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2018년]] 7월 [[중국]]에서 불량 백신이 수십만 명의 어린이에게 접종된 사건. == 발단 == [[2018년]] [[7월 15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에서 [[지린성]] [[창춘시]]의 '창성(長生)바이오테크놀로지'를 조사해 생산 기록 조작을 적발해 해당 회사의 광견병 백신 제작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또 창성바이오에서 제작한 DPT 백신이 [[2018년]] [[10월 27일]]에 지린성 식약감독관리국의 조사로 불합격 처분을 받았는데도 고작 180개만 압수되었고 [[산둥성]]에 25만 2600개, [[충칭시]]에 19만 개, [[허베이성]]에 21만 개가 공급되었음도 추가로 밝혀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8&aid=0002418458|#]][[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1&aid=0002360108|#]] == 파장 == 이후 중국 인터넷상에서 '백신의 왕' 이라는 문제의 창성바이오와 옌선(延申)바이오, 캉타이(康泰)바이오에서 생산된 백신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술한 3개 기업이 가짜 백신 사태에 연루되었다는 내용의 글이 퍼지면서 수많은 중국인들을 벌벌 떨게 했다. 결국 [[리커창]] 총리가 "조사팀을 파견해 백신 생산, 판매의 전 과정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빠른 시간 내에 사건의 진상을 철저히 밝혀야 하며 연루자와 연루 기업은 엄벌에 처하고 감독관리 직무유기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시하고 "이 사건은 인간의 도덕적인 한계를 깬 것으로, 전 인민에게 반드시 명백히 설명해야 하며, 안심하며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인민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촉구하기까지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0226871|#]] 그리고 [[시진핑]] 주석도 해당 사건을 철저히 조사할 것과 책임자들에 대한 엄벌을 촉구하고 사람들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안전을 최대한 지키라고 지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5&aid=0002838108|#]] 이 사건으로 인해 [[중국인]]들의 분노가 극에 달했고 심지어 ''''[[중국공산당]]을 타도하자'''' 는 내용의 낙서가 화장실 문과 벽면 등에 적히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백신 피해 아동 4명과 부모 20여 명이 7월 30일에 베이징의 국가위생건강위원회 건물 앞에서 이 사건에 항의하는 시위를 하기도 했다.[[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569927|#]][[https://www.yna.co.kr/view/AKR20180725089300074|#]] [[2008년]]에 중국에서 [[멜라민 파동|멜라민 분유 사태]]가 발생했을 때 부모들이 [[홍콩]]까지 가서 분유를 산 것처럼 이 사건으로 인해 부모들이 홍콩에서 아이들에게 백신을 접종하기도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3496835|#]] 이 사건으로 인해 창춘시 공안국이 창성바이오 대표이사 등 15명을 구속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5&aid=0000661599|#]] 그리고 중국 약품관리당국이 창성바이오에 91억 1203만 위안(1조 4820억원)의 천문학적인 벌금을 부과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3&aid=0003404431|#]] == 논란 == 해당 사건에 대해 거론한 글과 SNS 계정이 삭제되고 언론의 독립적인 취재를 금지하며 [[중국공산당]] 측이 '백신' 이라는 키워드의 검색을 차단하는 등의 여론 통제가 있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8719209|#]][[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3500777|#]] == 피해 사례 == 문제의 백신을 무려 36만여 명의 어린이가 접종받았음이 밝혀졌으며[[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1&aid=0002360304|#]] [[후베이성]]에서 백신을 접종한 한 살배기 아기가 사망하거나 [[허난성]] 출신 허팡메이(何方美)의 2살짜리 딸이 문제의 DPT 백신과 A형 간염 백신을 맞고 나서 고열과 함께 전신 마비 증상이 나타나 석회질 척추염 진단을 받는 등([[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5&aid=0002839890|#]])의 피해 사례가 속출했다. 또 중국 당국이 가짜 백신을 맞은 피해자조차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졌다.[[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4/2018072400120.htm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16/2018081602572.html|#]] [[분류:시진핑 시대]][[분류:의료사고]][[분류:2018년/사건사고]][[분류:백신]][[분류:중국의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