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양시의 시내버스]] [include(틀:광양시 시내버스)] [목차] == 개요 == [[전라남도]] [[광양시]]가 2020년에 시행하는 시내버스 개편 내용을 담은 문서이다. == 2020년 1월 1일 개편 == [[http://www.gwangyang.go.kr/board/view.gwangyang?dataSid=333867&boardId=BBS_0000007&menuCd=DOM_000000103005000000|광양시 보도자료]] === 개편 목적 === * 2020년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운행시간 단축의 필요. * [[광양 버스 990, 991|99, 99-1번]]의 [[마동(광양)|마동]] 지역 경유로 인한 [[중마동]]↔순천간의 과도한 소요시간 관련 민원 해소. * 중복노선 및 비수익노선의 폐지를 통한 사측의 경영개선. === 개편 과정 === * 2018년 9월 10일부터 시내버스 운행노선 경영진단 용역에 착수하였다. * 이후 11월 15일 중간보고회를 거쳐 12월 5일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http://www.gwangyang.go.kr/board/view.gwangyang?menuCd=DOM_000000103005000000&boardId=BBS_0000007&dataSid=312735|광양시, 시내버스 효율적 운행노선 정립에 나서]], 2018-12-21, 광양시청 ] * 위의 용역에 따라 2019년 4월부터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위한 용역에 착수하였다. * 2019년 8월 28일에 '2019 시내버스 노선개편 및 경영진단 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으며 개편안이 어느정도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http://www.gy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842|광양지역 시내버스 전체 노선... 대대적 변화 예고]], 2019-08-30, 광양뉴스][* [[http://www.gycitizen.com/news/articleView.html?idxno=24551|광양시내버스 노선 대대적인 변화 예고]], 2019-09-01, 광양시민신문] * 2019년 9월 26일에 시내버스 노선 용역 공청회를 실시하였다.[* [[http://www.gwangyang.go.kr/board/view.gwangyang?menuCd=DOM_000000103005000000&boardId=BBS_0000007&dataSid=330638|광양시, 시내버스 노선개편 용역 공청회 실시]], 2019-09-18, 광양시청] * 이후 2019년 10월 10일부터 25일까지 주민설명회를 실시하였다.[* [[http://www.kj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188|광양시, ‘시내버스 노선개편 용역 주민설명회’ 실시]], 2019-10-07, 광주전남일보] * 다시 중간보고회와 최종보고회를 거쳐 2019년 12월 13일 개편 정보가 공개되었다.[* [[https://www.yna.co.kr/view/RPR20191213006800353|광양시, 시내버스 노선 확 달라져]], 2019-12-13, 연합뉴스] === 개편 내역 === ==== 노선 신설 ==== || {{{#white 번호}}} || {{{#white 기점}}} || {{{#white 경유지}}} || {{{#white 종점}}} || || [[광양 버스 87|87]] || 광영부영A || 광영시장 · 광영고 · 중마고 · 백운고 · 중마주공 · 사랑병원 · 중마터미널 · 송죽아파트 · 몰오브광양 · 백운쇼핑 || 제철복지관 || || [[광양 버스 1000, 1001|1000[br]1001]] || 중마터미널 || 강남병원 · 주공2차A · 서울병원 · 중마고 · 광양의봄A · 중마주공 || 중마터미널 || ==== 노선 폐지 ==== || {{{#white 번호}}} || {{{#white 기점}}} || {{{#white 경유지}}} || {{{#white 종점}}} || || [[광양 버스 11-1|11-1]] || 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광양여고 ·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성황 · 시청 · 중마터미널 · 송죽아파트 · 몰오브광양 · 제철2문 · 용지 || 궁기 || || [[광양 버스 17|17]] || 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광양여고 ·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 진상 · 차사 · 진월 || 망덕 || || [[광양 버스 52, 53|52]] || [* 1회차 골약동 / 2회차 광양교통 / 3회차 중마터미널] || 용장 || [* 1회차 금광아파트 / 2회차 중마터미널 / 3회차 광양교통] || || [[광양 버스 52, 53|53]] || [* 1회차 골약동 / 2회차 광양교통 / 3회차 중마터미널] || 정산 · 재동 || [* 1회차 금광아파트 / 2회차 중마터미널 / 3회차 광양교통] || ||<|2> [[광양 버스 86|86]] || 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성황 · 시청 · 중마터미널 · 제철2문 || 궁기 || || 진상 || 옥곡 · 의암공단 · 광영시장 · 송죽아파트 · 몰오브광양 · 제철2문 · 용지 || 궁기 || ==== 노선 변경 ==== * [[광양 버스 3|3]]: 광양읍 구간 변경 * [[광양 버스 6|6]]: 기점 통합 - 매천역사공원 * [[광양 버스 7|7]]: 기점 통합 - 매천역사공원 * [[광양 버스 9|9]]: 송보7차아파트 미경유, 광양읍 방면 사곡 미경유, 중마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단축 * [[광양 버스 11-2|11-2]]: 광양읍 방면 군두리 경유 및 사곡 미경유 * [[광양 버스 12|12]]: 옥곡정류장 경유 * [[광양 버스 15|15]]: 와우마을 구간 경유 환원, 동동마을 경유 노선 폐지 * [[광양 버스 18|18]]: 전 시간대 지랑마을 경유 * [[광양 버스 20|20]]: 부현마을 경유 노선 폐지 * [[광양 버스 21-3|21-3]]: 백운산휴양림 경유 노선 폐지, 지랑마을 일부 미경유 * [[광양 버스 23|23]]: 염포마을 및 황방마을 미경유, 중마동 구간 변경 및 중마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단축 * [[광양 버스 30번대|30]]: 첫/막차 제외 옥곡 단축, 첫차 웅동마을 경유 * [[광양 버스 30번대|31]]: 첫차 제외 옥곡 단축 * [[광양 버스 30번대|32]]: 막차 제외 옥곡 단축 * [[광양 버스 30번대|33]]: 구황마을 미경유 * [[광양 버스 30번대|34]]: 구동마을 - 망덕포구 단축 * [[광양 버스 35, 35-1|35-1]]: 동동마을 경유 노선 폐지 * [[광양 버스 54|54]]: 중마동 구간 변경 및 광양읍 연장, 광영동 구간 변경, 사평마을 경유 노선 폐지 * [[광양 버스 88|88]]: 중마동 구간 변경 및 서울병원 경유 노선 폐지, 광영 방면 군두리 경유 * [[광양 버스 990, 991|990, 991]]: 중마동 구간 직선화, 990번 사곡 미경유 ==== 증·감편 ==== * [[광양 버스 2|2]]: 휴일 1회 감회(11회 → 10회) * [[광양 버스 9|9]]: 평일 본선 1회 감회(21회 → 20회) * [[광양 버스 11-2|11-2]]: [[광양 버스 11-1|11-1번]] 막차 역할 담당으로 1회 증회(5회 → 6회) * [[광양 버스 12|12]]: 평일 3회 증회(14회 → 17회) * [[광양 버스 18|18]]: 휴일 [[광양 버스 17|17번]] 막차 역할 담당으로 1회 증회(5회 → 6회) * [[광양 버스 21|21]]: 평일 [[광양 버스 21-3|21-3번]] 백운산휴양림 경유 역할 담당으로 1회 증회(4회 → 5회) * [[광양 버스 21-3|21-3]]: 휴일 2회 감회(14회 → 12회) * [[광양 버스 23|23]]: 평일 1회 감회(12회 → 11회) * [[광양 버스 30번대|32]]: 1회 감회(4회 → 3회) * [[광양 버스 30번대|33]]: 휴일에도 운행 * [[광양 버스 30번대|34]]: 1회 감회(3회 → 2회) 및 휴일에도 운행 * [[광양 버스 30번대|36]]: 휴일에도 운행 * [[광양 버스 88|88]]: [[광양 버스 87|87번]] 신규 개통으로 본선 운행횟수 평일 28회/휴일 17회 감회(40회/28회 → 12회/11회) * [[광양 버스 990, 991|990]]: 4회 증회(43회 → 47회) * [[광양 버스 990, 991|991]]: 5회 증회(42회 → 47회) ==== 노선 번호 변경 ==== * [[광양 버스 990, 991|99]]: 990번으로 변경 * [[광양 버스 990, 991|99-1]]: 991번으로 변경 === 반응 === 매번 개편 때마다 이어진 현상이지만, 이번에도 개편으로 인한 시민들의 민원이 상당하다. 특히 이번에는 광양시 간판 노선인 99번과 99-1번, 더불어 54번이 개편으로 노선 선형이 직선화 되고 마동 지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자 광양읍, 순천, 하동지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환승을 해야하는 불편함 때문에 마동 지역 주민들이 상당히 불편을 겪고 있으며, 11-1번 폐지 및 88번 대폭 감회로 인해 태인동 방면 노선의 운행횟수가 급격히 감소되어 시민들의 불편 사항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또한 광양시 측에서는 개편 전 용역과 주민공청회, 설명회 등을 실시, 버스 내 안내문 부착, 플랜카드 게시 등 홍보에 적극적이었고 효율적인 노선개편이라고 하나, 시민들은 이 부분에 대해 사전 준비가 미흡하였다고 하며 공감하지 못하고 있다. 이어 시민들은 개편 전 99번과 99-1번 노선의 부활 또는 마동발 순천행 노선 신설과 태인동 방면 노선의 출퇴근 시간대 배차시간 조정 및 운행횟수 증회 등의 내용으로 노선 재개편을 요구하고, 시청 및 광양교통에 지속적인 민원을 제기 중에 있으나, 돌아오는 대답은 주 52시간 근무제 확대 도입으로 인한 운전기사의 근무시간 단축으로 노선 재개편은 어렵다며, 개편 된 노선이 하루 빨리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주장뿐이다. == 2020년 3월 2일 개편 == [[http://www.gwangyang.go.kr/board/view.gwangyang?dataSid=338359&boardId=BBS_0000007&menuCd=DOM_000000103005000000|광양시 보도자료]] === 개편 목적 === * 2020년 1월 개편에 따른 불편사항 해소. * 중마동 → 광양읍 방향의 막차시간 연장. === 개편 내역 === ==== 노선 폐지 ==== || {{{#white 번호}}} || {{{#white 기점}}} || {{{#white 경유지}}} || {{{#white 종점}}} || || [[광양시 시내버스/폐선|34]] || 옥곡 || 진상 · 신기 · 추동 || 구동마을 || ==== 노선 변경 ==== * [[광양 버스 12|12]]: 장동마을 경유로 환원 * [[광양 버스 35, 35-1|35-1]]: 동동마을 경유 노선 환원 * [[광양 버스 54|54]]: 광양읍 방면 사곡 경유 * [[광양 버스 87|87]]: 첫차시간대 일부 차량 창덕아파트 경유 * [[광양 버스 1000, 1001|1000, 1001]]: 일부 시간대 길호상가 내부 경유 ==== 증·감편 ==== * [[광양 버스 11-2|11-2]]: 중마터미널 → 광양읍 막차시간대 3회 증회 * [[광양 버스 23|23]]: 평일 황곡마을 경유 시간대 1회 추가(6회 → 7회) * [[광양 버스 30번대|31]]: 1회 증회(6회 → 7회) * [[광양 버스 30번대|32]]: 1회 증회(3회 → 4회) * [[광양 버스 87|87]]: 6회 감회(31회 → 25회) * [[광양 버스 88|88]]: 5회 증회(12회 → 17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