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9년 시위]][[분류:시진핑 시대]][[분류:우한시]][[분류:후베이성의 사건사고]][[분류:환경 운동]]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2019년]] [[6월 28일]] [[중국]] [[우한시]]에 폐기물 발전소를 건설하고자 하는 계획이 공개되자 약 10,000명 가량의 지역 주민들이 이에 항의하기 위해 거리로 쏟아져나와 시위한 사건. == 상세 == 지역 주민들이 시위에 나서게 된 원인은 [[발전소]] 건설 계획안이 주민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폐기물 발전소는 잘 관리되지 않을 경우 악취나 위생문제를 수반할 수밖에 없는데 발전소 건설 부지가 과거에 쓰레기 매립지였고 이로 인해 대기 [[오염]]과 지하수 [[오염]]이 심각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소각로를 건설하고자 한 것이 반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으며 건설 부지가 거주 지역과 가까운 것도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 The Diplomat은 기사를 통해 [[중국]] 발전소의 대부분이 환경 영향 평가를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엉망임에도 불구하고 가동되어 왔다는 점을 지적했다. [[https://thediplomat.com/2019/07/environmental-protest-breaks-out-in-chinas-wuhan-city/|#]] 시위대는 정부 청사를 둘러싸고 불법적인 발전소 건설에 대해 항의했으나 중국 정부는 약 1,000명 가량의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특근경찰]]과 [[중국 인민해방군|군대]]를 동원하여 젊은 학생과 중년 여성이 주축인 시위대를 무자비하게 진압했다. 7월 5일 기준으로 시위가 발발한 지 일주일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세한 피해 집계나 사건 보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소식은 외신이나 현지 거주자들의 [[트위터]]를 통해 전달되었다. == 중국 정부의 언론 통제 == 전술한 대로 중국 정부의 철저한 언론통제 덕에 상황이 파악되지 않아 뉴스 기사들이 많이 나오지 않았다. 시위대 일부가 경찰에게 체포되었고 우한시를 중심으로 [[중국 인민해방군]]의 전차나 장갑차가 집결하고 있다는 소식이 트위터를 통해 공유된 만큼 중국 정부의 진압 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추측될 뿐이었다. 체포된 시위대의 대다수는 위챗 등의 어플을 통해 시위 관련 정보나 경찰의 진압 광경을 사진으로 유포한 이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https://www.google.com/amp/s/www.rfa.org/english/news/china/wuhan-protest-07042019141304.html/ampRFA|#]] 현지 주민들도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는 [[환구시보]] 등의 매체를 통해 인지했지만 우한시의 시위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그리고 몇 개월 뒤..]] 더 큰 게 일어났다.~~ == 참고 기사 == * [[https://thediplomat.com/2019/07/environmental-protest-breaks-out-in-chinas-wuhan-city/|"Environmental Protest Breaks Out in China's Wuhan City"]] (The Diplomat) * [[https://www.google.com/amp/s/www.rfa.org/english/news/china/wuhan-protest-07042019141304.html/ampRFA|"Thousands Protest Waste Incinerator Plans in China's Wuhan"]] (Radio Free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