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0 오버워치 리그)] [include(틀:2020 오버워치 리그/정규 시즌)] [목차] == 3주차 적용 사항 == || '''{{{#fff 적용 패치 버전}}}''' || || '''{{{#white 1.44}}}'''[br]{{{#white 패치 노트:}}} [[https://playoverwatch.com/ko-kr/news/patch-notes/pc#patch-65302|#1]] [[https://playoverwatch.com/ko-kr/news/patch-notes/pc#patch-655131|#2]] [[https://playoverwatch.com/ko-kr/news/patch-notes/pc#patch-66085|#3]]^^{{{#white (신규)}}}^^ || ||<-2> '''{{{#fff 오버워치 리그 한국 중계진}}}''' || ||<:>'''{{{#white 2월 23일}}}''' || '''{{{#white 2월 24일}}}''' ||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2.svg|height=25]] {{{#fff '''워싱턴'''}}}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2.svg|height=25]] {{{#fff '''워싱턴'''}}} || ||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br][[황규형]] || [[정인호]][br][[장지수(해설가)|장지수]] || 2020년 2월 13일에 패치된 1.44 추가 영웅 업데이트 패치가 3주차부터 넘어온다. 픽률이 높아진 레킹볼, 브리기테, 위도우메이커를 견제하고 시메트라를 버프하였다. 레킹볼의 파일드라이버로 공중에서 움직일 수 없는 시간이 1초에서 0.5초로 감소되었고, 브리기테의 수리팩의 최대 방어력이 75에서 50으로 감소, 전체 힐량은 동일하나 초당 치유량이 60에서 55로 감소하여 아군 회복을 느리게 만들었다. 위도우메이커의 최대 공격력으로 차징하는 시간을 0.75초에서 0.9초로 바꿔 시간을 20% 더 걸리게 만들었고, 시메트라의 보조 발사의 공격력이 120에서 140으로 증가해 우클릭의 효용성을 높였다. 이 패치로 리그 내 메타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리그에서 주로 쓰이는 탱커 픽은 라인하르트, 디바, 자리야와 오리사로 너프된 레킹볼은 주로 비빌 때 픽이 되었다. 브리기테의 경우 블리자드가 브리기테가 힐러 중에서 픽률이 높은데 승률이 다른 힐러보다 높기 때문에 조금 너프를 시킨 것으로, 실제로 승률은 조금 낮아져 다른 힐러와 비슷한 승률을 기록하나 여전히 그랜드마스터 구간에서는 픽률이 괜찮은 편이라 리그에서도 쓰일 것으로 보인다. 딜러 역시 여전히 맥크리, 메이, 위도우메이커, 한조를 선호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3월 중국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오버워치 리그 경기는 취소되었다. == 홈스탠드: [[워싱턴 저스티스]] == ||<-2>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2.svg|height=25]] {{{#fff '''워싱턴 저스티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 앤썸.jpg|width=100%]]}}} || ||<-2> {{{+1 {{{#fff '''디 앤썸'''}}} }}}[br]{{{#fff The Anthem}}} || === 2월 23일 === ||<-12> {{{#fff '''2월 23일 워싱턴 D.C. '''}}} || ||<-12> {{{#white '''오전 05:00'''}}} || ||<-5>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50]][br]뉴욕 엑셀시어 || 1 || '''3''' ||<-5>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50]][br]필라델피아 퓨전 || ||<-5> 패 ||<-2> '''{{{#fff 결과}}}''' ||<-5> {{{#f89c3f '''승''' }}} || ||<-12> {{{#white '''오전 07:00'''}}} || ||<-5>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50]][br]보스턴 업라이징 || '''3''' || 2 ||<-5>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50]][br]휴스턴 아웃로즈 || ||<-5> {{{#efe400 '''승''' }}} ||<-2> '''{{{#fff 결과}}}''' ||<-5> 패 || ||<-12> {{{#white '''오전 09:00'''}}} || ||<-5> [[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50]][br]파리 이터널 || '''3''' || 1 ||<-5>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50]][br]워싱턴 저스티스 || ||<-5> {{{#ffaa1c '''승''' }}} ||<-2> '''{{{#fff 결과}}}''' ||<-5> 패 || ==== 1경기 NYE 1 : 3 PHI ==== ||<-7>
'''{{{#fff 워싱턴 3주 1일차 1경기 (2020. 02. 23.)}}}'''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30]] ||<|2>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br]부산 || [[파일:호라이즌 달 기지 깃발.png|height=15]][br]호라이즌 달 기지 || [[파일:쿠바 국기.svg|height=15]][br]하바나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br]아이헨발데 ||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5]] || {{{+1 1}}} || {{{+1 0}}} || {{{+1 {{{#fe2832 '''3'''}}}}}} || {{{+1 3}}} || {{{+1 {{{#fff 1}}}}}} ||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f89c3f {{{+1 '''2''' }}}}}} || {{{#f89c3f {{{+1 '''2''' }}}}}} || {{{+1 2}}} || {{{#f89c3f {{{+1 '''4''' }}}}}} || {{{+1 {{{#fff '''3'''}}}}}} || ||<-6>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1bQdixiHk4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KOUZJXhHLgQ|[[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1 [[이재혁(1998)|Carpe]]}}} || 1세트 시작부터 카르페를 중심으로 퓨전이 뉴욕을 압도하였다. 핫바가 변수 창출을 노리는 여러가지 플레이를 보여주었으나 세트 승리까지는 이어지지 못했고, 이어지는 2세트에서도 5분 14초를 남기고 B거점까지 밀면서 뉴욕 입장에서는 2년전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플레이오프 준결승/시리즈 D|출범 시즌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의 트라우마가 다시 떠오르게 되었다. 하바나에서 뉴욕이 꾸역꾸역 이기긴 했으나 아이헨발데를 퓨전이 가져가며 3대1로 경기가 끝났다. 전체적인 대국에서는 퓨전이 이길 때는 압도적으로 이기고 뉴욕이 이길 때는 간신히 따라잡는 양상이었다. 많은 기대를 받았던 것과는 다르게 경기 내용을 보면 플레이의 질적인 차이가 극심한 경기였다. 안정성과 캐리를 모두 갖춘 필라델피아와는 다르게 뉴욕은 경기 내내 허둥지둥했고 자기들의 템포로 게임을 진행하지 못했다. 특히 쪼낙이 한타가 시작하기도 전에 먼저 죽는 상황이 많이 나옴으로서 상당한 역캐리력을 보여줬다. 후아유의 메이도 굉장히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좋지 않은 경기력이었고, 새별비는 중요한 순간마다 게임을 터뜨리는 카르페를 견제하지 못했다. 카르페가 마음놓고 날뛸 수 있었던 것은 죽어야 할 때 죽지않는 포코의 존재가 컸다. 사실상 퓨전의 6명 모두가 자기 포지션의 뉴욕 선수를 압도해버렸다. 퓨전은 뉴욕까지 잡아내면서 3연승[* 2019 시즌 포함 4연승]을 이어나가게 되었고, 3주차 기준으로 정규시즌 1위 자리를 차지하였다. ==== 2경기 BOS 3 : 2 HOU ==== ||<-9>
'''{{{#fff 워싱턴 3주 1일차 2경기 (2020. 02. 23.)}}}'''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2> ||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br]블리자드 월드 || [[파일:이라크 국기.svg|height=15]][br]오아시스 || [[파일:네팔 국기.svg|height=15]][br]네팔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br]리장 타워 ||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 {{{#efe400 {{{+1 '''2''' }}}}}} || {{{+1 2}}} || {{{#efe400 {{{+1 '''3''' }}}}}} || {{{+1 3}}} || {{{+1 0}}} || {{{+1 1}}} || {{{#efe400 {{{+1 '''2''' }}}}}} || {{{+1 {{{#fff '''3'''}}}}}} ||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1 0}}} || {{{+1 2}}} || {{{+1 1}}} || {{{+1 3}}} || {{{#000 {{{+1 '''2''' }}}}}} || {{{#000 {{{+1 '''2''' }}}}}} || {{{+1 0}}} || {{{+1 {{{#fff 2}}}}}} || ||<-9>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CcX8Sz_-vf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eOI-517tvkc|[[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1 [[서상민|Myunb0ng]]}}} || >'''"7세트까지 가죠."''' >---- > 용봉탕이, 4세트, 3라운드가 시작할 때 OWL 정규시즌은 3선승인데, 무승부가 2번 발생한 데다가 연장 세트에서 점수를 주고받아 '''최초로 7세트까지 가는 기염을 토했다.''' --세트 숫자만 봐도 결승전인줄 알았네-- 3선승제에서 가장 많이 플레이 가능한 세트 개수가 7개인데[* 무승부가 가능한 점령/호위, 점령에서 무승부가 나고, 그래서 2대 3 승부가 나면 7세트까지 간다. 이론적으로는 호위에서도 무승부가 가능은 하나, 양측 합의가 없는 한 불가능한 수준.], 이것이 실현된 것.[* 지난 시즌까지의 4판제였으면 3경기 끝나는 순간부터 보스턴의 승리였다. 그러나 이번 시즌부터 3선승제(무승부=무효)로 룰이 바뀌면서 이런 장면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5세트부터 휴스턴이 살아나기 시작했는데, 쟁탈 맵의 특성을 살린 개싸움(!)에서 자주 우위를 점했다. Blase가 보스턴의 제리에게 하도 많이 정리당하다 보니, 메코와 '''젝세'''가 결정타를 담당하는 기현상까지 일어났다. 5세트 오아시스에선 젝세가 뽕을 받아버려서 모두가 '전달 미스'라고 생각했지만... 젝세가 '''낙사도 없이 결정타 4개'''를 쓸어담아서 '이 정도면 일부러 뽕을 준 거다'라고 재평가되었다.이 날이 현지 시간으로 Blase의 생일이었다 하지만, 도라도에서 [[딜랑 비녜|3분 30초]] 동안 죽음의 꽃을 채우지 못하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보스턴의 집중력 감퇴, 휴스턴 힐탱라인의 뜻밖의 캐리로 인해 전무후무한 [[리버스 스윕]]이 일어나는듯 했으나... 젝세에게 밀리지 않는~~?~~[* 킬피드를 보면 젝세가 굉장히 많이 뜨지만, 젝세는 놀랍게도 메인힐러다.~~세상에 이럴 수가 전혀 몰랐네~~]제리의 결정타 쓸어담기, 정신차린 보스턴의 궁연계가 빛을 발하며 7세트를 보스턴이 가져가게 된다. ==== 3경기 PAR 3 : 1 WAS ==== ||<-6>
'''{{{#fff 워싱턴 3주 1일차 3경기 (2020. 02. 23.)}}}'''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30]] ||<|2> ||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br]쓰레기촌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br]블리자드 월드 || || [[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25]] || {{{#ffaa1c {{{+1 '''2''' }}}}}} || {{{+1 1}}} || {{{#ffaa1c {{{+1 '''2''' }}}}}} || {{{#ffaa1c {{{+1 '''3''' }}}}}} || {{{+1 {{{#fff '''3'''}}}}}} ||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1 0}}} || {{{#fff {{{+1 '''2''' }}}}}} || {{{+1 1}}} || {{{+1 2}}} || {{{+1 {{{#fff 1}}}}}} || ||<-6>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iFxIoTKUsV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urY1QsvkHo|[[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25]] {{{+1 [[최한빈|Hanbin]]}}} || 이번 경기부터 한빈의 출전이 가능해진다. === 2월 24일 === ||<-12> {{{#fff '''2월 24일 워싱턴 D.C.'''}}} || ||<-12> {{{#white '''오전 05:00'''}}} || ||<-5>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50]][br]뉴욕 엑셀시어 || '''3''' || 0 ||<-5>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50]][br]휴스턴 아웃로즈 || ||<-5> {{{#ff1c26 '''승''' }}} ||<-2> '''{{{#fff 결과}}}''' ||<-5> 패 || ||<-12> {{{#white '''오전 07:00'''}}} || ||<-5>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height=50]][br]토론토 디파이언트 || 2 || '''3''' ||<-5>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50]][br]필라델피아 퓨전 || ||<-5> 패 ||<-2> '''{{{#fff 결과}}}''' ||<-5> {{{#f89c3f '''승''' }}} || ||<-12> {{{#white '''오전 09:00'''}}} || ||<-5>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50]][br]런던 스핏파이어 || '''3''' || 2 ||<-5>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50]][br]워싱턴 저스티스 || ||<-5> '''{{{#1c2b39 승}}}''' ||<-2> '''{{{#fff 결과}}}''' ||<-5> 패 || ==== 1경기 NYE 3 : 0 HOU ==== ||<-5>
'''{{{#fff 워싱턴 3주 2일차 1경기 (2020. 02. 24.)}}}'''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2> || || [[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15]][br]일리오스 ||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br]하나무라 || [[파일:쿠바 국기.svg|height=15]][br]하바나 ||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5]] || {{{#ff1c26 {{{+1 '''2''' }}}}}} || {{{#ff1c26 {{{+1 '''2''' }}}}}} || {{{#ff1c26 {{{+1 '''3''' }}}}}} || {{{+1 {{{#fff '''3'''}}}}}} ||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1 0}}} || {{{+1 1}}} || {{{+1 0}}} || {{{+1 {{{#fff 0}}}}}} || ||<-7>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t5xWSGI0O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_TI5incd-DI|[[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5]] {{{+1 [[김동규(프로게이머)|Mano]]}}} || 메코의 친정팀 대결. 뉴욕 입장은 최근 메타인 메이 맥크리 메타에서 내보내자니 후아유선수의 메이고, 대체할 선수도 메이에 있어선 좋지 않은 폼을 보이고 있는 리베로 선수라 메이로 고통받을 뿐만 아니라, 쪼낙의 뇌절과 메이,섭힐의 흔들림 때문에 템포를 뺏긴 메인탱 마노까지 상당히 힘든 상황이다 휴스턴 또한 그리 좋은 상황은 아니나, 적어도 19시즌 때 보다는 훨씬 해볼 만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결과는 뉴욕이 전날 퓨전에게 진 화풀이를 하듯이 휴스턴을 압살해버렸다.~~퓨전에게 당해놓고 왜 여기와서 화풀이야.~~ 뉴욕은 3대0으로 승리는 했지만, 퓨전전부터 보이던 공격적인 플레이스타일의 허점이 여전히 보이고 있다. 스타일을 완전히 바꾼 뉴욕은 빨리 공격적인 운용에 대한 적응을 해야 한다. ==== 2경기 TOR 2 : 3 PHI ==== ||<-7>
'''{{{#fff 워싱턴 3주 2일차 2경기 (2020. 02. 24.)}}}'''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2> || || [[파일:이라크 국기.svg|height=15]][br]오아시스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br]왕의 길 || [[파일:네팔 국기.svg|height=15]][br]네팔 || ||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height=25]] || {{{+1 0}}} || {{{+1 1}}} || {{{#c10022 {{{+1 '''2''' }}}}}} || {{{#c10022 {{{+1 '''6''' }}}}}} || {{{+1 0}}} || {{{+1 {{{#fff 2}}}}}} ||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f89c3f {{{+1 '''2''' }}}}}} || {{{#f89c3f {{{+1 '''2''' }}}}}} || {{{+1 1}}} || {{{+1 5}}} || {{{#f89c3f {{{+1 '''2''' }}}}}} || {{{+1 {{{#fff '''3'''}}}}}} || ||<-7>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NmtWypA3Lv4|[[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7JtMYtryFdA|[[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1 [[다니엘 해서웨이|FunnyAstro]]}}} || 새로 온 메인탱 [[아담 덴튼|비스트]]가 예상보다 잘해주면서 장펠레의 흑마법이 실현될뻔 했지만, 결과는 아쉽게 토론토의 패배. ==== 3경기 LDN 3 : 2 WAS ==== ||<-7>
'''{{{#fff 워싱턴 3주 2일차 3경기 (2020. 02. 24.)}}}'''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25]]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2> || || [[파일:이라크 국기.svg|height=15]][br]오아시스 ||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br]하나무라 ||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br]도라도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br]블리자드 월드 || [[파일:네팔 국기.svg|height=15]][br]네팔 ||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 {{{+1 0}}} || {{{+1 1}}} || '''{{{+1 {{{#1c2b39 1}}}}}}''' || '''{{{+1 {{{#1c2b39 3}}}}}}''' || '''{{{+1 {{{#1c2b39 2}}}}}}''' || {{{+1 {{{#fff '''3'''}}}}}} ||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fff {{{+1 '''2''' }}}}}} || {{{#fff {{{+1 '''2''' }}}}}} || {{{+1 0}}} || {{{+1 0}}} || {{{+1 1}}} || {{{+1 {{{#fff 2}}}}}} || ||<-7>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xUO-C7kmq5Q|[[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xUtwNOQkdnY|[[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1 [[임길성|Glister]]}}} || ||
{{{#!folding 플레이어 카드 ||{{{#!wiki style="height: 30px; background-color: #535458; padding: 5px; color: #ffffff; margin: -5px -10px" '''I CAN'T BELIVE THAT ACTUALLY WORKED!'''}}} ||<|2>{{{#!wiki style="height: 100px; width: 100px; margin: -5px -10px"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width=100px]]}}} || ||{{{#!wiki style="height: 70px; border-left: 5px solid #ff8200; background-color: white; color: #575557; margin: -5px -10px" 4.31 meter is the least distance a payload has ever been pushed on Dorado in the Overwatch league. (4.31m는 오버워치 리그 도라도 맵에서 화물이 밀린 최소 거리이다.)}}} || ||<-2> {{{#fff fff 3세트 도라도 2라운드 시작 직후}}} || }}} || '''앞으로 쭉 회자될 '4.31 사태'의 그 경기''' 1, 2세트까지는 워싱턴이 무난한 팀합을 보였고, 런던은 1주차에 보였던 문제를 그대로 보여주며 워싱턴의 무난한 승리가 예상되었다. 그러나 3세트 도라도에서는 런던이 리스폰 지역 입구부터 막는 전략을 가져왔고 이에 워싱턴이 제대로 대처를 못 하면서 화물을 고작 '''4.31m'''[* 그나마도 추가 시간 10초 전쯤에 ELLIVOTE가 화물에 붙어서 이 정도를 민 거였지, 그 전까지 약 3분 30초 정도를 '''1.68m'''에서 멈춰있었다.][* 4.31m는 리그에서 2번째로 짧은 기록이고, 최단기록은 [[2019 오버워치 리그/플레이-인|2019 시즌 플레이-인 토너먼트]]에서 상하이 드래곤즈의 지브롤터 1.74m이다. 다만 이 때는 두팀 다 3점까지 밀고 추가로 민 기록이다.] 밖에 밀지 못했다. 공수교대 후 런던은 화물에 붙어 있을 수 밖에 없는 로어를 먼저 포커싱해 잡아내고 4.31m를 단 '''24초'''만에 밀며 3세트가 순식간에 끝나버렸다. 그리고 이는 리버스 스윕의 서막이었다. 워싱턴은 2세트까지는 무난한 기량을 선보였으나 3세트 충격적인 입구컷 이후 거짓말 같이 궁극기 연계, 거점 관리 등 팀합이 무너져 내리며 첫 홈스탠드에서 전패를 기록한다. 431이라는 굴욕적인 별명은 덤. 4.31m 전설의 완막을 시작으로 역스윕 드라마를 완성하자 런던의 몇몇 선수들은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 3주차 순위 == ## 정보는 가급적 리그 공식홈페이지의 순위표를 참조하십시오. >>> https://overwatchleague.com/ko-kr/standings/season/1/league ## 단, 연승/연패 정보는 공홈 순위표에 없으니 지속적인 갱신 바라며, 기존 최다 연승 기록이 깨질 경우 최다 연승 항목도 같이 갱신해주시기 바랍니다. ||<-14>
[[오버워치 리그 2019 시즌|[[파일:오버워치 리그 아이콘.svg|width=40]]]] {{{-1 [[오버워치 리그 2020 시즌|{{{#fea023 '''2020 시즌'''}}} {{{#fff '''3주차 리그 순위표'''}}}]] }}} || || '''순위''' ||<-2> '''팀명''' || '''경기''' || '''승''' || '''패''' || '''승패[br]마진''' || '''세트[br]득실''' || '''세트[br]승-패-무''' || '''컨퍼런스''' || '''디비전''' || '''최근[br]연속''' || '''최다[br]연승''' || '''비고''' || || 1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필라델피아 퓨전|PHI]] || 4 || 4 || 0 || +4 || +8 || 12-4-0 || 대서양 || 남부 || 4승 || 4승 || || || 2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5]] || [[뉴욕 엑셀시어|NYE]] || 4 || 3 || 1 || +2 || +6 || 10-4-0 || 대서양 || 북부 || 1승 || 2승 || || || 3 ||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height=25]] || [[밴쿠버 타이탄즈|VAN]] || 2 || 2 || 0 || +2 || +4 || 6-2-0 || 태평양 || 서부 || 2승 || 2승 || || || 4 || [[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25]] || [[파리 이터널|PAR]] || 3 || 2 || 1 || +1 || +3 || 7-4-0 || 대서양 || 북부 || 2승 || 2승 || || || 5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height=25]] || [[샌프란시스코 쇼크|SFS]] || 1 || 1 || 0 || +1 || +2 || 3-1-0 || 태평양 || 서부 || 1승 || 1승 || || || 6 ||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height=25]] || [[토론토 디파이언트|TOR]] || 2 || 1 || 1 || +0 || +1 || 5-4-0 || 대서양 || 북부 || 1승 || 1패 || || || 7 ||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25]] || [[플로리다 메이헴|FLA]] || 2 || 1 || 1 || 0 || 0 || 3-3-0 || 대서양 || 남부 || 1패 || 1승 || || || 8 ||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height=25]] || [[LA 발리언트|VAL]] || 2 || 1 || 1 || 0 || -1 || 3-4-0 || 태평양 || 서부 || 1패 || 1승 || || || 9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 [[보스턴 업라이징|BOS]] || 2 || 1 || 1 || 0 || -2 || 3-5-2 || 대서양 || 북부 || 1승 || 1승 || || || 10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 [[런던 스핏파이어|LDN]] || 3 || 1 || 2 || -1 || -4 || 4-8-0 || 대서양 || 북부 || 1승 || 1승 || || || 11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워싱턴 저스티스|WAS]] || 4 || 1 || 3 || -2 || -2 || 7-9-0 || 대서양 || 남부 || 2패 || 1승 || || || 12 ||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25]] || [[애틀랜타 레인|ATL]] || 0 || 0 || 0 || 0 || 0 || 0-0-0 || 대서양 || 남부 || 0승 || 0승 || || || 12 ||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height=25]] || [[서울 다이너스티|SEO]]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2 || [[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height=25]] || [[광저우 차지|GZC]]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2 ||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height=25]] || [[상하이 드래곤즈|SHD]]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2 ||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height=25]] || [[청두 헌터즈|CDH]]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2 ||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height=25]] || [[항저우 스파크|HZS]]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8 ||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5]] || [[LA 글래디에이터즈|GLA]] || 1 || 0 || 1 || -1 || -1 || 2-3-0 || 태평양 || 서부 || 1패 || 0승 || || || 19 ||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5]] || [[댈러스 퓨얼|DAL]] || 2 || 0 || 2 || -2 || -4 || 2-6-0 || 태평양 || 서부 || 2패 || 0승 || || || 20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휴스턴 아웃로즈|HOU]] || 4 || 0 || 4 || -4 || -10 || 2-12-2 || 대서양 || 남부 || 4패 || 0승 || || ||<-14> {{{-2 {{{#dfd 초록색:}}} {{{#white 플레이오프 (TOP 6) |}}} {{{#ffb 노란색:}}} {{{#white 플레이-인 (TOP 12) |}}} {{{#fdd 빨간색:}}} {{{#white 하위 8팀 |}}} {{{#white 볼드체: 순위 확정}}}}}} || == 3주차 TOP 5 Plays == ||<-3>
[[2020 오버워치 리그|[[파일:오버워치 리그 아이콘.svg|width=40]]]] {{{-1 [[2020 오버워치 리그|{{{#fea023 '''2020'''}}} {{{#fff '''오버워치 리그'''}}}]] }}} || ||<-3> '''3주차''' [[https://www.youtube.com/watch?v=G83X-BvZbH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한국어''' [[https://www.youtube.com/watch?v=MOfEOgQhzN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white '''5'''}}} || [[2020 오버워치 리그/3주차#s-3.2.1|[[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5]]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0]] [[최홍준|HOTBA]]의 디바 플레이[br],,한국어 번역 (HOTBA hits his hotstreak),, || || {{{#white '''4'''}}} || [[2020 오버워치 리그/3주차#s-3.2.3|[[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0]] [[임규민|SanGuiNar]]의 비트 쓴 루시우 포함 2인 낙사[br],,SanGuiNar silences the soundbarrier,, || || {{{#white '''3'''}}} || [[2020 오버워치 리그/3주차#s-3.1.2|[[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0]] [[박민섭|Axxiom]]의 4인 대지분쇄[br],,Axxiom's set up side shatter,, || || {{{#white '''2'''}}} || [[2020 오버워치 리그/3주차#s-3.2.2|[[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height=25]]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height=20]] [[브래디 지라디|Agillities]]의 EMP 연계로 둠피스트 5킬 [br],,The power of an E M Punch-out,, || || {{{#white '''1'''}}} || [[2020 오버워치 리그/3주차#s-3.2.3|[[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0]] [[계창훈|Roar]]의 5인 대지분쇄[* 런던 대 워싱턴 세트스코어 2:2, 5세트 네팔에서 1:1, 런던의 거점 게이지 99%인 상황에서 성공시킨 엄청난 대지분쇄였다. --다음 턴에 런던에게 거점을 뺏겨 결국 경기는 패배했다.--] [br],,An utterly absurd team-wipe,,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오버워치 리그 2020 시즌/4주차, version=18)][[분류:오버워치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