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1 오버워치 리그)] [include(틀:2021 오버워치 리그/포스트시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padding:4px;border-radius:5px;background:#fff" [[파일:OWL_GrandFinals_2021_IBM_StackedLogo_Vert.png|width=80%&align=center]]}}} [목차][clearfix] == 개요 == ||<-2> [[파일:오버워치 리그 아이콘.svg|width=40]] '''{{{+1 [[2021 오버워치 리그| {{{#f99e1a 2021 오버워치 리그}}}]] {{{#fff 그랜드 파이널}}}}}}''' || || '''{{{#!wiki style="padding:4px" {{{+1 [[애틀랜타 레인|{{{#910f1b 애틀랜타 레인}}}]]}}}}}}''' || '''{{{+1 [[상하이 드래곤즈|{{{#fce300 상하이 드래곤즈}}}]]}}}''' || ||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120]] ||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2.svg|height=120]] || [[2021 오버워치 리그]]의 포스트시즌에서 살아남은 2팀이 대결하는 최종 결승전. 원래는 약 10,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게일런 센터에서 유관중으로 경기가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현지의 상황이 좋지 않기에 기존 토너먼트 방식대로 동부는 온라인+서부는 하와이에서 경기를 하게 된다. == 경기 전 정보 == === [[애틀랜타 레인|[[파일: 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20]] {{{#910f1b 애틀랜타 레인}}}]] === 플레이오프 시작을 청두에게 패배하면서 좋지 못한 출발을 했지만, 이후 워싱턴, LAG, 샌프란시스코, 댈러스까지 도장깨기로 차례차례 깨부수며 그랜드 파이널 진출에 성공했다. 워싱턴전이 끝난 이후 [[블레이크 스캇|Gator]]가 "러쉬 조합으로 우리 팀과 미러전을 하려고 하지 마라"고 이야기할 정도로 러쉬 조합에서는 자신감을 보였으며, 그 파괴력이 팀을 그랜드 파이널까지 올려놓은 셈. 이제 '''리그 창단 첫 우승'''을 눈 앞에 두고 애틀랜타의 러쉬 조합이 리그 최강 상하이도 뚫어낼 수 있을지 그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 [[상하이 드래곤즈|[[파일: 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height=20]] {{{#d22730 상하이 드래곤즈}}}]] === 정규 시즌에 보여줬던 모습 그대로 상하이는 플레이오프에서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딜탱힐 모든 포지션에서 흠 잡을 데 없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그랜드 파이널에서도 이 기세를 유지한다면 '''OWL 최초의 통합 우승'''은 더 이상 꿈이 아닐 것이다. === 상대 전적 데이터 === || '''{{{#910f1b 애틀랜타 레인}}}''' || '''{{{#fff 매치 전적 0 : 3 (2-9)}}}''' || '''{{{#fce300 상하이 드래곤즈}}}''' || || 2 || 2019 시즌 스테이지 3 || '''3''' || || 0 || 6월 토너먼트 || '''3''' || || 0 || 썸머 쇼다운 || '''3''' || === 이모저모 === 현재 시즌까지 유지되는 그랜드 파이널 징크스는 다음과 같다. 깨질 경우 취소선, 유지될 경우 밑줄 처리한다. * --'''1. 정규 시즌 우승 팀은 그랜드 파이널에서 우승하지 못한다.'''-- * 출범 시즌: 정규시즌 - 뉴욕 / 그랜드 파이널 - 런던 * 2019 시즌: 정규시즌 - 밴쿠버 / 그랜드 파이널 - 샌프란시스코 * 2020 시즌: 정규시즌 - 상하이 / 그랜드 파이널 - 샌프란시스코 * '''2021 시즌: 정규시즌 - 상하이 / 그랜드 파이널 - 상하이''' * __'''2. 그랜드 파이널 진출 팀은 정규 시즌 스테이지 PO(출범~2019) 준결승/결승에서 경기를 치룬 적이 있다. 토너먼트(2020~)에서 승점을 얻은 적이 있다.'''__ * 출범 시즌: 런던(스테이지 1, 2 PO) - 필라델피아(스테이지 2 PO) * 2019 시즌: 밴쿠버(스테이지 1, 2, 3 PO) - 샌프란시스코(스테이지 1, 2, 3 PO) * 2020 시즌: 상하이(5월 토너먼트, 서머 쇼다운, 카운트다운 컵) / 샌프란시스코(5월 토너먼트, 서머 쇼다운, 카운트다운 컵) / 필라델피아(5월 토너먼트, 서머 쇼다운, 카운트다운 컵) / 서울(5월 토너먼트, 서머 쇼다운) * 2021 시즌: 상하이(5월 토너먼트, 6월 토너먼트, 서머 쇼다운) / 애틀란타(6월 토너먼트, 카운트다운 컵) 각 팀이 우승했을 시 발생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910f1b 애틀랜타 레인이 우승했을 시}}}''' || || * 그랜드 파이널 로스터에 등록된 멤버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오세현(프로게이머)|PELICAN]]은 신인상과 더불어 리그 로열로더로 우승 타이틀을 달성하게 된다. * '''구단 역사상 최초로 우승을 달성하게 된다.''' * 세 시즌 연속으로 다국적 로스터를 가진 팀이 우승을 기록하게 된다. * OWL 정규시즌 우승팀이 그랜드 파이널 우승을 하지 못하는 징크스가 이어진다.|| || '''{{{#fce300 상하이 드래곤즈가 우승했을 시}}}''' || || * OWL 최초로 중국 연고지 팀의 우승을 기록하게 된다. * 그랜드 파이널 로스터에 등록된 멤버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이재원(2001)|LIP]], [[강준우(프로게이머)|Void]], [[이재곤(프로게이머)|LeeJaeGon]], [[김민철(2000)|IZaYaKI]]는 롤스타 상과 우승 타이틀을 달성하게 된다. * [[채락훈|Develop]]은 개인 리그 로열로더를 달성하게 된다. * [[이승준(프로게이머)|WhoRu]]는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최초로 오버워치 에이펙스, 오버워치 컨텐더스, 오버워치 리그를 모두 우승한 선수가 된다. * 그 해 신인상을 배출한 팀은 그랜드 파이널에서 우승하지 못한다. * OWL 최초로 정규시즌 우승, 지역, 그랜드 파이널을 우승한 팀, 즉 '''통합 우승을 달성한다.''' * 정규시즌 우승팀이 그랜드 파이널 우승을 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깨진다. || * 이번 시즌 두 팀의 맞대결은 6월 토너먼트와 썸머 쇼다운에 한 차례씩 있었으며, 두 경기 모두 상하이가 3:0으로 승리한 전적이 있다. == 경기 내용 == ||<-4> '''{{{#fff 2021 시즌 그랜드 파이널}}}''' || ||<-4> '''{{{#fff 9월 26일 일요일, 오전 10:00}}}''' || ||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50]] 애틀랜타 레인 || 0 || '''4''' ||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height=50]] 상하이 드래곤즈 || || 준우승 |||| '''{{{#fff 결과}}}''' || '''{{{#fce300 2021 시즌 우승}}}''' || === 스코어보드 === ||<-6> '''{{{#fff 2021 시즌 그랜드 파이널 (2021. 9. 26.)}}}''' || ||<|2>||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height=23]]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height=23]]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height=23]]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height=23]] ||<|2>||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br]하나무라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br]왕의 길 || [[파일:쿠바 국기.svg|height=15]][br]하바나 || ||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20]] || {{{+1 0}}} || {{{+1 2}}} || {{{+1 5}}} || {{{+1 2}}} || {{{+1 0}}} || ||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height=20]] || '''{{{+1 2}}}''' || '''{{{+1 3}}}''' || '''{{{+1 6}}}''' || '''{{{+1 3}}}''' || '''{{{+1 4}}}''' || ||<-6> 한국 중계: [[https://youtu.be/b9LypZWvHd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ar3oTETtAd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 || '''{{{#fff {{{+1 [[파일:owlgrandfinal.png|height=25]] MVP}}}}}}''' || '''{{{+1 [[상하이 드래곤즈|[[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2.svg|height=25]]]] [[이재원(2001)|{{{#fce300 LIP}}}]]}}}''' || == [[2021 오버워치 리그/포스트시즌 결산|결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 오버워치 리그/포스트시즌 결산)] == 둘러보기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역대 그랜드 파이널)] == 관련 문서 == *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 [[분류:오버워치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