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0 도쿄 올림픽/축구(남자))] [include(틀:2020 도쿄 올림픽 축구)]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 도쿄 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축구(남자)|축구]] 종목 중 남자 16개팀 본선 D조에 대해 서술한 문서. == 조편성 == || '''{{{#202b5a 순위}}}''' ||<-2> '''{{{#202b5a 팀명}}}''' || '''{{{#202b5a 승}}}''' || '''{{{#202b5a 무}}}''' || '''{{{#202b5a 패}}}''' || '''{{{#202b5a 득점}}}''' || '''{{{#202b5a 실점}}}''' || '''{{{#202b5a 득실차}}}''' || '''{{{#202b5a 승점}}}''' || || '''1'''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브라질 || 2 || 1 || 0 || 7 || 3 || +4 || 7 || || '''2'''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 || 코트디부아르 || 1 || 2 || 0 || 3 || 2 || +1 || 5 || || '''3'''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독일 || 1 || 1 || 1 || 6 || 7 || -1 || 4 || || '''4'''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 사우디아라비아 || 0 || 0 || 3 || 4 || 8 || -4 || 0 || ||<-10><:>{{{#8E8 '''■'''}}} 결선 진출 | {{{#FBB '''■'''}}} 탈락|| 브라질과 독일의 우세가 점쳐지나 '''[[죽음의 조/축구|각 대륙 강호들이 한 조에 모였으므로 방심할 수 없는 조.]]'''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축구(남자)|전 대회]]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한 조에 배치되었다. 그리고 각 대륙 예선 준우승팀들만 모인 조이기도 하다.~~콩조~~[* 브라질은 2020 CONMEBOL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 독일은 2019 UEFA U-21 챔피언십, 코트디부아르는 2019 U-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사우디아라비아는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에서 준우승을 했다. 게다가 독일은 전 대회 2위 겸 유럽 예선 2위이다. --콩콩--] 본선에 나선 모든 조들 중에서는 레드 카드가 압도적인 숫자로 가장 많이 나왔다. == 경기 진행 == === 1경기 | 브라질 4 : 2 독일 === ||<:><-3><#fff>[[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70]][br]'''{{{#000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남자 D조 1경기[br]2021년 7월 22일 목요일 20:30}}}'''|| ||<-3><:>'''{{{#fff [[닛산 스타디움|{{{#fff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3><:> '''{{{#fff 관중: 명}}}'''|| ||<-3><:>'''{{{#fff 주심: 이반 바톤[* 1년 뒤 다시 한 번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독일 vs 일본|독일의 패배]]를 지켜보게 된다.]}}}''' [[|{{{#fff ''''''}}}]] '''{{{#fff (엘살바도르)}}}'''|| ||<:>[[파일:브라질 올림픽 대표팀 엠블럼.svg|height=100]]||<|2><:>'''{{{+5 {{{#0084a4,#24b0c6 4 : 2}}}}}}'''||<:> [[파일:Team Deutschland.png|height=100]]|| ||<:>'''{{{#ff0 브라질}}}'''||<:>'''{{{#fff 독일}}}'''|| ||<:>'''7', 22', 30' [[히샤를리송|{{{#000 히샤를리송}}}]][br]90+5' [[파울리뉴(2000)|{{{#000 파울리뉴}}}]]'''||<:>[[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57' [[나딤 아미리|{{{#000 나딤 아미리}}}]][br]84' [[라그나르 아헤|{{{#000 라그나르 아헤}}}]]'''|| || '''-''' ||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 || '''35'[[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63'[[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 [[막시밀리안 아르놀트|{{{#000 막시밀리안 아르놀트}}}]]''' || ||<-3><:>'''[[https://youtu.be/WDKciP7x330|{{{#FFF 경기 하이라이트}}}]] {{{#fff |}}} [[https://olympics.com/tokyo-2020/olympic-games/ko/results/football/results-men-gpd-000100-.htm|{{{#FFFFFF 매치 리포트}}}]]'''|| ||<-3><:>'''{{{#FFF 경기 최우수 선수: [[|{{{#FFF 미정}}}]]}}}'''|| 지난 올림픽 결승전이 [[미네이랑의 비극]]의 복수전이었다면, 이번 올림픽 D조 1경기는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축구(남자)/결선 토너먼트#s-7|지난 올림픽 결승전]]과 더불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결승|2002 월드컵 결승전]]의 경기장까지 똑같은 리턴 매치다. 독일이 결승전에서 두 번 꿇었던 설욕에 성공할 것인지, 아니면 브라질이 요코하마에서 다시 한 번 기분 좋게 방어전에 성공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는 경기였다. 그러나 독일은 시작하자마자 일찌감치 수비에서 엇박자를 내며 [[히샤를리송]]에게 [[대전차 미사일]]을 역으로 [[해트트릭|3방이나 맞으면서]] 30분 만에 0대 3으로 끌려가게 되었다. 심지어 전반 추가시간에 마테우스 쿠냐에게 PK까지 내주며 역으로 [[미네이랑의 비극]]을 찍을 뻔 했지만 그나마 이것은 막아내며 한 숨을 돌렸다. 그러다가 후반전에 접어들자 56분, 독일의 [[나딤 아미리]]가 추격골을 넣었지만, 7분 뒤 막시밀리안 아르놀트가 2번의 경고를 받아 퇴장당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같은 와일드 카드인 [[막스 크루제]]도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교체되었다. 그러나 독일 선수들은 특유의 침착함으로 경기 운영을 했고 84분에는 [[라그나르 아헤]]가 추격골을 넣으며 3대 2로 따라잡았다. 그러나 수적 열세 속에서도 끝까지 동점골을 노렸음에도 골은 터지지 않았고 끝내 후반 추가시간에 파울리뉴가 결승골을 넣으면서 쐐기를 박았다. 독일의 입장에서는 전반 막판 PK를 선방하면서 분위기를 가져올 수 있었던 부분은 좋았지만,[* 만약 이 골마저 들어갔다면 '''문자 그대로 [[미네이랑의 비극]]을 7년 만에 그대로 돌려받을 수도 있었다.'''] 그 이전에 3골을 내준 부분은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카잔의 치욕]] 이후 녹슨 전차이자 덜컹 축구가 올림픽 대표팀에서도 계속 이어진다는 것을 증명해버렸으며 63분의 주장인 [[막시밀리안 아르놀트]]가 퇴장당한것이 나비효과를 일으켜 페이스를 끌어올리지 못한 부분은 두고두고 땅을 치게 될 일이 되었다. 그나마 매도 먼저 맞는다고, 남은 두 팀이 코트디부아르와 사우디아라비아이다. 독일은 이 두 팀을 상대로 대승을 거둬서 무난히 조 2위를 확보하는 것을 노릴 것이다. 다만, 이 경기에서 아르놀트가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4명의 선수가 옐로카드를 받았기에 이것이 발목을 잡을 우려도 있다. === 2경기 | 코트디부아르 2 : 1 사우디아라비아 === ||<:><-3><#fff>[[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70]][br]'''{{{#000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남자 D조 2경기[br]2021년 7월 22일 목요일 17:30}}}'''|| ||<-3><:>'''{{{#fff [[닛산 스타디움|{{{#fff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3><:> '''{{{#fff 관중: 명}}}'''|| ||<-3><:>'''{{{#fff 주심: 매튜 콩거}}}''' [[|{{{#fff ''''''}}}]] '''{{{#fff (뉴질랜드)}}}'''|| ||<:>[[파일:IvoryCoast_IOC.png|height=100]]||<|2><:>'''{{{+5 {{{#0084a4,#24b0c6 2 : 1}}}}}}'''||<:> [[파일:SAOC.jpg|height=100]]|| ||<:>'''{{{#fff 코트디부아르}}}'''||<:>'''{{{#fff 사우디아라비아}}}'''|| ||<:>'''39' 압둘렐라 알람리 (O.G)[br]66' 프랑크 케시에'''||<:>[[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44' 살렘 알도사리'''|| || '''90+7' 아부바카르 둠비아'''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youtu.be/ON3vGKPCGL0|{{{#FFF 경기 하이라이트}}}]] {{{#fff |}}} [[https://olympics.com/tokyo-2020/olympic-games/ko/results/football/results-men-gpd-000200-.htm|{{{#FFFFFF 매치 리포트}}}]]'''|| ||<-3><:>'''{{{#FFF 경기 최우수 선수: [[|{{{#FFF 미정}}}]]}}}'''|| 사우디가 전반에 자책골을 기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동점골을 넣으면서 팽팽하게 경기를 유지했으나 후반전에 프랑크 케시에의 결승골이 터지며 코트디부아르의 승리가 되었다. 코트디부아르는 잡아야 할 상대를 잡으며 계획대로 올림픽 여정을 이어가게 되었다. 독일과 브라질을 상대로 1무 이상을 거두면 8강행도 노려볼 수 있는 상황. 한편 사우디까지 득점에 성공하면서 한국을 제외한 모든 아시아 팀이 첫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하게 되었다. 다만, 사우디는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E조|2002 월드컵]] 때 요코하마에서 아일랜드에게,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국가인 카메룬[* 장소는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게 패한 데 이은 2연패다. === 3경기 | 브라질 0 : 0 코트디부아르 === ||<:><-3><#fff>[[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70]][br]'''{{{#000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남자 D조 3경기[br]2021년 7월 25일 일요일 17:30}}}'''|| ||<-3><:>'''{{{#fff [[닛산 스타디움|{{{#fff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3><:> '''{{{#fff 관중: 명}}}'''|| ||<-3><:>'''{{{#fff 주심:}}}''' {{{#fff '''이스마일 엘패스'''}}} '''{{{#fff (미국)}}}'''|| ||<:>[[파일:브라질 올림픽 대표팀 엠블럼.svg|height=100]]||<|2><:>'''{{{+5 {{{#0084a4,#24b0c6 0 : 0}}}}}}'''||<:> [[파일:IvoryCoast_IOC.png|height=100]]|| ||<:>'''{{{#ff0 브라질}}}'''||<:>'''{{{#000 코트디부아르}}}'''||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 || '''65'[[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79'[[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 에부에 쿠아시''' || || '''13' [[도글라스 루이스|{{{#000 도글라스 루이스}}}]]'''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 || ||<-3><:>'''[[https://youtu.be/I1Ez36XFsBo|{{{#FFF 경기 하이라이트}}}]] {{{#fff |}}} [[https://olympics.com/tokyo-2020/olympic-games/ko/results/football/results-men-gpd-000300-.htm|{{{#FFFFFF 매치 리포트}}}]]'''|| ||<-3><:>'''{{{#FFF 경기 최우수 선수: [[|{{{#FFF 미정}}}]]}}}'''|| 코트디부아르가 강적 브라질과의 경기를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조별리그 통과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마지막 경기에서 독일에 지지만 않는다면 최소한 조 2위는 확보할 수 있는 것. 문제는 양팀 다 초기 유럽축구마냥 선수들 때려눕히기에 열광했는지 [[레드 카드]]를 사이좋게 한 장씩 나눠가지면서 결장 선수를 추가했다는 것이지만. 그리고 남자 축구 부문의 모든 2차전을 마친 시점에서, '''토너먼트행을 확정지은 팀은 단 한 팀도 없게 되었다.''' 유일하게 2연승을 거둔 팀이 홈팀 일본인데, 남아공 혼자 승점자판기가 되어버린 탓에 일본마저 프랑스전을 대패하고 멕시코가 남아공을 이기면 조 3위로 밀려 탈락할 가능성이 있기 있기 때문이다. 다른 대회보다도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는 이번 조별 리그이다. === 4경기 | 사우디아라비아 2 : 3 독일 === ||<:><-3><#fff>[[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70]][br]'''{{{#000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남자 D조 4경기[br]2021년 7월 25일 일요일 20:30}}}'''|| ||<-3><:>'''{{{#fff [[닛산 스타디움|{{{#fff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3><:> '''{{{#fff 관중: 명}}}'''|| ||<-3><:>'''{{{#fff 주심: 빅터 고메스}}}''' [[|{{{#fff ''''''}}}]] '''{{{#fff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SAOC.jpg|height=100]]||<|2><:>'''{{{+5 {{{#0084a4,#24b0c6 2 : 3}}}}}}'''||<:> [[파일:Team Deutschland.png|height=100]]|| ||<:>'''{{{#37a854 사우디아라비아}}}'''||<:>'''{{{#fff 독일}}}'''|| ||<:>'''30', 50' 사미 알 나헤이'''||<:>[[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11' [[나딤 아미리|{{{#000 나딤 아미리}}}]][br]43' [[라그나르 아헤|{{{#000 라그나르 아헤}}}]][br]75' [[펠릭스 우두오카이|{{{#000 펠릭스 우두오카이}}}]]'''|| || '''-'''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67' [[아모스 피퍼|{{{#000 아모스 피퍼}}}]]''' || ||<-3><:>'''[[|{{{#FFF 경기 하이라이트}}}]] {{{#fff |}}} [[https://olympics.com/tokyo-2020/olympic-games/ko/results/football/results-men-gpd-000400-.htm|{{{#FFFFFF 매치 리포트}}}]]'''|| ||<-3><:>'''{{{#FFF 경기 최우수 선수: [[|{{{#FFF 미정}}}]]}}}'''||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당시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E조|8:0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양 팀. 사우디의 설욕이 될 것이냐, 아니면 독일의 가패삼기 시즌 2가 될 것이냐? 독일은 '''이 경기까지 이기지 못한다면 또 다시 비웃음을 당할 가능성이 높다.''' 바로 앞 경기에서 브라질과 코트디부아르의 경기가 무승부로 끝나면서 이제 독일이든 사우디든 [[단두대 매치|이 경기의 패자는 얄짤없이 탈락이 확정된다.]] 그리고 그 탈락의 첫 번째 주인공은 사우디아라비아가 되었다. 원래는 남아공이 최초가 될 뻔했으나, 일본이 멕시코를 꺾고 남아공의 조 2위 가능성을 남겨주는 바람에 탈락 확정팀의 타이틀이 사우디아라비아에 넘어갔다.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또 졌어|또 졌어? 이젠 아예 탈락을 했다고! 꺄히쿠 이런..]]~~ 독일은 일찌감치 선제골을 넣었지만 사우디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또 어려운 경기를 해야 했다. 전반 종료 직전에 터진 득점으로 하프타임은 앞선 채 돌입했지만, 이내 또 후반 초반에 동점골을 얻어맞았고, 설상가상으로 수비수 피퍼가 퇴장까지 당했다. 허나 궁하면 통한다더니, 경기 종료를 15분 남기고 우두오카이의 헤더가 골망을 갈라 다시 독일이 앞서가기 시작했다. 사우디는 수적 우세를 최대한 살려 후반 종료 직전까지 맹공을 퍼부었으나, 독일은 어찌어찌 버티고 버텨 끝끝내 근성의(?) 승점 3점을 얻어 8강행 희망을 이어갔다. 사우디아라비아는 19년 전 독일에게 졌던 삿포로는 아니지만, 요코하마에선 같은 유럽 대륙의 아일랜드에게 패했었다(…). === 5경기 === ==== 사우디아라비아 1 : 3 브라질 ==== ||<:><-3><#fff>[[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70]][br]'''{{{#000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남자 D조 5-1경기[br]2021년 7월 28일 수요일 17:00}}}'''|| ||<-3><:>'''{{{#fff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fff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3><:> '''{{{#fff 관중: 명}}}'''|| ||<-3><:>'''{{{#fff 주심:}}}''' {{{#fff '''밤락 테세마 웨예사'''}}} '''{{{#fff (에티오피아)}}}'''|| ||<:>[[파일:SAOC.jpg|height=100]]||<|2><:>'''{{{+5 {{{#0084a4,#24b0c6 1 : 3}}}}}}'''||<:> [[파일:브라질 올림픽 대표팀 엠블럼.svg|height=100]]|| ||<:>'''{{{#fff 사우디아라비아}}}'''||<:>'''{{{#00f 브라질}}}'''|| ||<:>'''27' 압둘렐라 알암리'''||<:>[[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14' [[마테우스 쿠냐|{{{#000 마테우스 쿠냐}}}]] [br] 76', 90'+3 [[히샤를리송|{{{#000 히샤를리송}}}]]'''|| ||<-3><:>'''[[|{{{#FFF 경기 하이라이트}}}]] {{{#fff |}}} [[https://olympics.com/tokyo-2020/olympic-games/ko/results/football/results-men-gpd-000500-.htm|{{{#FFFFFF 매치 리포트}}}]]'''|| ||<-3><:>'''{{{#FFF 경기 최우수 선수: [[|{{{#FFF 미정}}}]]}}}'''|| ||<-4> '''{{{#001c58 결장 선수}}}''' || || '''{{{#fff 번호}}}''' || '''{{{#fff 포지션}}}''' || '''{{{#fff 이름}}}''' || '''{{{#fff 사유}}}''' || || 5 || MF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도글라스 루이스]]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12px]] 출전 정지 || 브라질은 자신들에 비해 약체로 평가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D조 1위가 되어 C조 2위가 유력한 호주를 만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칠 것이다. 다만 탈락 확정으로 동기가 상실된 사우디아라비아라고는 하지만 이번 대회에서 꽤나 선전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방심은 금물일 것이다. 물론 그 브라질답게 사우디를 3:1로 이기면서 사우디의 [[승점자판기]]를 마무리짓는 결정타를 날렸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준결승]] 때 사우디와 같은 [[수니파]] 국가인 터키를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꺾은 뒤 2연승이다. 사우디는 21세기 일본에서 겪은 월드컵, 올림픽의 기억이 한 여름 악몽같이 느껴지게 되었다. ==== 독일 1 : 1 코트디부아르 ==== ||<:><-3><#fff>[[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70]][br]'''{{{#000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남자 D조 5-2경기[br]2021년 7월 28일 수요일 17:00}}}'''|| ||<-3><:>'''{{{#fff [[미야기 스타디움|{{{#fff 미야기 스타디움}}}]] (미야기현 미야기군)}}}'''|| ||<-3><:> '''{{{#fff 관중: 명}}}'''|| ||<-3><:>'''{{{#fff 주심:}}}''' [[레오단 곤살레스|{{{#fff '''레오단 곤살레스'''}}}]] '''{{{#fff (우루과이)}}}'''|| ||<:>[[파일:Team Deutschland.png|height=100]]||<|2><:>'''{{{+5 {{{#0084a4,#24b0c6 1 : 1}}}}}}'''||<:> [[파일:IvoryCoast_IOC.png|height=100]]|| ||<:>'''{{{#000 독일}}}'''||<:>'''{{{#fff 코트디부아르}}}'''|| ||<:>'''73' [[에두아르트 뢰벤|{{{#000 에두아르트 뢰벤}}}]]'''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67' [[베냐민 헨릭스|{{{#000 베냐민 헨릭스}}}]] (O.G)'''|| ||<-3><:>'''[[|{{{#FFF 경기 하이라이트}}}]] {{{#fff |}}} [[https://olympics.com/tokyo-2020/olympic-games/ko/results/football/results-men-gpd-000600-.htm|{{{#FFFFFF 매치 리포트}}}]]'''|| ||<-3><:>'''{{{#FFF 경기 최우수 선수: [[|{{{#FFF 미정}}}]]}}}'''|| ||<-4> '''{{{#001c58 결장 선수}}}''' || || '''{{{#fff 번호}}}''' || '''{{{#fff 포지션}}}''' || '''{{{#fff 이름}}}''' || '''{{{#fff 사유}}}''' || || 5 || DF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아모스 피퍼]]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12px]] 출전 정지 || || 12 || MF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20]] 에부에 쿠아시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12px]] 출전 정지 || 독일은 딱 한 달 전 [[UEFA 유로 2020]]에 이어 또다시 3차전에서 단두대 매치를 맞이하게 되었다.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국대 선배들]]이 겪었던 상황을 올대 후배들도 겪게 된 것이다. 다만 유로 때는 비겨도 조별예선 통과가 가능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무승부도 절대로 안 되고 '''닥치고 이겨야만 한다'''. 물론 비긴다고 해도 만약에 사우디아라비아가 브라질을 큰 점수차로 이기면 골득실로 턱걸이 8강행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그럴 확률이 얼마나 될지는 상상에 맡긴다(...). 반면 코트디부아르는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이미 [[승점]]을 따 놓은 상태라 독일보다 훨씬 여유로운 상태이다. 패하지만 않는다면 자력 8강행이 확정되고, 브라질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 결과에 따라 조 1위도 노려볼 수 있다. 게다가 독일의 경기력이 앞 경기들에서 영 시원찮았는지라[* 여기에 매 경기 퇴장자가 발생할 정도로 전력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오히려 코트디에게 유리한 한 판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전통적으로 연령별 국제대회에서는 아프리카 팀의 강세가 돋보인다는 점도 그렇다. 그리고 독일은 1:1로 비기면서 [[카잔의 기적|또 광탈했다.]] == 총평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브라질 혼자서 5골을 넣은 [[히샤를리송]]의 맹활약으로 코트디부아르를 제외한 두 팀을 대승으로 이기는 디펜딩 챔피언다운 모습을 보이며 8강에 쉽게 진출했다. 하지만 단 1실점의 우승을 거두었던 직전 대회에 비해 조별리그에서 3실점을 했던 것은 반성해야될 부분이다.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24]] 코트디부아르 [[2008 베이징 올림픽]]에 이은 2번째 본선 무대에서 독일을 무승부로 밀어내면서 조 2위로 8강 진출에 성공했지만, 초창기 유럽축구 수준으로 선수들을 때려눕히는 더티플레이만큼은 고쳐야 할 점이다.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독일 독일은 올림픽 시작 전부터 [[UEFA 유로 2020]]과 [[UEFA U-21 챔피언십]] 여러 대회로 인하여 선수 발탁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올림픽 대표팀 감독인 [[슈테판 쿤츠]]는 1월에 올림픽 후보 명단을 100여명이나 정해 두었지만, 모두가 차출을 거부하고 취소했으며, 그 결과 18명 남았다고 인터뷰하며 선수 발탁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https://www.kicker.de/nur-15-feldspieler-kuntz-hat-100-kandidaten-abtelefoniert-865355/artikel?fbclid=IwAR3XDRZOn4dSI0vQIBb0swjMXgFKW69vZAHHcMfqQlepRZKTm9zXWy4d30g#fb|출처]]. 22명까지 출전이 가능하나, 차출 어려움으로 인해 독일 올림픽 대표팀은 '''18명'''만 출전하게 되었다.[* U-21 우승 주역인 [[플로리안 비르츠]], [[루카스 은메차]], [[리들레 바쿠]]는 차출되지 않았는데 클럽팀 입장에서는 한 선수를 여름에 2개 대회에 내보내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이고 특히 비르츠와 바쿠는 팀 내 주전이며, 은메차는 최근 볼프스부르크 이적이 확정되었고, 진행되고 있는 프리 시즌에 참가해 팀에 적응하는 것부터가 우선이기 때문. 대신 우승 멤버인 [[니클라스 도르슈]]와 [[아르네 마이어]]가 발탁되었다.] 와일드카드로 뽑힌 [[막스 크루제]]와 [[막시밀리안 아르놀트]]는 크게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으며, 아르놀트는 브라질전에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하며 팀의 패배에 일조하였다. 반드시 이겨야 하는 코트디부아르전에서도 비기며 결국 광탈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현지 내에서는 감독인 [[슈테판 쿤츠]]를 크게 나무라는 사람들은 없는데, 필수 차출이 아니다 보니 올림픽 전부터 선수들, 클럽들이 시즌 준비 등을 이유로 올림픽 차출을 거부했으며, 선수 발탁에 크게 어려움을 겪었던 것을 알고 있기 때문. 또한 쿤츠는 올림픽이 열리기 전 중요한 대회인 [[UEFA U-21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했기에 그를 비난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편이다. 물론 독일이라는 이름에 비해 조별리그 탈락(9등)이라는 아쉬움을 남겼다.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4]] 사우디아라비아 3전 전패로 [[승점자판기]]가 되어 탈락했다. 다만 마냥 승점자판기라고 보긴 뭣한데, 모든 경기에서 적어도 한 골 이상 넣었고, 1차전과 2차전에서는 1골차 패배로 분전했기 때문. 독일, 브라질, 코트디부아르가 속한 죽음의 조에 들어간 것 치곤 상당히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서 퇴장자가 상당히 많이 나올 정도로 꽤나 지저분한 경기가 펼쳐진 이 조에서 유일하게 조별리그 경기 내내 한 명도 퇴장당하지 않은 기록을 세웠다.[* 이번 조별리그는 전체적으로 퇴장 선수들이 많이 발생하는 보기 드문 모습이기도 했다.] 불운하게도 처음부터 전력이 강했던 팀들 사이에 편성되었던 것이 여러모로 아쉬울 터이다. 세대교체를 진행 중인 사우디 입장에서는 젊은 선수들의 경험치를 쌓은 것에 만족해야할 듯. [각주] [[분류:2020 도쿄 올림픽/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