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2>2017 MB,,7,,[* 이하의 궤도 성질은 전부 2017년 9월 4일 기준이다.][*출처1 출처 : [[https://minorplanetcenter.net/db_search/show_object?object_id=2017+MB7|IAU 소행성체 센터 : 2017 MB7]]][*출처2 출처 : [[https://ssd.jpl.nasa.gov/horizons.cgi?find_body=1&body_group=sb&sstr=2017MB7|NASA HORIZONS Web-Interface : 2017 MB7]]]|| ||<:> '''구분'''||원거리 소행성체[br]특이 소행성체(unusual minor planet)[br][[다모클레스#s-4|다모클레스족 천체]][* '''Damocloids'''. 궤도 이심률이 매우 높고 목성에 대한 Tisserand 매개 변수가 2 이하일 경우 다모클레스족으로 분류한다. 여기에 속하는 천체는 일부를 제외하면 특이 소행성체와 특징을 공유하며 대표적인 다모클레스족 천체로는 '''5335 다모클레스(5335 Damocles)''', [[2008 KV42|2008 KV,,42,,]] 등이 있다]|| ||<:> '''크기'''||약 6 km {{{(반사율 0.09 기준)}}}|| ||<:> '''궤도 장반경'''||3,549.25715 [[천문단위]](AU) {{{(태양 중심 기준)}}}[br] 776.1021479 천문단위(AU) {{{(태양계의 질량 중심 기준)}}}|| ||<:>'''근일점'''||4.447 천문단위(AU)|| ||<:>'''원일점'''||7,094.067 천문단위(AU) {{{(태양 중심 기준)}}}[br]1,547.7593114 천문단위(AU) {{{(태양계의 질량 중심 기준)}}}|| ||<:>'''근일점 편각'''||80.46498°|| ||<:>'''승교점 경도'''||58.25502°|| ||<:> '''궤도 경사각'''||55.71379°|| ||<:> '''이심률'''||0.9987471 || ||<:> '''공전주기'''||211,449년 {{{(태양 중심 기준)}}}[br]21,607.5 년 {{{(태양계의 질량 중심 기준)}}}|| ||<:> '''절대 등급'''||14.156|| ||[[파일:2017 MB7 orbit viewer - snapshot small.ver.jpg|width=400]]|| ||2017 MB,,7,,의 궤도와 2019년 4월 1일 기준 위치|| [목차] == 개요 == '''2017 MB,,7,,'''은 2017년 6월 22일 할레아칼라 천문대의 판스타즈 1호('''Pan-STARRS 1''')에서 처음 관측된 [[소행성체]]다. [[지름]]은 [[반사율]] 0.09 기준으로 약 6km다. 2021년 2월 현재 알려진 소행성체 가운데 가장 큰 태양 중심 기준 궤도를 가지고 있다. 궤도의 특이함 때문에 [[6344 P-L]]처럼 한때는 [[혜성]]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토성]]에 상당히 접근하는 궤도를 가지고 있기에 토성에 의해 포획된 [[오르트 구름]] 천체거나 본래 궤도에서 토성에 의해 방출된 켄타우로스 천체일 수 있다. 서기 2400년 경 기준으로 원일점이 2,840 AU, 공전 주기가 약 53,600년으로 늘어날 예정이다.[*출처2] == 관측 역사 == 해당 천체의 총 관측 기간은 2017년 6월 22일 ~ 2017년 12월 13일이다. 33개의 구간별 관측치가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IAU 소행성체 센터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출처1] [[분류:다모클레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