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역대 시즌)] ||<-5> [[파일:오버워치 아이콘 컬러 화이트.svg|width=20]] '''[[틀:오버워치 지역 리그|{{{#f69c11 오버워치 공식 리그}}}]] {{{#ffffff 코리아 일람}}}''' || ||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1]] || → ||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 → ||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2]] || [[파일:Dc--mChVAAAJoau.jpg|width=100%&align=center]] [[파일:20180307170927_6920.jpg|align=center]] [목차] == 개요 == * 주관 방송사: [[MBC SPORTS+2]] * 후원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 [[https://bnetcmsus-a.akamaihd.net/cms/page_media/wf/WFTS8WW008431519156469728.pdf|리그 규정]], [[https://overwatch-esports.kr/bracket?seasonNo=10|상세 정보]] * 중계진 * 한국 중계진 * 월요일, 수요일: [[이인환]][* 과거 [[GSL]] 중계를 맡은 경력이 있다.], [[이승원(게임 해설가)|이승원]], [[황규형]] * 화요일: 이대현[* 現 MBC스포츠플러스 아나운서], [[정인호]], [[장지수(해설가)|장지수]] * 글로벌 중계진: 세스 킹, [[울프 슈뢰더]] * 대회 기간: [[2018년]] [[3월 19일]] ~ [[2018년]] [[5월 12일]] * 본선 * 1주차 : [[2018년]] [[3월 19일]] ~ [[2018년]] [[3월 21일]] * 2주차 : [[2018년]] [[3월 26일]] ~ [[2018년]] [[3월 28일]] * 3주차 : [[2018년]] [[4월 2일]] ~ [[2018년]] [[4월 4일]] * 4주차 : [[2018년]] [[4월 9일]] ~ [[2018년]] [[4월 11일]] * 5주차 : [[2018년]] [[4월 16일]] ~ [[2018년]] [[4월 18일]] * 플레이오프 * 6주차 : [[2018년]] [[4월 20일]] ~ [[2018년]] [[4월 22일]] * 결승전 : [[2018년]] [[5월 12일]] * 온라인 생중계(한국어) [[https://www.twitch.tv/playoverwatch_kr|[[파일:트위치 아이콘.svg|height=18]]]] * 유튜브 대회영상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bT1b1hSJ7oZqaguifalhXA/|[[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경기장 : [[올림픽공원(서울)#s-2.17|올림픽공원 K-아트홀]] * 결승전 : [[일산서구]] [[KINTEX]] 제2전시장 8홀[* 공교롭게도 [[인텔 오버워치 APEX 시즌 1]]/[[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 결승전이 열린 장소에서 열리게 된다.] ([[PlayX4]][* 결승전 티켓을 가지고 있다면 [[PlayX4]] 에도 입장할수 있었다.]) * 대회 방식 * 정규 시즌 : 풀 리그 * 플레이오프 * 8강/4강 : 5전 3선승 * 결승 : 7전 4전승 * 총 상금[* 플레이오프 상금 기준]: 75,000$ (한화 약 8100만원) / 파이트머니 포함시 총상금 한화 2억원 * 시즌 1위: 30,000$ (한화 약 3200만원) * 2위 : 12,450$ (한화 약 1300만원) * 3,4위 : 7,575$ (한화 약 820만원) * 5~8위 : 4,350$ (한화 약 470만원) * 파이트 머니: 총 3668$ (세트 승리: 587$, 세트 무승부: 458.5$, 세트 패배: 330$)[* 타이브레이커와 플레이오프는 파이트 머니가 따로 주어지지 않는다.] == 참가 팀 == ||<-5> [[파일:Overwatch_Contenders_logo_100_83.png|width=30]]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8cba11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틀: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참가 팀|{{{#fff 참가 팀}}}]]''' || ||<-2> {{{#black '''A조'''}}} ||<|7> ||<-2> {{{#black '''B조'''}}} || || [[파일:Team_BlossoM_logo_100_89.png|width=100]] || [[파일:Kongdoo_Panthera.png|width=100|width=100]] || [[파일:Runawaylogo.png|width=100]] || [[파일:FOXES_logo_100_100.png|width=100]] || || [[Team BlossoM#s-2|BlossoM]] || [[KONGDOO PANTHERA|KD PANTHERA]] ||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 [[FOXES(프로게임단)|FOXES]] || || [[파일:X6-Gaming_logo_100_100.png|width=100]] || [[파일:Element_Mystic_logo_100_89.png|width=100]] || [[파일:WGS_Laurels_Nine_logo_100_100.png|width=100]] || [[파일:O2_Ardeont_logo_100_100.png|width=100]] || || [[X6-Gaming/오버워치|X6-Gaming]] || [[Element Mystic]] || [[WGS Laurels Nine]] || [[O2 Ardeont]] || || [[파일:Meta_Bellum_logo_100_100.png|width=100]] || [[파일:Meta_Athena_logo_100_100.png|width=100]] || [[파일:Seven_logo_100_77.png|width=100]] || [[파일:MVP_logo_100_100.png|width=100]] || || [[Meta Bellum]] || [[Meta Athena]] || [[Seven]] || [[MVP Space]] || == 대회 규정 == * 모든 경기의 전장은 컨텐더스 주최 측이 미리 결정한 후 시즌 시작 전 사전 공지하며, 사정이 있는 경우 시즌 진행 중에도 즉각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 4세트 진행을 기본으로 하며, 동점 상황이 나올 경우 쟁탈 전장으로 1세트 연장 진행한다. 무승부 세트가 발생할 경우 양팀 모두 점수를 얻지 못한다. * 1세트 전장은 컨텐더스 주최 측에서 결정하며, 2세트부터는 이전 세트 패배 팀이 전장을 결정한다. * 이전 세트 승리 팀은 다음 세트에서 공격/수비를 결정한다. * 룰은 경쟁전룰을 따른다. 쟁탈 3판 2선승, 호위, 점령, 혼합은 전후반 교대제. * 각 팀에게는 경기당 한번씩 작전 타임(3분), 선수 교체(6분)를 사용할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 단 둘을 동시에 사용하는것은 불가능하다. * 감정표현, 스프레이, 황금 무기는 사용 가능하나, 스킨 사용은 불가하다. ||<-3>'''<풀 리그>'''|| ||세트||종류||비고|| ||1세트||쟁탈||주최측 선정|| ||2세트||점령/호위|| || ||3세트||점령|| || ||4세트||호위|| || ||5세트||오아시스||타이브레이커|| == 쇼케이스 == [[파일:i15568423740.jpg|align=center]] [[2018년]] [[3월 12일]] 올림픽공원 K-아트홀에서 성황리에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의 쇼케이스가 진행되었다. 이번 쇼케이스에서는 리그 커미셔너인 네이트 낸저가 방문하였다. 컨텐더스는 한 해에 총 3시즌으로 나누어 진행될 예정이며, 총 상금은 6억 원이다. [[MBC 스포츠플러스 2]]를 통해 생중계 되며 캐스터는 이인환·이대현, 해설은 이승원·황규형, 정인호·장지수 등이 맡는다. == 기록 == === 정규시즌 === ||<-15>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8cba11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fff 정규시즌 순위}}}''' || ||<-7> A조 ||<|8> ||<-7> B조 || || 순위 ||<-2> 팀명 || 승 || 패 || 승패[br]마진 || 세트[br]득실 || 순위 ||<-2> 팀명 || 승 || 패 || 승패[br]마진 || 세트[br]득실 || || '''1''' || [[파일:EMlogo.png|width=30]] || '''[[Element Mystic]]''' || 5 || 0 || +5 || +16 || '''1''' || [[파일:runaway.png|width=30]] ||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 4 || 1 || +3 || +14 || || '''2''' || [[파일:x6-gaming.png|width=30]] || '''[[X6-Gaming/오버워치|X6-Gaming]]''' || 4 || 1 || +3 || +8 || '''2''' || [[파일:Sevenlogo600px.png|width=30]] || '''[[Seven]]''' || 4 || 1 || +3 || +10 || || '''3''' || [[파일:Meta_Bellum_logo.jpg|width=30]] || '''[[Meta Bellum]]''' || 3 || 2 || +1 || +2 || '''3''' || [[파일:FOXES.png|width=30]] || '''[[FOXES(프로게임단)|FOXES]]''' || 3 || 2 || +1 || -2 || || '''4''' || [[파일:Kongdoo_Panthera.png|width=30]] || '''[[KONGDOO PANTHERA]]''' || 2 || 3 || -1 || -4 || '''4''' || [[파일:O2Ardeont.png|width=30]] || '''[[O2 Ardeont]]''' || 2 || 3 || -1 || 0 || || 5 || [[파일:BlossoM_logo_200_200.png|width=30]] || [[Team BlossoM#s-2|BlossoM]] || 1 || 4 || -3 || -10 || 5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MVPlogo.png|width=30]] || [[MVP Space]] || 2 || 3 || -1 || -6 || || 6 || [[파일:Meta_Athena_logo_200_200.png|width=30]] || [[Meta Athena]] || 0 || 5 || -5 || -12 || 6 || [[파일:WGSLogo.png|width=30]] || [[WGS Laurels Nine|WGS]] || 0 || 5 || -5 || -16 || ||<-15> 조별 상위 4팀 플레이오프 진출, 하위 2팀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2]](승강전)로 강등 || === 플레이오프 === ||<-7>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8cba11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fff 플레이오프 순위}}}''' || || 순위 ||<-2> 팀명 || 승 || 패 || 세트 전적 || 득실 || || '''우승''' || [[파일:x6-gaming.png|width=30]] || '''[[X6-Gaming/오버워치|X6-Gaming]]''' || '''3''' || '''0''' || '''10-1''' || '''+9''' || || '''준우승''' || [[파일:O2Ardeont.png|width=30]] || [[O2 Ardeont]] || 2 || 1 || 6-7 || -1 || ||<|2> '''4강''' || [[파일:Meta_Bellum_logo.jpg|width=30]] || [[Meta Bellum|{{{#ffffff Meta Bellum}}}]] || 1 || 1 || 4-5 || -1 || || [[파일:runaway.png|width=30]] || [[러너웨이/오버워치|{{{#ffffff RunAway}}}]] || 1 || 1 || 4-5 || -1 || ||<|4> '''8강''' || [[파일:Sevenlogo600px.png|width=30]] || [[Seven]] || 0 || 1 || 2-3 || -1 || || [[파일:EMlogo.png|width=30]] || [[Element Mystic]] || 0 || 1 || 2-3 || -1 || || [[파일:Kongdoo_Panthera.png|width=30]] || [[KONGDOO PANTHERA]] || 0 || 1 || 2-3 || -1 || || [[파일:FOXES.png|width=30]] || [[FOXES(프로게임단)|FOXES]] || 0 || 1 || 0-3 || -3 || ||<-7>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2|컨텐더스 트라이얼]](승강전)로 강등 || ||<|4> 승강전 || [[파일:BlossoM_logo_200_200.png|width=30]] || [[Team BlossoM|BlossoM]] ||<|4><-4>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br]승강전으로 강등 || || [[파일:Meta_Athena_logo_200_200.png|width=30]] || [[Meta Athena]] ||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MVPlogo.png|width=30]] || [[MVP Space]] || || [[파일:WGSLogo.png|width=30]] || [[WGS Laurels Nine|WGS]] || == 주요 기록 == * '''이번 시즌 최초의 [[퍼펙트 게임(동음이의어)|퍼펙트 게임]]''' :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4주차|4주차 - WGS vs. RUN]](2019.04.09 / 0:2, 0:1, 0:1, 0:1) * '''국내 1부 리그 최초로 디펜딩 챔피언이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승강전]]에 직행''' * '''[[Team BlossoM/오버워치|BlossoM]]''' (A조 5위 / 1-4 / -10) == 경기 진행 == [include(틀: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경기 일람)] == 이슈 == === APEX와의 차이점 === * [[APEX 시즌 4]] 결승전 당시 [[GC Busan/오버워치/2017년 11월 이전|GC Busan]]의 승자 인터뷰를 통한 엠바고로 이번 시즌에는 토너먼트에서 풀 리그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졌으며, 실제 컨텐더스 개편안이 발표되면서 풀 리그 진행이 확정되었다. * 대회 출전 가능 최소연령이 APEX보다 다소 완화되었다. 기존 APEX는 대회일정 기준 만 15세 이상만 참가 가능했으나, 컨텐더스는 OCK 시즌 1에는 [[2018년]] [[2월 14일]] 기준 만 13세 이상, 즉 [[2005년]] [[2월 13일]] 이전 출생자면 누구나 참가 가능하다. 국내 게임등급 역시 [[2017년]] [[11월]] 즈음에 만 12세 버전으로 심의를 다시 받아 통과하였기 때문에 어린 선수들의 출전에 규제가 사실상 사라졌다. 현재 시즌 1 참가가 확정된 팀의 선수들 중 최연소 선수는 [[Meta Bellum]]의 Na1st 선수이다. ([[2003년]] [[2월]]생) * '''의무적으로''' 최소 6명, 최대 9명의 선수와 한 명 이상의 팀 매니저로 구성된 로스터를 갖춰야 하며, 로스터 확정 기간 (Roster Locking, 이하 RL)이 새로 생겼다. 이 때는 각 컨텐더스 시즌 시작 일주일 전 까지 6명의 스타팅 멤버와 백업 멤버 3명 이하로 구성된 로스터를 제출해야 하며, RL 기간 이전에는 자유롭게 로스터 구성을 할 수 있으나 RL 기간이 되면 로스터 변경을 특별한 사유가 없는 경우 원칙적으로 제한한다. * 중계방송사가 [[OGN]]에서 [[MBC 스포츠플러스]]로 이관되었다. === 영상 시리즈 === * [[황규형|용봉탕]]의 CCTV (컨텐더스 코멘터리 TV) * [[https://www.youtube.com/channel/UCRaG8VJU6kIcKbe6nYsFUjg|용봉탕 채널]]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vzG7UoikIgVFuEhi_xbTd2zbG_6rQtpH|유튜브 재생목록]] [[https://youtu.be/PwvqorE0LUA|프롤로그]] [[https://youtu.be/kE1vuvCE15g|1화]] [[https://youtu.be/xkwcv-YjhUI|2화]] [[https://youtu.be/i1ohkj8dbCc|3화]] [[https://youtu.be/M8IhZJI7sfw|4화]] [[https://youtu.be/ACDFKTnLV0I|5화]] [[https://youtu.be/Xdq6ETR2mWA|6화]] * [[https://www.youtube.com/channel/UCbT1b1hSJ7oZqaguifalhXA|오버워치 e스포츠 채널]]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Zc5nhmwOHChSgPJmxYawULswW8HSKWQQ|유튜브 재생목록]] [[https://youtu.be/HNPaaBCLWBM|1화]] [[https://youtu.be/N6NXQ_gELJM|2화]] [[https://youtu.be/mxPDlQUq1s4|3화]] [[https://youtu.be/Nt9CjGlYcMU|4화]] 용봉탕 채널보다 늦게 업로드되고 있다. 이외에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bT1b1hSJ7oZqaguifalhXA|오버워치 e스포츠 채널]]에 경기 풀영상, 하이라이트나 클립 영상 등이 올라온다. 경기 풀영상은 트위치 [[https://www.twitch.tv/playoverwatch_kr/videos/all|오버워치_이스포츠]] 채널에도 업로드된다. === 여담 === * 디펜딩 챔피언인 [[GC Busan/오버워치/2017년 11월 이전|GC Busan]]의 결승 멤버들이 [[C9 KONGDOO]]와 함께 [[오버워치 리그]]에 출전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아리엘을 제외한 모든 선수들이 [[런던 스핏파이어|리그 팀]]으로 거처를 옮기기에 다음 시즌에서는 4시즌 결승전 엔트리 선수들을 차기 리그에서 못 볼 가능성이 높다.[* 아리엘은 팀에 잔류하게 됐는데, 이후 팀 블라썸이라는 이름으로 아리엘을 주축으로 팀을 새로 만들겠다고 하였으나 아리엘은 은퇴하였다.] *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의 초청팀 8팀이 공개되었는데, [[APEX 시즌 4]]의 1위~8위 팀이다. 그리고 챌린저스 상위권 팀과 APEX 중하위권 팀들은 승강전 개념의 컨텐더스 트라이얼에 초청되었다. * [[오버워치 APEX]]에서는 시드권을 유지하기 위해 이전 시즌의 로스터 선수 중 최소 3명이 포함되어 있어야 했다. 하지만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에서는 이 조건이 없어진 것이 정황상 확실하다. [[오버워치 리그]]로 선수들이 이동하면서 시드권이 사라지는 상황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 [[GC Busan/오버워치/2017년 11월 이전|GC Busan]]의 시드권을 이어받은 [[Team BlossoM]]의 로스터에는 GC Busan 출신 선수는 물론, 감독이나 코치도 없다. * [[KONGDOO UNCIA]]가 해체되면서 Uncia 선수들이 [[KONGDOO PANTHERA]]로 둥지를 옮겼다. 기존의 룰대로라면 Uncia 선수는 4명, Panthera 선수는 2명이라 Uncia의 시드권이 유지되었겠지만, Panthera의 시드권으로 컨덴더스에 초정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 구 루나틱 하이의 시드권을 이어받은 [[Lunatic-Hai/오버워치|Lunatic-Hai]]였지만, 해체를 선언하고 [[Element Mystic]]에 시드권을 양도했다. * 해체 선언을 했던 [[LW RED]]가 [[Ardeont]] 전임 감독이자 엘레 해체까지 임시 감독을 맡았던 문병철 감독의 노력을 통해 '''TEAM WGS'''라는 새로운 팀으로 부활했다. 이 팀은 기존 LW Red의 시드권을 승계받게 된다. 허나 기존 LW Red 선수가 전부 새 팀을 찾아 떠난 상태라, 역시 현 로스터에 전 LW Red 출신 선수는 한 명도 없다. * Apex S4 이후 팀이 아닌 회사가 내부적으로 터져버린 [[NC Foxes]] 는 운영자 없이 팀원들끼리 남아있다가 몇몇 선수를 제외한펌플, 혁 등 대부분의 선수가 탈퇴,이적했다. 그나마 이전 운영자 중 한명이 마지막까지 남은 선수들을 위해 컨텐더스 참가까지 길을 만들어주고 운영진에서 퇴임했다. Apex 시즌 4 이후로는 공식적으로 [[Foxes]] 오버워치 프로게임단으로 활동 중이다. 운영진공석 문제는 최근 익명의 MBC 출신의 대표가 팀의 운영을 이어가며 해결되었다. * 시드권을 양도할 수 있다. 2018년 1월 10일 컨덴더스 코리아에 참가한다고 발표한 [[Ardeont]]는 정황상 [[CONBOX]]의 시드권을 넘겨받은 것으로 보이고, [[Element Mystic]]은 [[Lunatic-Hai/오버워치|Lunatic-Hai]]의 시드권을 넘겨받았다. * 해체된 [[Afreeca Freecs]]는 아프리카 인수 이전의 팀명이던 [[MiG]]로 팀명을 바꾸고 컨텐더스 트라이얼에 초청받았지만, 선수 영입을 전혀 하지 않아 결국 불참하게 되었다. * [[오버워치 리그]]처럼 풀 리그로 바뀌게 되어 기존의 16팀 참가에서 12팀 참가로 줄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풀 리그 개편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경기 수는 늘게 되어 신생 팀들의 실력 발휘 기회를 더 많이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상금 풀이 [[오버워치 APEX]]에 비해 많이 바뀌었다. 플레이오프의 상금 풀을 7만5천달러로 줄인 대신 파이트 머니의 규모를 크게 늘리면서 하위권 팀들에게 수익이 이전보다 더 많이 돌아가도록 상금 구조를 개선하였다.[* 예를 들어, APEX땐 꼴찌 팀이 조별리그 0승 3패로 탈락할 경우 200만원+파이트 머니 60만원 밖에 받지 못했지만, 컨텐더스의 경우 만약 꼴찌 팀이 본선에서 5경기 전부 0:4로 패배해도 6600달러, 한화 약 700만원 상당을 받는다.] * 현행 진행중인 [[오버워치 리그]] 및 타 지역 컨텐더스와의 차이점인데, 현재 오버워치 리그 최소 연령제한인 만 18세로 인해 타 지역은 이 연령 이하의 리그 팀 선수들을 따로 "아카데미 팀" 이라는 형태의 2군팀 개념으로 묶어서 관리하고 있다. 이 팀은 현재 각 지역 컨텐더스에 출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한국만 이 아카데미 팀이 '''없다.''' 그래서 한국 컨텐더스 - 리그 팀간의 드래프트가 향후 어떻게 진행 될지에 대한 부분도 떡밥거리. ~~그냥 돈 주고 대려오면 된다~~ [* 타 지역 컨텐더스에 있는 리그 팀의 경우 한 시즌 진행 후 선수간 이적을 통해 타 팀 → 리그 팀 아카데미 영입 (2군) → 조건 달성 시 리그 콜업 (1군) 의 MLB와 유사한 방식으로 영입을 시킬 수 있지만, 한국 컨텐더스 팀의 경우엔 차후 KSV Esports ([[서울 다이너스티]]의 프런트사) 에서 공개 드래프트로 각 팀에서 각출하는 방식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 전체 지역중에 유일한 예외가 바로 '''APAC 디비전인데''' 이 지역 컨텐더스 팀은 오버워치 리그 2018-2019 시즌 (출범시즌 후 차기시즌)에 새로 생길 리그팀 (레딧 루머상으로는 도쿄,시드니,홍콩 연고지가 이 APAC 디비전 지역에 해당한다.) 조성 준비를 위한 형태로 구성할 거란 이야기가 있는 상황.(과거 컨텐더스 체제에서 디비전 상위팀이었던 엔비어스 / 임모탈스 / 옵틱 게이밍이 현재 [[댈러스 퓨얼]],[[LA 발리언트]],[[휴스턴 아웃로즈]]로 변모한 것과 유사한 방향으로 간다는 것.)] * 준결승전이 끝나고 나서 거의 3주나 지난 뒤에야 결승전이 열리는데,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오버워치 리그]] 경기 일정과 안 겹치게 결승전 일정을 뒤로 미룬 것. 5월 12일이 있는 주에 스테이지 3과 4 사이의 휴식 기간이라 리그 경기가 열리지 않는다. ~~또한 플레이오프 이후 그 주에 바로 결승전을 열지 않은 이유도 결승전 장소인 [[KINTEX]]에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 프레스센터가 가동 중이기 때문이다.~~ 남북정상회담 프레스센터는 제1전시장에서 열렸기 때문에 제2전시장에서 열리는 결승전과는 큰 관계가 없다. 결승전 장소에 [[PlayX4]]가 함께 열리기 때문인지 PlayX4도 결승전 티켓으로 입장할 수 있다고 한다. * 준결승전과 결승전 사이의 기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결승전 진출팀들이 해외 [[오버워치 컨텐더스]] 팀과 평가전을 가진다. [[X6-Gaming/오버워치|X6-Gaming]]은 북미 컨텐더스 4강 진출 팀인 [[퓨전 유니버시티]]와 ([[대한민국 표준시|KST]] 5월 6일 14시), [[O2 Ardeont]]는 중국 컨텐더스 4강 진출 팀인 [[Lucky Future Zenith]]와 (KST 5월 7일 22시) 각각 친선전을 가진다. 승패 관계없이 무조건 4세트까지 진행했다. * '''[[X6-Gaming/오버워치|X6-Gaming]] 3''' : 1 [[퓨전 유니버시티]] [[https://www.twitch.tv/videos/258271578|영상]] * [[O2 Ardeont]] 0 : '''4 [[Lucky Future Zenith]]''' [[https://www.twitch.tv/videos/258703049|영상]] == 둘러보기 == [include(틀:오버워치 지역 리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본선, version=409)][[분류: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