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fff {{{+1 '''2018-2023년 아이티 위기'''}}}[br] '''2018-2023 Haitian crisis'''}}} || ||<-4> {{{#fff '''날짜'''}}} || ||<-4> [[2018년]] [[7월 7일]] ~ 현재 || ||<-4> {{{#fff '''장소'''}}} || ||<-4> [include(틀:국기, 국명=아이티)] 전역 || ||<-4> {{{#fff '''원인'''}}} || ||<-4> '''2018년 ~ 2021년'''[br][[베네수엘라]]의 [[페트로카리베|석유 원조 프로그램]] 자금 유용 스캔들[br][[석유]] 관련 세금 인상[br]정부 부패[br][[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실패[br] '''2021년 이후'''[br]정부 권위주의 및 [[조브넬 모이즈]]의 독재[br][[조브넬 모이즈 암살 사건]] 및 쿠데타 위기[br]경찰의 시위대 폭행 및 인권 침해 || ||<-4> {{{#fff '''대치 세력'''}}} || ||<-2><^|1>[include(틀:국기, 국명=아이티)] 정부 ||<-2><^|1>아이티 시위대 || ||<-4> {{{#fff '''지휘관'''}}} || ||<-2><^|1> [[조브넬 모이즈]]✝[br]프리츠 윌리엄 미셸[br]장-미셸 라핀[br]장-앙리 시언트[br]잭 기 라폰탄트 ||<-2><^|1> 장-찰스 모이즈[br]Schiller Louidor || ||<-4> {{{#fff '''인명 피해'''}}} || ||<-2> 경찰 44명 사망 ||<-2> 시위대 187명 사망[br]언론인 2명 사망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티]] 정부의 계속된 석유 세금 인상에 대하여 [[2018년]] [[7월 7일]]부터 시작된 시위가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는 시위로 번지고 결국 정부 체제 전복을 목표로 한 시위가 되면서 아이티 전역에 혼란을 야기한 사건. == 경과 == === [[2018년]] === [[2018년]] 3월, [[베네수엘라]]에서 아이티로의 석유 수출을 중단하였다. 이로 인해, 아이티는 석유 부족 사태가 일어났고, 정부의 보조금 철폐로 인해 등유 가격이 50%로 오르게 된다. 정부는 석유 관련 품목에 대해 세금을 계속해서 인상하였고, 이에 지친 시민들이 [[7월 7일]] 시위를 시작한다. 정부는 경험이 부족했던 [[잭 기 라폰탄트]] 총리의 사임을 받아들이고 한 달 후 장-앙리 시언트가 총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Gilbert Mirambeau가 [[트위터]]에 [[페트로카리베]] 자금은 어디로 갔냐는 트윗을 올린 후에 정부의 자금 운용에 관한 조사를 요구하는 시위로 번지게 된다. 2018년 11월 시위 도중, 정부의 차가 바퀴가 빠져 시위대로 돌진하는 바람에 10명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한다. === [[2019년]] === 페트로카리베 관련 조사가 이어지는 와중에 경제적 불안과 생활비 증가에 따른 시민들의 불만이 커져갔다. 결국 [[2019년]] [[2월 7일]], 시위대는 아이티 내의 고급 자동차에 대한 반달리즘을 가했고 [[포르토프랭스]] 시장은 [[카니발]] 행사 취소를 발표했다. [[2월 12일]], 시위대는 주변 시장과 상점을 공격하고, [[아킨]]에 위치한 교도소를 습격해 수감자들이 모두 빠져나오게 되었다. [[2월 14일]],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이 나라를 갱들과 마약상인에게 넘길 수는 없다며 절대 사임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6월 10일]], 언론인 로스피데 페티온이 [[포르토프랭스]]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정부를 비판하는 말을 한 후 집으로 가는 도중 총에 맞아 사망했다. [[10월 4일]], 포르토프랭스에서 시장을 포함한 천여명이 모이즈 대통령의 사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인다. [[10월 11일]], [[미레발라]]에서 정부를 비판하던 언론인이 두 번째로 피살당했다. [[10월 22일]]에는 [[가톨릭]] 교도들이 시위를 벌였다. 에너지 위기와 도로 차단 등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관광업이 크게 줄었고 많은 도시에서 호텔이 문을 닫게 되었다. [[유엔]]은 2019년 9월부터 약 42명의 사망자와 86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 [[2020년]] === [[2020년]] 9월부터 아이티 정부의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이 실패했다며 시위를 시작했다. 경찰들 또한 더 나은 근로 조건을 요구하며 시위에 나섰다. === [[2021년]] === [[2월 7일]], 모이즈 대통령은 [[쿠데타]] 시도를 한 반대파 23명을 체포했다. 이에 [[2월 9일]] 수백명의 시위대들이 포르토프랭스에서 납치를 그만두라는 시위를 벌였다. 반대파들은 2월 7일 모이즈의 임기가 끝이라고 주장했고 모이즈 대통령은 2022년 말까지 임기가 지속된다고 반박했다. [[7월 7일]], 28명의 외인부대에 의해 [[조브넬 모이즈 암살 사건|모이즈 대통령이 암살되었다.]] === [[2022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년 아이티 위기)] 2022년 9월, 전세계적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에너지 위기]]로 인해 생활비 증가로 인해 [[2022년 아이티 위기|시위]]가 다시 발생했다. === [[2023년]] === 2023년 3월 22일, 아이티 수도 프로트프랭스의 90%를 갱단이 장악한 상태라고 한다.[[https://m.yna.co.kr/amp/view/AKR20230323138300009|#]] 2023년 4월, 경찰들에게 붙잡힌 갱단원 10여명을 아이티 군중들이 처형 후 시신을 불태워 버리는 사건이 일어났다.[[https://m.yonhapnewstv.co.kr/news/MYH20230425009700641|#]] 2023년 4월 24일에서 5월 24일 한 달간 무장시민들에 의해 최소 160명의 갱단원들이 살해당했다. [[분류:2010년대 사건사고]][[분류:2020년대 사건사고]][[분류:아이티의 정치]][[분류: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피해]][[분류:에너지]][[분류:아이티의 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