욱'''}}}]]|| [[김진석(1963)|{{{#FFFFFF '''김진석'''}}}]] || || '''득표수[br](득표율)''' || '''24,223[br](22.15%)''' || {{{#FFFFFF '''69,689[br](63.73%)'''}}} || '''15,431[br](14.11%)''' || '''+ 45,466[br](▼41.58)''' || || '''신정1동''' ||<:> 18.15% ||<:> {{{#E61E2B '''73.01%'''}}} ||<:> 8.83% ||<:> ▼54.86 || || '''신정2동''' ||<:> 21.03% ||<:> {{{#e61e2b 69.39%}}} ||<:> 9.57% ||<:> ▼48.36 || || '''신정3동''' ||<:> 20.16% ||<:> {{{#e61e2b 69.12%}}} ||<:> 10.71% ||<:> ▼48.96 || || '''신정4동''' ||<:> 21.85% ||<:> {{{#e61e2b 63.18%}}} ||<:> 14.96% ||<:> ▼41.33 || || '''신정5동''' ||<:> 21.03% ||<:> {{{#e61e2b 69.39%}}} ||<:> 10.22% ||<:> ▼52.08 || || '''달동''' ||<:> 19.37% ||<:> {{{#e61e2b 65.33%}}} ||<:> 15.30% ||<:> ▼45.96 || || '''삼산동''' ||<:> 22.67% ||<:> {{{#e61e2b 60.80%}}} ||<:> 16.52% ||<:> ▼38.13 || || '''삼호동''' ||<:> 22.80% ||<:> {{{#e61e2b 64.49%}}} ||<:> 12.69% ||<:> ▼41.69 || || '''무거동''' ||<:> 25.80% ||<:> {{{#e61e2b 61.96%}}} ||<:> 12.23% ||<:> ▼36.16 || || '''옥동''' ||<:> '''26.02%''' ||<:> {{{#e61e2b 62.43%}}} ||<:> 11.54% ||<:> ▼36.41 || || '''야음장생포동''' ||<:> 15.04% ||<:> {{{#e61e2b 67.80%}}} ||<:> 17.17% ||<:> ▼40.63 || || '''대현동''' ||<:> 21.34% ||<:> {{{#e61e2b 57.61%}}} ||<:> '''21.04%''' ||<:> ▼46.27 || || '''수암동''' ||<:> 20.74% ||<:> {{{#e61e2b 62.05%}}} ||<:> 17.21% ||<:> ▼41.31 || || '''선암동''' ||<:> 21.03% ||<:> {{{#e61e2b 69.39%}}} ||<:> 9.57% ||<:> ▼48.36 || || '''거소투표''' ||<:> 32.99% ||<:> {{{#e61e2b 52.00%}}} ||<:> 14.99% ||<:> ▼19.01 || || '''관외사전투표''' ||<:> 34.94% ||<:> {{{#e61e2b 50.41%}}} ||<:> 14.64% ||<:> ▼15.47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별'''}}}}}} ||<:>[[김석겸(정치인)|{{{#FFFFFF 김석겸}}}]]||<:>[[서동욱(1963)|{{{#FFFFFF 서동욱}}}]]|| [[김진석(1963)|{{{#FFFFFF '''김진석'''}}}]] ||<:>{{{#FFFFFF '''격차'''}}}|| || [[남구 갑(울산)|{{{#e61e2b '''남구 갑'''[* 옥동, 삼호동, 무거동,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이채익]] (국민의힘, 3선)]}}}]] || 23.47% || {{{#ffffff '''63.37%''' }}} || 13.15% || ▼39.90 || || [[남구 을(울산)|{{{#e61e2b '''남구 을'''[* 달동, 삼산동, 대현동, 수암동, 선암동, 야음·장생포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김기현(정치인)|김기현]] (국민의힘, 4선)]}}}]] || 21.11% || {{{#ffffff '''61.63%''' }}} || 17.25% || ▼40.52 || 사실 여기는 이번 선거에서 단일화 논의가 이뤄진 몇 안 되는 지역이기도 한데, 김석겸 후보가 단일화가 없으면 못 이길 거라고 제대로 예측했고, 김진석 후보에게 단일화를 제안했다. 김진석 후보는 재선거의 원인인 민주당이 후보를 안 내는 게 맞다면서도 민주당 측에서 진정성을 보여준다면 적극적으로 논의해 보겠다고 했는데... 민주당 중앙당과 울산시당이 '''단일화 절대 없음!''' 이라며 방해해서 결렬되었다. 아무리 남구가 중상류층 비율이 높다지만 석유화학단지를 중심으로 노동자 인구도 꽤 많고, 게다가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누더기화를 주동한 정당이 [[더불어민주당]]이였기에 노동계 사이에선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컸다. 거기에다가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반감으로 신정동 등 부촌에 거주중인 고소득층도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큰 성황이다. 결국 국민의힘 서동욱 후보가 무려 '''63.7%'''를 얻어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의 뼈 아픈 패배를 딛고 화려하게 부활했으며, 김석겸 후보는 [[21대 총선]] 때 범민주 진영(더불어시민당+열린민주당)이 얻은 30%에도 못 미친 22%만 받으면 완패, 김진석 후보는 범노동계 진영의 결집으로 [[21대 총선]] 때 노동계 진영(정의당+진보당+노동당)이 얻은 10.52%를 상회하는 14.1%를 얻으며 진보정당에 희망을 주는 데 성공했다. === [[의령군|경상남도 의령군수]] === ||<-4><:>[[|{{{+1 [[파일:의령군 CI_White.svg|width=30px]]}}}]] [[의령군|{{{#ffffff,#000000 {{{+1 '''의령군수'''}}}}}}]]||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김충규|{{{#373a3c,#dddddd 김충규}}}]](金忠圭) ||<:>4,942||<:>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9.87%||<:>낙선|| ||<|2><:>{{{#FFFFFF {{{+5 '''2'''}}}}}}||<:>'''[[오태완|{{{#373a3c,#dddddd 오태완}}}]](吳泰完) '''||<:>'''7,335'''||<:>'''1위'''|| ||<:>[include(틀:국민의힘)]||<:>'''44.33%'''||<:>'''{{{#000 당선}}}'''|| ||<|2><:>{{{#FFFFFF {{{+5 '''6'''}}}}}}||<:>{{{#373a3c,#dddddd 오용}}}(吳龍) ||<:>2,158||<:>3위|| ||<:>[include(틀:무소속)]||<:>13.04%||<:>낙선|| ||<|2><:>{{{#FFFFFF {{{+5 '''7'''}}}}}}||<:>{{{#373a3c,#dddddd 김창환}}}(金昌煥) ||<:>2,109||<:>4위|| ||<:>[include(틀:무소속)]||<:>12.74%||<:>낙선|| ||<|3><:>'''계'''||<:>'''선거인 수'''|| 24,452 ||<|3><:>'''투표율'''[br]69.5%|| ||<:>'''투표 수'''|| 16,997 || ||<:>'''무효표 수'''|| 453 || ||<-4><:>{{{#FFFFFF '''경남 의령군수 보궐선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width=100%]]]]||<:>[[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width=80%]]]]||<|2><:>'''격차'''|| ||<:>'''후보'''||<:>[[김충규|{{{#FFFFFF '''김충규'''}}}]]||<:>[[오태완|{{{#FFFFFF '''오태완'''}}}]]|| || '''전체''' || '''4,942[br](29.87%)''' || {{{#ffffff '''7,335[br](44.33%)''' }}} || '''-2,393[br](▼14.46)''' || || '''의령읍''' ||<:> 30.75% ||<:> {{{#e61e2b 38.57%}}} ||<:> ▼7.83 || || '''가례면''' ||<:> 26.22% ||<:>{{{#e61e2b 49.51%}}} ||<:> ▼23.29 || || '''칠곡면''' ||<:> 28.85% ||<:> {{{#e61e2b 45.41%}}} ||<:> ▼16.56 || || '''대의면''' ||<:> 23.96% ||<:> {{{#e61e2b 33.73%}}} ||<:> ▼9.77 || || '''화정면''' ||<:> 20.64% ||<:> {{{#e61e2b '''68.87%'''}}} ||<:> ▼48.21 || || '''용덕면''' ||<:> 32.15% ||<:> {{{#e61e2b 43.63%}}} ||<:> ▼11.48 || || '''정곡면''' ||<:> 22.46% ||<:> {{{#e61e2b 56.58%}}} ||<:> ▼34.12 || || '''지정면''' ||<:> 30.74% ||<:> {{{#e61e2b 43.46%}}} ||<:> ▼15.72 || || '''낙서면''' ||<:> 25.63% ||<:> {{{#e61e2b 47.27%}}} ||<:> ▼21.64 || || '''부림면''' ||<:> 35.71% ||<:> {{{#e61e2b 40.78%}}} ||<:> ▼4.07 || || '''봉수면''' ||<:> '''39.07%''' ||<:> {{{#e61e2b 46.06%}}} ||<:> ▼6.99 || || '''궁류면''' ||<:> 30.66% ||<:> {{{#e61e2b 46.95%}}} ||<:> ▼16.29 || || '''유곡면''' ||<:> 30.47% ||<:> {{{#e61e2b 45.71%}}} ||<:> ▼15.24 || || '''거소투표''' ||<:> 27.27% ||<:> {{{#e61e2b 41.18%}}} ||<:> ▼13.91 || || '''관외사전투표''' ||<:> 32.44% ||<:> {{{#e61e2b 46.67%}}} ||<:> ▼14.23 || 민주당 김충규 후보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의 민주당 후보 득표율을 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고 이 선거에서 몇몇 텃밭지를 제외하면 가장 석패했지만, 보수세를 넘긴 힘들었다. == 광역의원 == === [[서울특별시의회]] === ==== [[서울특별시]] [[강북구 제1선거구]] ==== ||<-4><:>[[강북구 제1선거구|{{{#ffffff,#000000 {{{+1 '''강북구 제1선거구'''}}}}}}]][br]{{{#ffffff,#000000 번1동, 번2동, 수유2동, 수유3동}}}||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김승식}}}(金承植) ||<:>18,327||<:>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49.21%||<:>낙선|| ||<|2><:>{{{#FFFFFF {{{+5 '''2'''}}}}}}||<:>'''[[이종환(1956)|{{{#373a3c,#dddddd 이종환}}}]](李鍾桓)''' ||<:>'''18,912'''||<:>'''1위'''|| ||<:>[include(틀:국민의힘)]||<:>'''50.78%'''||<:>'''{{{#000 당선}}}'''|| ||<|3><:>'''계'''||<:>'''선거인 수'''|| 73,147 ||<|3><:>'''투표율'''[br]52.9%|| ||<:>'''투표 수'''|| 38,725 || ||<:>'''무효표 수'''|| 1,486 || ||<-4><:>{{{#FFFFFF '''서울특별시 강북구 제1선거구 보궐선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width=100%]]]]||<:>[[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width=80%]]]]||<|2><:>'''격차'''|| ||<:>'''후보'''||<:>{{{#FFFFFF '''김승식'''}}}||<:>{{{#FFFFFF '''이종환'''}}}|| || '''전체''' || '''18,327[br](49.21%)''' || {{{#ffffff '''18,912[br](50.78%)'''}}} || '''-585[br](▼1.57)''' || ||거소투표||'''216'''||189||+27|| ||사전투표[br],,,(총계),,,||'''7,947'''||6,437||+1,510|| ||사전투표[br],,,(관내),,,||'''6,830'''||5,627||+1,203|| ||사전투표[br],,,(관외),,,||'''1,117'''||810||+307|| ||본투표||10,162||'''12,286'''||-2,124|| ||번1동||2,197||'''2,684'''||-487|| ||번2동||2,266||'''2,549'''||-283|| ||수유1동||2,537||'''3,474'''||-937|| ||수유2동||3,162||'''3,579'''||-417|| 민주당 강세지역인 강북구에서 이변이 일어났다. 비록 1.57%p 차이지만,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로 무려 15년만에 이 지역구를 보수정당에 헌납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김승식 후보가 500여표 앞질렀지만, 이후에 국민의힘 이종환 후보가 추격을 했고, 결과는 585표 차이로 승리를 거두었다. 다른 지역의 개표가 일방적인 국민의힘 우위로 흘러간 것과 달리, 원래 민주당 강세지역답게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득표율 차가 매우 적었고 역전이 일어나는 등 관전 요소가 많았다. 그말인즉슨 만약 이번 선거에 민심 이반요소가 없었다면 충분히 민주당이 승리를 가져갈 수 있었다는 뜻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사전투표에선 김승식 후보가 1,510표를 더 받았고, 거소 투표에서도 27표를 더 받았지만, 본투표에서 이종환 후보가 2,124표를 더 받았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이듬해 열린 지방선거]]에서도 이종환 시의원은 같은 선거구에서 다시 한 번 당선되었다. === [[경기도의회]] === ==== [[경기도]] [[구리시|구리시 제1선거구]] ==== ||<-4><:>[[구리시|{{{#ffffff,#000000 {{{+1 '''구리시 제1선거구'''}}}}}}]][br]{{{#ffffff,#000000 갈매동, 동구동, 인창동, 교문1동}}}||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신동화|{{{#373a3c,#dddddd 신동화}}}]](申東和) ||<:>11,641||<:>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45.13%||<:>낙선|| ||<|2><:>{{{#FFFFFF {{{+5 '''2'''}}}}}}||<:>'''[[백현종(1965)|{{{#373a3c,#dddddd 백현종}}}]](白鉉宗)''' ||<:>'''14,150'''||<:>'''1위'''|| ||<:>[include(틀:국민의힘)]||<:>'''54.86%'''||<:>'''{{{#000 당선}}}'''|| ||<|3><:>'''계'''||<:>'''선거인 수'''|| 91,734 ||<|3><:>'''투표율'''[br]28.3%|| ||<:>'''투표 수'''|| 26,002 || ||<:>'''무효표 수'''|| 211 || 이 지역구는 구리시 내에서도 아파트 비중이 높은 민주당 강세 지역[* 전임자 [[서형열]]이 무려 '''67% 이상'''의 득표율을 따낸 곳이다.]이지만, 강한 여당 심판론이 불어닥쳐서 국민의힘 백현종 후보가 낙승을 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백현종 후보는 동구동에서 1,193표, 인창동에서 731표, 교문1동에서 898표를 앞선 반면, 민주당 신동화 후보는 갈매동에서 221표[* 그나마 여기도 관외사전투표에서 431표를 앞서서 전체적으로 이긴거지, 본투표만 보면 여기도 백현종 후보에게 졌다.], 거소투표에서 25표, 관외사전투표에서 57표 앞서는 데 그쳤다. 한편 여기엔 [[구리시(선거구)|구리시]]의 국회의원이자 명색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위원장이라는 [[윤호중]]이 박영선 후보에 대한 지원유세를 하던 도중 상대 후보인 오세훈을 향해서 '''분리수거 해야 할 쓰레기'''라고 말하는 막말을 한 것[[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327/106112046/2#|#]] 역시 적지 않게 표심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이 외에 백현종 후보는 구리에서 오랫동안 활동했을 뿐만 아니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후보로 2016 구리시장 재보궐 선거에 나서 21%의 득표율을 올리며 인지도도 어느 정도 있었으며, 거기에 [[안철수]]의 지원유세도 더해지면서 여유 있게 당선증을 거머쥐었다. 이듬해 열린 지방선거에서도 백현종 도의원은 같은 선거구에서 다시 한 번 당선되었다. === [[충청북도의회]] === ==== [[충청북도]] [[보은군|보은군 선거구]] ==== ||<-4><:>[[보은군|{{{#ffffff,#000000 {{{+1 '''보은군 선거구'''}}}}}}]][br]{{{#ffffff,#000000 보은군 일원}}}||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김기준}}}(金基俊) ||<:>3,007||<:>3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2.30%||<:>낙선|| ||<|2><:>{{{#FFFFFF {{{+5 '''2'''}}}}}}||<:>'''[[원갑희|{{{#373a3c,#dddddd 원갑희}}}]](元甲喜)''' ||<:>'''5,549'''||<:>'''1위'''|| ||<:>[include(틀:국민의힘)]||<:>'''41.16%'''||<:>'''{{{#000 당선}}}'''|| ||<|2><:>{{{#FFFFFF {{{+5 '''6'''}}}}}}||<:>[[박경숙(1961)|{{{#373a3c,#dddddd 박경숙}}}]](朴瓊淑) ||<:>4,923||<:>2위|| ||<:>[include(틀:무소속)]||<:>36.52%||<:>낙선|| ||<|3><:>'''계'''||<:>'''선거인 수'''|| 29,212 ||<|3><:>'''투표율'''[br]46.5%|| ||<:>'''투표 수'''|| 13,591 || ||<:>'''무효표 수'''|| 112 || ||<-5><:>{{{#FFFFFF '''충청북도의회 보은군 선거구 보궐선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width=100%]]]]||<:>[[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width=80%]]]]||<:>[[무소속|[include(틀:무소속)]]]||<|2><:>'''격차'''|| ||<:>'''후보'''||<:>{{{#FFFFFF '''김기준'''}}}||<:>{{{#FFFFFF '''원갑희'''}}}||<:>{{{#FFFFFF '''박경숙'''}}}|| || '''전체''' || '''3,007[br](22.30%)''' || {{{#ffffff '''5,549[br](41.16%)''' }}} || '''4,923[br](36.52%)''' || '''+ 626[br](△4.64)''' || || '''보은읍''' ||<:> 26.93% ||<:> 36.03% ||<:>{{{#808080 37.05%}}} ||<:> {{{#808080 ▼1.02}}} || || '''속리산면''' ||<:> 22.92% ||<:>{{{#e61e2b 42.76%}}} ||<:> 34.32% || △8.44 || || '''장안면''' ||<:> 17.41% ||<:> {{{#e61e2b 52.40%}}} ||<:> 30.18% ||<:> △22.22 || || '''마로면''' ||<:> 11.43% ||<:> {{{#e61e2b '''69.88%'''}}} ||<:> 18.69% ||<:> '''△51.19''' || || '''탄부면''' ||<:> 12.37% ||<:> {{{#e61e2b 60.79%}}} ||<:> 26.84% ||<:> △33.95 || || '''삼승면''' ||<:> 25.66% ||<:> 28.07% ||<:> {{{#808080 46.27%}}} ||<:> {{{#808080 '''▼18.20'''}}}|| || '''수한면''' ||<:> 23.00% ||<:> 34.87% ||<:> {{{#808080 42.13%}}} ||<:> {{{#808080 ▼7.26}}} || || '''회남면''' ||<:> 19.39% ||<:> 38.78% ||<:> {{{#808080 41.83%}}} ||<:> {{{#808080 ▼3.05}}} || || '''회인면''' ||<:> 18.66% ||<:> 38.15% ||<:> {{{#808080 43.19%}}} ||<:> {{{#808080 ▼5.04}}} || || '''내북면''' ||<:> 20.68% ||<:> 32.01% ||<:> {{{#808080 '''47.31%'''}}} ||<:> {{{#808080 ▼15.30}}} || || '''산외면''' ||<:> 19.97% ||<:> 38.86% ||<:> {{{#808080 41.17%}}} ||<:> {{{#808080 ▼2.31}}} || || '''거소투표''' ||<:> 25.38% ||<:> {{{#e61e2b 37.56%}}} ||<:> 37.06% ||<:> △0.50 || || '''관외사전투표''' ||<:> '''27.03%''' ||<:> {{{#e61e2b 40.54%}}} ||<:> 32.43% ||<:> △8.11 || 박재완 전 의원의 불명예 낙마에 대한 심판론이 작용했는지 무소속 박경숙 후보가 지난 선거보다 더 많은 득표율을 얻었지만, 최종적으로 국민의힘 원갑희 후보가 지역구를 지켜냈다. 한편, 원갑희 도의원은 이듬해 열린 지방선거에서는 불참했다. === [[전라남도의회]] === ==== [[전라남도]] [[순천시|순천시 제1선거구]] ==== ||<-4><:>[[순천시|{{{#ffffff,#000000 {{{+1 '''순천시 제1선거구'''}}}}}}]][br]{{{#ffffff,#000000 송광면, 외서면, 낙안면, 별량면, 상사면, 풍덕동, 남제동, 저전동, 장천동, 도사동}}}||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한춘옥|{{{#373a3c,#dddddd 한춘옥}}}]](韓春玉)''' ||<:>'''8,055'''||<:>'''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64.79%'''||<:>'''{{{#000 당선}}}'''|| ||<|2><:>{{{#FFFFFF {{{+5 '''6'''}}}}}}||<:>{{{#373a3c,#dddddd 주윤식}}}(朱允植) ||<:>4,377||<:>2위|| ||<:>[include(틀:무소속)]||<:>35.20%||<:>낙선|| ||<|3><:>'''계'''||<:>'''선거인 수'''|| 47,888 ||<|3><:>'''투표율'''[br]26.3%|| ||<:>'''투표 수'''|| 12,597 || ||<:>'''무효표 수'''|| 165 || 민주당 공천을 받은 한춘옥 후보가 전남도당의 부적격 결정에 불복해 탈당한 주윤식 후보를 여유있게 꺾고 당선되었다. 한편 한춘옥 도의원은 이듬해 열린 지방선거에서 [[무투표 당선]]으로 다시 한 번 도의원을 맡게 되었다. ==== [[전라남도]] [[고흥군|고흥군 제2선거구]] ==== ||<-4><:>[[고흥군|{{{#ffffff,#000000 {{{+1 '''고흥군 제2선거구'''}}}}}}]][br]{{{#ffffff,#000000 도양읍, 풍양면, 도덕면, 금산면, 도화면, 포두면, 봉래면, 동일면}}}||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박선준(정치인)|{{{#373a3c,#dddddd 박선준}}}]](朴宣俊)''' ||<:>'''9,045'''||<:>'''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53.34%'''||<:>'''{{{#000 당선}}}'''|| ||<|2><:>{{{#FFFFFF {{{+5 '''6'''}}}}}}||<:>{{{#373a3c,#dddddd 정순열}}}(鄭順烈) ||<:>7,912||<:>2위|| ||<:>[include(틀:무소속)]||<:>46.65%||<:>낙선|| ||<|3><:>'''계'''||<:>'''선거인 수'''|| 30,771 ||<|3><:>'''투표율'''[br]55.7%|| ||<:>'''투표 수'''|| 17,141 || ||<:>'''무효표 수'''|| 184 || [[민생당]]은 비대위에서 [[http://minsaengdang.kr/kr/news/notice.php?bgu=view&idx=21871|황성신 후보를 공천했으나]], 최종후보등록을 하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 박선준 후보가 약 7%P차의 신승을 거두며 도의회 입성에 성공했다. 한편 이 선거에 당선된 박선준은 프로레슬러 [[김일(프로레슬러)|김일]]의 외손자로 밝혀져서 화제를 받기도 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5274991|#]] 참고로 김일의 고향인 금산면이 이 지역구에 속해있다. 한편 박선준 도의원은 이듬해 열린 지방선거에서 [[무투표 당선]]으로 다시 한 번 도의원을 맡게 되었다. === [[경상남도의회]] === ====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제1선거구]] ==== ||<-4><:>[[고성군(경상남도)|{{{#ffffff,#000000 {{{+1 '''고성군 제1선거구'''}}}}}}]][br]{{{#ffffff,#000000 고성읍, 대가면}}}||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류정열}}}(柳正烈) ||<:>2,600||<:>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3.82%||<:>낙선|| ||<|2><:>{{{#FFFFFF {{{+5 '''2'''}}}}}}||<:>'''[[백수명|{{{#373a3c,#dddddd 백수명}}}]](白洙明)''' ||<:>'''6,175'''||<:>'''1위'''|| ||<:>[include(틀:국민의힘)]||<:>'''56.57%'''||<:>'''{{{#000 당선}}}'''|| ||<|2><:>{{{#FFFFFF {{{+5 '''6'''}}}}}}||<:>{{{#373a3c,#dddddd 이우영}}}(李愚榮)||<:>2,140||<:>3위|| ||<:>[include(틀:무소속)]||<:>19.60%||<:>낙선|| ||<|3><:>'''계'''||<:>'''선거인 수'''|| 21,932 ||<|3><:>'''투표율'''[br]50.2%|| ||<:>'''투표 수'''|| 11,006 || ||<:>'''무효표 수'''|| 91 || 국민의힘 백수명 후보가 민주당 류정열 후보를 더블 스코어로 여유 있게 꺾으며 지역구 탈환에 성공했다. 한편 백수명 도의원은 이듬해 열린 지방선거에서 [[무투표 당선]]으로 다시 한 번 도의원을 맡게 되었다. ==== [[경상남도]] [[의령군|의령군 선거구]] ==== ||<-4><:>[[의령군|{{{#ffffff,#000000 {{{+1 '''의령군 선거구'''}}}}}}]][br]{{{#ffffff,#000000 의령군 일원}}}||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정권용}}}(鄭權用) ||<:>6,218||<:>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38.23%||<:>낙선|| ||<|2><:>{{{#FFFFFF {{{+5 '''2'''}}}}}}||<:>'''[[손태영(정치인)|{{{#373a3c,#dddddd 손태영}}}]](孫泰英)''' ||<:>'''10,043'''||<:>'''1위'''|| ||<:>[include(틀:국민의힘)]||<:>'''61.76%'''||<:>'''{{{#000 당선}}}'''|| ||<|3><:>'''계'''||<:>'''선거인 수'''|| 24,452 ||<|3><:>'''투표율'''[br]69.50%|| ||<:>'''투표 수'''|| 16,996 || ||<:>'''무효표 수'''|| 735 || 민주당 정권용 후보가 38%라는 득표율로 선전했지만[* 같이 치러진 의령군수 선거의 민주당 후보보다 약 10%나 더 높은 득표율을 얻었다.] 국민의힘 손태영 후보가 넉넉하게 승리했다. 한편, 손태영 도의원은 이듬해 열린 지방선거에서는 불참했다. ==== [[경상남도]] [[함양군|함양군 선거구]] ==== ||<-4> [[함양군|{{{#ffffff,#000000 {{{+1 '''함양군 선거구'''}}}}}}]][br]{{{#ffffff,#000000 함양군 일원}}} ||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정재각}}}(鄭在珏) ||<:>2,176||<:> 3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12.81%||<:> 낙선 || ||<|2><:>{{{#FFFFFF {{{+5 '''2'''}}}}}}||<:>{{{#373a3c,#dddddd 박희규}}}(朴熙圭) ||<:>6,548||<:> 2위 || ||<:>[include(틀:국민의힘)]||<:>38.56%||<:> 낙선 || ||<|2><:>{{{#FFFFFF {{{+5 '''6'''}}}}}}||<:>'''[[김재웅(정치인)|{{{#373a3c,#dddddd 김재웅}}}]](金在雄)''' ||<:>'''8,253'''||<:>'''1위'''|| ||<:>[include(틀:무소속)]||<:>'''48.61%'''||<:>'''{{{#000 당선}}}'''|| ||<|3><:>'''계'''||<:>'''선거인 수'''|| 34,922 ||<|3><:>'''투표율'''[br]49.1%|| ||<:>'''투표 수'''|| 17,158 || ||<:>'''무효표 수'''|| 181 || 예상외로 함양군의회 의장을 지낸 무소속 김재웅 후보가 국민의힘 박희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로서 의령군의회 다 선거구와 함께 유이하게 국민의힘이 패한 곳이 되었다. 한편 김재웅 도의원은 이후 [[국민의힘]]으로 들어갔으며, 이듬해 열린 지방선거에서는 [[무투표 당선]]으로 다시 한 번 도의원을 맡게 되었다. == 기초의원 == === [[서울특별시]] === ==== [[영등포구|영등포구 바선거구]] ==== ||<-4><:>[[영등포구|{{{#ffffff,#000000 {{{+1 '''영등포구 바선거구'''}}}}}}]][br]{{{#ffffff,#000000 신길4동^^제4투표소 제외[* 17통, 18통, 20통 1~2반 제외]^^, 신길5동, 신길7동}}}||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양송이}}}(梁松伊) ||<:>8,727||<:>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40.87%||<:>낙선|| ||<|2><:>{{{#FFFFFF {{{+5 '''2'''}}}}}}||<:>'''{{{#373a3c,#dddddd 차인영}}}(車仁永)''' ||<:>'''12,926'''||<:>'''1위'''|| ||<:>[include(틀:국민의힘)]||<:>'''59.13%'''||<:>'''{{{#000 당선}}}'''|| ||<|3><:>'''계'''||<:>'''선거인 수'''|| 36,390 ||<|3><:>'''투표율'''[br]60.69%|| ||<:>'''투표 수'''|| 22,084 || ||<:>'''무효표 수'''|| 731 || 관할구역이 좀 이상하게 보일 수 있는데, 2020년 9월에 신길4동과 신길6동에 걸쳐 있던 [[힐스테이트 클래시안]]의 행정구역을 신길4동으로 통일하는 [[http://www.ydptimes.com/news/news.php?pg=&bid=&mn=&kd=&col=&sw=&m=view&num=16073|조례가 통과되었으나]], 보궐선거는 이를 무시하고 2018년 [[7회 지선]] 당시의 행정구역에 맞춰 치러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지선 당시에는 신길6동이었으나 해당 조례로 신길4동이 된 위치에 지어진 힐스테이트 클래시안 101~102, 108~112동은 구의원 보궐선거 선거구에 포함되지 않는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차인영 후보가 18.3% 차이로 압승을 거뒀으며, 특히 신길7동에서는 67%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민주당 양송이 후보를 압살하였다. 이 두 후보는 다음 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나란히 무투표 당선되었다. ==== [[송파구|송파구 라선거구]] ==== ||<-4><:>[[송파구|{{{#ffffff,#000000 {{{+1 '''송파구 라선거구'''}}}}}}]][br]{{{#ffffff,#000000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7동}}}||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배신정}}}(裵晨井) ||<:>11,115||<:>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30.01%||<:>낙선|| ||<|2><:>{{{#FFFFFF {{{+5 '''2'''}}}}}}||<:>'''[[김순애(1948)|{{{#373a3c,#dddddd 김순애}}}]](金順愛)''' ||<:>'''23,312'''||<:>'''1위'''|| ||<:>[include(틀:국민의힘)]||<:>'''62.96%'''||<:>'''{{{#000 당선}}}'''|| ||<|2><:>{{{#FFFFFF {{{+5 '''6'''}}}}}}||<:>[[최지선(정치인)|{{{#373a3c,#dddddd 최지선}}}]](崔志先) ||<:>2,599||<:>3위|| ||<:>[include(틀:미래당)]||<:>7.01%||<:>낙선|| ||<|3><:>'''계'''||<:>'''선거인 수'''|| 60,895 ||<|3><:>'''투표율'''[br]62.1%|| ||<:>'''투표 수'''|| 37,832 || ||<:>'''무효표 수'''|| 806 || 우선 지난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배현진]] 의원이 크게 앞섰던 지역이기에 국민의힘 김순애 후보가 더블스코어로 압승했으며 민주당 배신정 후보는 30%를 겨우 넘기는 등 서울시 전반의 흐름을 따라갔다. 미래당 최지선 후보는 비록 군소정당 후보임에도 불구하고 무려 7%나 되는 높은 득표율을 보여줬다. === [[울산광역시]] === ==== [[울주군|울주군 나선거구]] ==== ||<-4><:>[[울주군|{{{#ffffff,#000000 {{{+1 '''울주군 나선거구'''}}}}}}]][br]{{{#ffffff,#000000 범서읍, 청량읍}}}||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김기락}}}(金基洛) ||<:>9,043||<:>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38.61%||<:>낙선|| ||<|2><:>{{{#FFFFFF {{{+5 '''2'''}}}}}}||<:>'''{{{#373a3c,#dddddd 박기홍}}}(朴基弘)''' ||<:>'''14,376'''||<:>'''1위'''|| ||<:>[include(틀:국민의힘)]||<:>'''61.38%'''||<:>'''{{{#000 당선}}}'''|| ||<|3><:>'''계'''||<:>'''선거인 수'''|| 72,521 ||<|3><:>'''투표율'''[br]32.6%|| ||<:>'''투표 수'''|| 23,660 || ||<:>'''무효표 수'''|| 241 || 지난 해 총선에서 민주당 김영문 후보가 울주군에서 유일하게 이겼던 범서읍을 끼고 있는 선거구였지만, 국민의힘 박기홍 후보가 20%가 넘는 차이로 여유있게 승리하였다. === [[경기도]] === ==== [[파주시|파주시 가선거구]] ==== ||<-4><:>[[파주시|{{{#ffffff,#000000 {{{+1 '''파주시 가선거구'''}}}}}}]][br]{{{#ffffff,#000000 탄현면, 교하동, 운정3동}}}||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손성익}}}(孫星益) ||<:>9,268||<:>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41.17%||<:>낙선|| ||<|2><:>{{{#FFFFFF {{{+5 '''2'''}}}}}}||<:>'''{{{#373a3c,#dddddd 박수연}}}(朴秀娟)''' ||<:>'''11,039'''||<:>'''1위'''|| ||<:>[include(틀:국민의힘)]||<:>'''49.04%'''||<:>'''{{{#000 당선}}}'''|| ||<|2><:>{{{#FFFFFF {{{+5 '''6'''}}}}}}||<:>{{{#373a3a,#dddddd 김영중}}}(金榮中) ||<:>2,200||<:>3위|| ||<:>[include(틀:진보당(2020년))]||<:>9.77%||<:>낙선|| ||<|3><:>'''계'''||<:>'''선거인 수'''|| 112,024 ||<|3><:>'''투표율'''[br]20.2%|| ||<:>'''투표 수'''|| 22,649 || ||<:>'''무효표 수'''|| 142 || 진보 강세 지역인 [[운정신도시]]가 포함된 지역구지만, 낮은 투표율에 민주당과 진보당 간 표 분산까지 겹치면서 국민의힘 후보가 가져갔다.[* 비록 투표율이 매우 낮았지만 운정신도시가 포함된 운정3동에서도 국민의힘 후보가 민주당 후보에 800여표 차이로 승리했다. 다만 진보당 후보가 운정3동에서 1200여표를 획득했기에 표가 갈린 덕을 보았다.] 재보궐선거에 있어서 지자체 시의원 선거는 광역의회 도의원 선거보다 관심도가 더 떨어지는게 보통이다. 이 선거에 참여한 유권자는 나름 정치 고관여층이라고 볼 수 있다. 기존 경기도 신도시의 압도적 여당 표심[* 기존 선거에서의 60%~66%대 득표율]과 놓고 보면 여당에게 좋지 않은 신호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이듬해 열린 지방선거에서는 손성익 후보가 새롭게 신설된 다 선거구로 옮겨가 무투표 당선의 기쁨과 함께 시의회로 입성한 반면, 박수연 시의원은 기존 나 선거구에서 재선에 도전했으나 12.45% 득표에 그치며 시의회를 떠나야만 했다. === [[충청남도]] === ==== [[예산군|예산군 라선거구]] ==== ||<-4><:>[[예산군|{{{#ffffff,#000000 {{{+1 '''예산군 라선거구'''}}}}}}]][br]{{{#ffffff,#000000 덕산면, 봉산면, 고덕면, 신암면}}}||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이흥엽}}}(李興燁) ||<:>2,345||<:>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32.06%||<:>낙선|| ||<|2><:>{{{#FFFFFF {{{+5 '''2'''}}}}}}||<:>'''{{{#373a3c,#dddddd 홍원표}}}(洪沅杓)''' ||<:>'''3,209'''||<:>'''1위'''|| ||<:>[include(틀:국민의힘)]||<:>'''41.41%'''||<:>'''{{{#000 당선}}}'''|| ||<|2><:>{{{#FFFFFF {{{+5 '''6'''}}}}}}||<:>{{{#373a3c,#dddddd 신현모}}}(申鉉模) ||<:>1,422||<:>3위|| ||<:>[include(틀:무소속)]||<:>19.44%||<:>낙선|| ||<|2><:>{{{#FFFFFF {{{+5 '''7'''}}}}}}||<:>{{{#373a3c,#dddddd 이경일}}}(李慶一) ||<:>307||<:>4위|| ||<:>[include(틀:무소속)]||<:>4.19%||<:>낙선|| ||<|2><:>{{{#FFFFFF {{{+5 '''8'''}}}}}}||<:>{{{#373a3c,#dddddd 인희열}}}(印熺烈) ||<:>211||<:>5위|| ||<:>[include(틀:무소속)]||<:>2.88%||<:>낙선|| ||<|3><:>'''계'''||<:>'''선거인 수'''|| 15,921 ||<|3><:>'''투표율'''[br]46.3%|| ||<:>'''투표 수'''|| 7,368 || ||<:>'''무효표 수'''|| 54 || 무소속 후보의 난립 덕에 민주당 이흥엽 후보가 한 자릿수 격차까지 따라붙긴 했지만, 워낙 보수세가 강한 지역인 만큼 국민의힘 홍원표 후보의 당선을 저지하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 [[전라북도]] === ==== [[김제시|김제시 나선거구]] ==== ||<-4><:>[[김제시|{{{#ffffff,#000000 {{{+1 '''김제시 나선거구'''}}}}}}]][br]{{{#ffffff,#000000 용지면, 백구면, 금구면, 검산동}}}||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김승일}}}(金勝一)''' ||<:>'''3,101'''||<:>'''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46.73%'''|| '''{{{#000 당선}}}''' || ||<|2><:>{{{#FFFFFF {{{+5 '''6'''}}}}}}||<:>{{{#373a3c,#dddddd 김성배}}}(金成培) ||<:>2,086||<:>2위|| ||<:>[include(틀:무소속)]||<:>31.42%||<:>낙선|| ||<|2><:>{{{#FFFFFF {{{+5 '''7'''}}}}}}||<:>{{{#373a3c,#dddddd 문병선}}}(文炳善) ||<:>957||<:>3위|| ||<:>[include(틀:무소속)]||<:>14.41%||<:>낙선|| ||<|2><:>{{{#FFFFFF {{{+5 '''8'''}}}}}}||<:>{{{#373a3c,#dddddd 최훈}}}(崔勳) ||<:>493||<:>4위|| ||<:>[include(틀:무소속)]||<:>7.42%||<:>낙선|| ||<|3><:>'''계'''||<:>'''선거인 수'''|| 20,825 ||<|3><:>'''투표율'''[br]32.1%|| ||<:>'''투표 수'''|| 6,639 || ||<:>'''무효표 수'''|| 54 || 위의 예산군의원 선거와 마찬가지로 무소속 후보가 3명이나 나왔지만, 민주당 김승일 후보가 2위와 15퍼센트 차이를 내며 여유 있게 승리하였다. === [[전라남도]] === ==== [[보성군|보성군 다선거구]] ==== ||<-4><:>[[보성군|{{{#ffffff,#000000 {{{+1 '''보성군 다선거구'''}}}}}}]][br]{{{#ffffff,#000000 겸백면, 율어면, 복내면, 문덕면, 조성면}}}||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조영남}}}(曺英南)''' ||<:>'''2,209'''||<:>'''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45.12%'''||<:>'''{{{#000 당선}}}'''|| ||<|2><:>{{{#FFFFFF {{{+5 '''6'''}}}}}}||<:>{{{#373a3c,#dddddd 김미열}}}(金未烈) ||<:>482||<:>3위|| ||<:>[include(틀:무소속)]||<:>9.84%||<:>낙선|| ||<|2><:>{{{#FFFFFF {{{+5 '''7'''}}}}}}||<:>{{{#373a3c,#dddddd 윤정재}}}(尹正在) ||<:>2,204||<:>2위|| ||<:>[include(틀:무소속)]||<:>45.02%||<:>낙선|| ||<|3><:>'''계'''||<:>'''선거인 수'''|| 8,076 ||<|3><:>'''투표율'''[br]61.4%|| ||<:>'''투표 수'''|| 4,895 || ||<:>'''무효표 수'''|| 67 || 사전투표율이 무려 '''35.07%'''나 나와 전국 1위를 기록했다. 농촌 지역은 고령 인구가 많은 탓에 원래 도시 지역보다 투표율이 높긴 하지만, 군수 선거도 아니고 군의원 하나 뽑는 선거인데 이 정도로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한 건 이례적이다. 선거 열기가 높았던 이유를 보여주듯이, 개표 내내 치열한 접전 끝에 민주당 조영남 후보가 불과 '''5표''' 차로 신승을 거뒀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407145400054|#]] 사실 이번 선거에서는 소지역주의도 작용했는데 조영남 후보가 저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조성면 출신이었고, 무소속으로 나온 윤정재 후보는 복내면 출신이었다. === [[경상남도]] === ==== [[의령군|의령군 다선거구]] ==== ||<-4> [[의령군|{{{#ffffff,#000000 {{{+1 '''의령군 다선거구'''}}}}}}]][br]{{{#ffffff,#000000 정곡면, 지정면, 궁류면, 유곡면}}} ||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2'''}}}}}}||<:>{{{#373a3c,#dddddd 차성길}}}(車成吉) ||<:>1,812||<:>2위|| ||<:>[include(틀:국민의힘)]||<:>49.81%||<:>낙선|| ||<|2><:>{{{#FFFFFF {{{+5 '''6'''}}}}}}||<:>'''{{{#373a3c,#dddddd 윤병열}}}(尹炳烈)''' ||<:>'''1,826'''||<:>'''1위'''|| ||<:>[include(틀:무소속)]||<:>'''50.19%'''||<:>'''{{{#000 당선}}}'''|| ||<|3><:>'''계'''||<:>'''선거인 수'''|| 5,384 ||<|3><:>'''투표율'''[br]70.0%|| ||<:>'''투표 수'''|| 3,771 || ||<:>'''무효표 수'''|| 133 || 이번 재보선 지역구 중 [[더불어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유일한 지역구이며 투표율이 가장 높았던 지역구다. 개표결과 초중반까지 차성길 후보가 앞서나갔으나 무소속 윤병열 후보가 막판에 국민의힘 차성길 후보를 '''14표차'''로 꺾고 당선되었다. 이로서 사실상 국민의힘이 유이하게 '''패한 곳'''이 되었다. ==== [[함안군|함안군 다선거구]] ==== ||<-4><:>[[함안군|{{{#ffffff,#000000 {{{+1 '''함안군 다선거구'''}}}}}}]][br]{{{#ffffff,#000000 칠원읍, 칠북면}}}||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373a3c,#dddddd 조호기}}}(趙浩基) ||<:>1,800||<:>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5.65%||<:>낙선|| ||<|2><:>{{{#FFFFFF {{{+5 '''2'''}}}}}}||<:>'''{{{#373a3c,#dddddd 황철용}}}(黃喆龍)''' ||<:>'''5,215'''||<:>'''1위'''|| ||<:>[include(틀:국민의힘)]||<:>'''74.34%'''||<:>'''{{{#000 당선}}}'''|| ||<|3><:>'''계'''||<:>'''선거인 수'''|| 17,209 ||<|3><:>'''투표율'''[br]41.1%|| ||<:>'''투표 수'''|| 7,068 || ||<:>'''무효표 수'''|| 53 || 국민의힘 황철용 후보가 50%에 가까운 트리플스코어 차이를 내며 여유 있게 승리하였다. [[분류:2021년 재보궐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