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일자별 경과)] [include(틀: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1 '''홍콩 대규모 시위 시작일(2019/06/09)부터'''}}} || || '''{{{+5 D[dday(2019-06-09)]}}}''' || || {{{+1 '''[[홍콩 범죄인 인도법안|{{{#FFF 송환법}}}]] 반대 최초 시위 시작일(2019/03/15)부터'''}}} || || '''{{{+5 D[dday(2019-03-1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1년]] 이후의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경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 2021년 == === 1월 2일 ===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에 따르면, 반 중국 정부 시위가 열렸다. 시위 참여자들은 경찰에 연행되었다. === 2월 === ==== 18일 ==== 영국 정부가 홍콩인을 대상으로 이민 신청 문호를 확대한 지 2주 만에 5천명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210039|#]] ==== 23일 ==== 중국이 홍콩의 입법회를 친중파로 채우기 위한 홍콩 선거제 개혁을 위한 준비를 차츰 진행하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277&aid=0004853269|#]] === 4월 === ==== 1일 ==== 홍콩 법원이 민주파 인물 7명에게 유죄를 선고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277&aid=0004877157|#]] ==== 24일 ==== 홍콩 분리주의단체 조직원에 대해 징역 12년의 중형이 선고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350948|#]] ==== 27일 ==== 홍콩의 시민단체 대표가 경찰 조사를 받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356744|#]] 홍콩 입법회가 이민법을 통과시켰는데 거주민의 출국금지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472377|#]] === 5월 21일 === 홍콩 충성서약법이 발효되자 구의원 12석이 공석이 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510238|#]] === 6월 === ==== 1일 ==== 천안문 사태 32주년 추모 대회를 앞두고 홍콩 경찰이 대규모 집회를 막기 위해 3,000명 이상을 배치한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530489|#]] ==== 3일 ==== 홍콩의 민주화사이트가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를 받아 잠시 차단된 일이 발생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533292|#]] ==== 5일 ==== 홍콩의 시민들이 천안문 시위 추모행사를 갖고 주 홍콩 미국 총영사관과 유럽연합 사무소도 지지를 표시하자 중국측이 반발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439827|#]] ==== 8일 ==== 중국 정부가 해외 사이트를 막는 만리방화벽을 해외 기업으로 확대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192526?sid=104|#]] ==== 13일 ==== 홍콩이 민주화 시위 2주년을 맞이했지만, 홍콩 당국이 기념집회를 막고 사람들이 몰려 있으면 해산시키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5&aid=0001447314|#]] ==== 19일 ==== 홍콩 법원이 빈과일보의 핵심 간부들의 보석 신청을 불허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560622|#]] ==== 21일 ==== [[빈과일보]]가 폐간 수순에 들어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9&aid=0004812338|#]] ==== 23일 ==== 빈과일보가 폐간 수순에 들어가면서 홍콩에서 비판 목소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2479802|#]] ==== 26일 ==== 홍콩의 [[신민주동맹]]이 해산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277&aid=0004927133|#]] ==== 28일 ====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2020년 6월 30일에 홍콩 보안법이 발효된 이후, 114명이 체포됐다고 보도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575755|#]] === 7월 === ==== 1일 ==== 빈과일보의 모회사인 넥스트디지털이 7월 1일부로 활동을 중단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9&aid=0004817262|#]] ==== 10일 ==== 마카오에서 민주 진영 정치인들이 의회 의원 선거 출마 자격을 대거 박탈당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516417|#]] ==== 14일 ==== 홍콩 교육부는 홍콩의 각 유치원에 중국 학자들이 집필한 홍콩보안법 교재를 배포한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277&aid=0004937347|#]] ==== 27일 ==== 에드가 청카룽 선수가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뒤, 중국 국가가 울리자 홍콩 신민들은 '우리는 홍콩이다'라는 구호를 외쳤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622526?sid=104|#]] 홍콩 법원이 보안법을 적용한 첫 유죄 판결을 내렸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632160|#]] ==== 30일 ==== 홍콩 법원이 홍콩 보안법 위반 혐의로 처음 기소된 20대 남성에게 징역 9년의 중형을 선고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11&aid=0003944112|#]] === 8월 === ==== 1일 ==== 홍콩 교육당국이 교원노조와 관계를 단절하고 교원단체 지위를 박탈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8&aid=0002554999|#]] ==== 5일 ==== 바이든 행정부가 홍콩인들의 추방을 유예한다고 밝히자 중국측이 반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0&aid=0003374642|#]] ==== 15일 ==== 약 9만명의 홍콩인들이 홍콩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0&aid=0003376124|#]] === 10월 27일 === 홍콩 입법회가 국가안보의 이익에 반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영화의 상영을 금지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전영검사조례 개정안을 통과시켰다고 홍콩 공영방송 RTHK가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01/0012751717|#]] === 11월 23일 === 홍콩의 공공도서관들이 천안문 사태에 관련된 책들을 폐기처분한 것이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654842?sid=104|#]] === 12월 === ==== 16일 ==== 홍콩의 보안당국이 투표거부, 백지투표는 보안법 위반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8&aid=0002571957|#]] ==== 19일 ==== 입법회 선거에서 친중파 인사들만 출마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9&aid=0004895962|#]] ==== 20일 ==== 입법회 선거 투표율은 20%에 그쳤고, 예상대로 친중파 인사들이 압승을 거뒀다. 서방 각국은 홍콩에서의 '민주주의의 붕괴'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https://www.bbc.com/news/world-asia-china-59717343|#]] ==== 29일 ==== 홍콩 경찰이 홍콩기자협회장을 포함해 민주진영 온라인 매체의 전·현직 간부 10명을 체포·연행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1&aid=0002498027|#]] == 2022년 == === 1월 === ==== 19일 ==== [[광복홍콩 시대혁명]] 구호를 제작한 [[에드워드 렁]]이 조기석방 되었다.[[http://naver.me/GwDLEcUY|연합뉴스]] ==== 20일 ==== [[반중|반중 성향]]의 전구일보•입장신문 등 홍콩 언론회사들이 폐간되었다.[[http://naver.me/GHZKLXyY|시사저널]] ==== 21일 ==== [[유럽의회]]에서 [[홍콩 행정장관]] 제재 촉구 결의안이 채택되었다.[[http://naver.me/5UdBPGWA|연합뉴스]] === 2월 8일 === * [[중국]] [[언론]]이 홍콩의 교회가 지난 시위를 일으켰다고 주장을 하였다. 일부 여론에서는 [[종교의 자유]]가 탄압될지도 모른다면서 공포에 떨고 있다. [[https://www.goodnews1.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311|#]]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관련해서 SBS가 중계 홍보를 목적으로 홍콩 영화를 틀자 논란이 일었다. [[http://naver.me/GUQcWTd4|#]] === 7월 1일 === [[홍콩 반환]]된지 25주년이 되어 시진핑 주석은 홍콩을 방문했다. === 9월 24일 === [youtube(qHzUarskQqw)] 중국 국가에 야유를 퍼붓고 [[영광이 다시 오길]]을 하모니카로 연주하다가 한 남성이 붙잡혔다. === 10월 18일 === [youtube(AMEXuP3Ek3U)] 한 홍콩인이 영국에서 집권 3기를 앞둔 시진핑을 반대하기 위한 시위를 벌였다가 주 영국 중국 영사관 앞에서 집단구타를 당했다. === 12월 19일 === [youtube(deO6RknaNz4)] 홍콩 행정부에서 [[영광이 다시 오길]]을 구글에서 '홍콩 국가'라고 치면 나오지 못하게 설정하라고 압박하였다. 그러나 세계 최대 기업인 구글이 이걸 들어줄 지는 미지수이다. 구글이 일단 중국 서비스는 막힌 상황이니 안 들어줘도 되나 구글이 어떻게든 중국 시장에 진입하려고 한다면 들어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2023년 == === 7월 14일 === [youtube(ktO5lZUk0DE)] 망명한 한 민주운동가에 따르면 홍콩 내에 남아있는 [[민주파]]들의 작은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듯 하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일자별 경과/2020년 11월·12월, version=66, paragraph=3)] [[분류: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일자별 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