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17 CROWNHAITAI Youth Pro Baduk Tournament }}} [목차] == 개요 ==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의 [[2017년]] 대회를 정리한 [[문서]]이다. == 상세 == * 해설진: * 캐스터: [[문도원]] 三단, [[이다혜]] 四단 * 해설: [[홍민표]] 九단, [[목진석]] 九단 === 예선 === * 방식: 스위스리그(직전 라운드 승자 - 승자, 패자 - 패자끼리 대결) * 통과자 결정: 승수 → 동률일 경우 승자승 → 동률일 경우 총점 → 동률일 경우 마지막라운드 획득점수 → 동률일 경우 동률 기사가 이긴 상대 기사의 총점 합산이 높은 순서 * [[안국현]] 八단과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五단이 예선탈락하여 엄청난 화제가 되었다. ==== 남자부 ==== 24위까지 본선 진출한다. [[파일:crownhaetae201701.jpg]] [[파일:crownhaetae201702.jpg]] ==== 여자부 ==== 6위까지 본선 진출한다. [[파일:crownhaetae2017023jpg.jpg]] === 본선 32강 === * 시드: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신진서]] 八단 * 남자부 예선통과 24인(예선 성적 순서, 괄호 안은 예선 총점[* 총점 이전에 승자승으로 우선진출권을 부여하기때문에 총점이 10점 이상 낮아도 순위가 앞에 나오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송지훈(바둑)|송지훈]] 三단(71점), [[변상일]] 六단(71점)(이상 5승 전승), [[박현수(2000)|박현수]] 初단(73점), [[강승민(1994)|강승민]] 五단(71점), [[신민준]] 六단(74점), [[한태희]] 六단(72점), [[김명훈]] 五단(55점), [[나현(바둑기사)|나 현]] 八단(71점), [[설현준]] 三단(69점), [[이동훈(1998)|이동훈]] 九단(67점), [[한승주(바둑 기사)|한승주]] 四단(72점)(이상 4승 1패), [[김진휘]] 三단(68점), [[최영찬]] 二단(65점), [[이창석(1996)|이창석]] 四단(65점), [[김민호]] 三단(69점), [[박재근]] 二단(68점), 박종훈 二단(66점), [[최현재]] 二단(62점), [[이지현(1992)|이지현]] 六단(73점), [[정서준]] 初단(73점), [[김선기]] 初단(54점), [[박건호]] 二단(69점), [[최재영]] 三단(67점), [[안정기]] 三단(61점)(이상 3승 2패) * 여자부 예선통과 6인: [[최정(바둑기사)|최 정]] 八단(69점)(5승 전승), [[조승아]] 初단(72점),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二단(65점)(이상 4승 1패), [[오정아]] 三단(68점), [[김채영]] 三단(63점), [[권주리(1997)|권주리]] 初단(66점) [[파일:aerfsadf.jpg]] 본선 대진표 ==== 32강전 ==== * 본선은 모두 [[바둑TV]] 스튜디오에서 한다. * 하루에 2판씩 진행하며, 32강전과 16강전은 금, 토, 일요일이다. 1국을 먼저 하고 2국을 1국 종료 직후에 한다.([[한국기원]] 표기 상으로는 20:30) ===== 1주차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1국 || [[나현(바둑기사)|나 현]] 八단 || '''[[신진서]] 八단''' ||<|2> [[이다혜]] 四단 - [[목진석]] 九단 || 220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8x_RKi5reWE|1부]] [[https://www.youtube.com/watch?v=40THb3yhQuY|2부]] || || 2국 || '''[[한태희]] 六단''' || [[최정(바둑기사)|최 정]] 八단 || 219수 끝 흑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ZWlYsT7_1g|1부]] [[https://www.youtube.com/watch?v=3z4Y_x9LH3I|2부]] || ||<-6> [[2017년]] [[12월 8일]] 18:30~ || * 관전포인트 * 개막전인 32강 1국은 '''결승전 대진이라고 해도 믿을''' 신진서 vs 나현의 빅매치. 같은 날 끝난 [[제23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의 예선에서 신진서 八단은 [[조한승]] 九단을 꺾고 본선에 올라왔지만, [[나현(바둑기사)|나현]] 八단은 [[홍성지]] 九단에 막혀 예선탈락의 쓴잔을 마신 상태였다. 하지만 신진서, 나현 모두 전혀 대국을 하지 않았던 것마냥 엄청 잘 두었고, 개막전부터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 신진서가 온갖 신수로 나현을 괴롭혔지만, 나현이 좌상귀 처리를 깨끗하게 하면서 신진서의 시간공격을 버텨내면서 좋은 형세를 만들었다. 신진서는 피셔방식을 통해 쌓아둔 시간으로 형세에 관계없이 전성기 [[이세돌]] 九단처럼 시간이 부족한 나현을 괴롭혔고(속칭 시간공격이라 한다), 시간에 쫓기던 나현이 신진서한테 허망하게 중앙에서 돌이 잡혀버리면서 '''미세하게나마''' 진 걸 확인하고 던졌다. 사실 정말 계가까지 가도 미세한 승부였는데[* [[목진석]] 九단의 계가로는 신진서가 많이 이겨야 2집반 정도 이기는 거였다. 그러니까 중앙 흑 6점만 안 잡혔어도 '''시간공격을 계속 당하면서 버티던''' 나현이 이기는 그림이었던 것.] 어차피 안 뒤집어질 거 알고 던진 것이다. * 32강 2국은 최정과 한태희. 최정이 좌상귀 변화에서 거의 한 수 논(...) 걸 바탕으로 한태희가 우세를 잡았고, 이 우세를 의식하여 방심하다가 우변-중앙-하변 변화에서 대거 실점하면서 형세가 급속히 따라잡혔으나, 다시 정신을 가다듬은 한태희가 상변 패싸움을 통해 팻감이 부족한 최정을 몰아치게 된다. 최정이 팻감이 부족하여 [[패]]를 중앙으로 바꿀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한태희가 냉철한 계가 끝에 좌상귀를 팻감으로 다 잡으러 가는 팻감을 쓰자 최정이 패배를 직감하고 결국 돌을 던지게 되었다.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3국 || '''[[오정아]] 三단''' || [[조승아]] 初단 ||<|2> [[이다혜]] 四단 - [[홍민표]] 九단 || 201수 끝 흑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cGTXwmajDz0|1부]] [[https://www.youtube.com/watch?v=73L8euPYiHU|2부]] || || 4국 || [[최현재]] 二단 || '''[[설현준]] 三단''' || 198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6ek5Y_QnpV8|1부]] [[https://www.youtube.com/watch?v=wLgVRdx7v9M|2부]] || ||<-6> 일시: [[2017년]] [[12월 9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5국 || '''[[박건호]] 二단''' || [[김채영]] 三단 ||<|2> [[문도원]] 三단 - [[목진석]] 九단 || 243수 끝 흑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ZHm65bsncn0|1부]] [[https://www.youtube.com/watch?v=-_tR5TIEXSI|2부]] || || 6국 || [[김명훈(1997)|김명훈]] 五단 || '''[[신민준]] 六단''' || 295수 끝 백2집반승 || [[https://www.youtube.com/watch?v=o6sPEwcl6HU|1부]] [[https://www.youtube.com/watch?v=jzJgTUSoCys|2부]] || ||<-6> 일시: [[2017년]] [[12월 10일]] 18:30~ || ===== 2주차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7국 || [[박재근]] 二단 || '''[[이동훈(1998)|이동훈]] 九단''' ||<|2> [[이다혜]] 四단 - [[홍민표]] 九단 || 202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pGhN2qLI9SI|1부]] [[https://www.youtube.com/watch?v=mK3_XUPyjzA|2부]] || || 8국 || '''[[김진휘]] 三단''' || [[김민호]] 三단 || 209수 끝 흑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Fm0lT33DXfU|전체]] || ||<-6> 일시: [[2017년]] [[12월 15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9국 || '''[[한승주(바둑 기사)|한승주]] 四단''' || [[최재영]] 三단 ||<|2> [[이다혜]] 四단 - [[홍민표]] 九단 || 179수 끝 흑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xEQZOfmXZgg|1부]] [[https://www.youtube.com/watch?v=nZPCuLsdcVg|2부]] || || 10국 || '''[[송지훈(바둑)|송지훈]] 三단''' || [[이지현(1992)|이지현]] 六단 || 243수 끝 흑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cRktPKXVqgc|1부]] [[https://www.youtube.com/watch?v=m-fDpFVDcUo|2부]] || ||<-6> 일시: [[2017년]] [[12월 16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11국 || [[이창석(1996)|이창석]] 四단 ||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二단''' ||<|2> [[이다혜]] 四단 - [[홍민표]] 九단 || 226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_n-xr20Kv90|1부]] [[https://www.youtube.com/watch?v=CzLbm0By6Po|2부]] || || 12국 || [[정서준]] 初단 || '''[[박현수(2000)|박현수]] 初단''' || 220수 백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SuUrczSO9e8|전체]] || ||<-6> 일시: [[2017년]] [[12월 17일]] 18:30~ || * 원래 변상일-김선기가 11국, 이창석-김다영이 13국이었으나, 대국 일정이 변경되었다. * 11국에서 2017 크라운해태배 최대 이변이 나왔다! [[2017년]] [[한국바둑리그]]의 [[태풍]]의 눈인 퓨처스라고 도저히 못믿을[* [[이창석(1996)|이창석]]의 2017 [[한국바둑리그]] 9승 5패, 이창석 팀 주장인 [[이동훈(1998)|이동훈]]이 9승 6패였다. 퓨처스가 주장보다 성적이 좋았단 것!] 이창석을 [[여자기성전]] 우승자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이 꺾었다! 랭킹은 이창석 51위 vs 김다영 154위로 100계단 이상 차이났는데! ===== 3주차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13국 || [[김선기]] 初단 || '''[[변상일]] 六단''' ||<|2> [[문도원]] 三단 - [[목진석]] 九단 || 198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G3sg99p2pUg|전체]] || || 14국 || [[최영찬]] 二단 || '''박종훈 二단''' || 248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3dRdTS4Ywdo|1부]][[https://www.youtube.com/watch?v=Pg0HQBwbX2Q|2부]] || ||<-6> 일시: [[2017년]] [[12월 22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15국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권주리(1997)|권주리]] 初단 ||<|2> [[문도원]] 三단 - [[목진석]] 九단 || 191수 끝 흑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jDQnJHfGKjU|전체]] || || 16국 || [[안정기]] 三단 || '''[[강승민(1994)|강승민]] 五단''' || 180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zcpWjbs0HK0|전체]] || ||<-6> 일시: [[2017년]] [[12월 23일]] 18:30~ ||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이 승리한다면, 바로 다음날인 [[12월 24일]]에 16강전을 치를 가능성이 높다. [[몽백합배]] 결승 일정으로 [[12월 29일]] 출국이기 때문이다. 결국 [[2017년]] [[12월 24일]]에 연속 대국을 하게 됐다. * [[바둑 갤러리]]에서는 15국 박정환-권주리 전을 '''2017 최고의 [[떡밥]] 대국'''이라며 시선집중 급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실 박정환과 권주리는 호선에 안 되고 최소 석점은 놔야 할 치수라서, 지도기 아니냐는 시각부터 박정환의 시간패(...)를 전망하는 의견까지 쏟아지는 중. ==== 16강전 ==== ===== 1주차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1국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박건호]] 二단 ||<|2> [[문도원]] 三단 - [[홍민표]] 九단 || 203수 흑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WeRVnDSaKS0|전체]] || || 2국 || '''[[신진서]] 八단''' || 박종훈 二단 || 153수 흑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WYmcp5DCfpA|전체]] || ||<-6> 일시: [[2017년]] [[12월 24일]] 18:30~ || * 이변은 없었다. 예상되었던 그대로 1주차가 지나갔다. ===== 2주차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3국 || '''[[이동훈(1998)|이동훈]] 九단''' || [[오정아]] 三단 ||<|2> [[문도원]] 三단-[[홍민표]] 九단 || 187수 끝 흑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aEBFps-PeGQ|전체]] || || 4국 || [[한태희]] 六단 || '''[[설현준]] 三단''' || 261수 끝 백반집승 || [[https://www.youtube.com/watch?v=mAwPS9Dshv0|1부]] [[https://www.youtube.com/watch?v=D4BfjlCFNIc|2부]] || ||<-6> 일시: [[2017년]] [[12월 29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5국 ||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三단 || '''[[송지훈(바둑)|송지훈]] 三단''' ||<|2> [[문도원]] 三단 - [[목진석]] 九단 || 140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x9hdH1JsweI|전체]] || || 6국 || [[한승주(바둑 기사)|한승주]] 四단 || '''[[변상일]] 六단''' || 244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qz49p_QNCcY|전체]] || ||<-6> 일시: [[2017년]] [[12월 30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7국 || [[신민준]] 六단 || '''[[강승민(1994)|강승민]] 五단''' ||<|2> [[문도원]] 三단-[[목진석]] 九단 || 188수 끝 백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PXphi4MakB8|전체]] || || 8국 || [[김진휘]] 三단 || '''[[박현수(2000)|박현수]] 初단''' || 249수 끝 백8집반승 || [[https://www.youtube.com/watch?v=76KeL_tx2yA|전체]] || ||<-6> 일시: [[2017년]] [[12월 31일]] 18:30~ || * 16강 3국은 [[오정아]] 三단이 초반에 확실하게 우세를 확립하여 '''[[2017년]] 바둑 최대 이변'''을 낳는가 했지만, 오정아의 욕심 한 방에 이동훈이 버티면서 역전패를 당했다. * 16강 8국은 '''[[2017년]] 마지막 대국이다'''. 그리고 이 [[2017년]] 세계 바둑 마지막 대국이 그야말로 [[블록버스터]] [[영화]]를 찍고야 만다.(...) 이 대국에서 승리한 박현수 初단은 순식간에 [[다크호스]]로 급부상했다. 하지만 8강 상대가 강승민이라 이기기 힘들 듯. * 16강을 거치면서 [[여자]] [[바둑기사]]는 전멸했다. ==== 8강전 ==== 여기서부터는 토, 일요일에 시행하며, 또한 [[2018년]]에 실시된다. 그리고 하루에 한 판씩 시행된다. ===== 1주차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1국 || 이동훈 九단 || '''[[신진서]] 八단''' || [[이다혜]] 四단 - [[목진석]] 九단 || 196수 백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NLH8zhTIJ50|전체]] || ||<-6> 일시: [[2018년]] [[1월 6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2국 || [[설현준]] 三단 || '''[[송지훈(바둑)|송지훈]] 三단''' || [[문도원]] 三단 - [[홍민표]] 九단 || 212수 백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JfYVZt1h1-0|전체]] || ||<-6> 일시: [[2018년]] [[1월 7일]] 18:30~ || ===== 2주차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3국 || [[변상일]] 六단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이다혜]] 四단 - [[홍민표]] 九단 || 120수 백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32Edki8kjmU|전체]] || ||<-6> 일시: [[2018년]] [[1월 13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4국 || '''[[강승민(1994)|강승민]] 五단''' || [[박현수(2000)|박현수]] 二단 || [[문도원]] 三단 - [[목진석]] 九단 || 147수 흑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D4IOBOoJVXw|전체]] || ||<-6> 일시: [[2018년]] [[1월 14일]] 18:30~ || * 3국은 단 1시간 밖에 걸리지 않은 단명국이었다. ==== 준결승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1국 || [[강승민(1994)|강승민]] 五단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이다혜]] 四단 - [[홍민표]] 九단 || 126수 백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Z88Cr39cKwI|전체]] || ||<-6> 일시: [[2018년]] [[1월 21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2국 || '''[[신진서]] 八단''' || [[송지훈(바둑)|송지훈]] 三단 || [[문도원]] 三단 - [[목진석]] 九단 || 161수 흑 불계승 || [[https://m.youtube.com/watch?v=reez2_Zc4zs|전체]] || ||<-6> 일시: [[2018년]] [[1월 28일]] 18:30~ || --신진서 八단 - 송지훈 三단 중계광고에서 송지훈 쪽에서 결승[[가즈아]] 시전했다(...)-- --결국 [[가즈아]] 시전한 자체가 저주가 되는 느낌이다(...)--[* 정치적인 쪽에서는 시전한 쪽이 국민의당이었는데 그 당은 분당(바른미래 vs 민주평화)을 당하는 신세가 되었고, 가상화폐 쪽에서는 장밋빛 인생이 실현될 것처럼 보이는 화폐체계였으나 현실은 --떡락--버블 붕괴(...)라는 사태가 초래하였으며 ....] --[[가즈아]][[작은 하마 이야기|를 함부로 시전하지 말자]](...)-- ==== 결승 3번기 ==== 진출자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신진서]] 八단 한국의 1인자 vs 믿음직한 기둥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1국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신진서]] 八단 || [[이다혜]] 四단 - [[홍민표]] 九단 || 213수 흑 불계승 ||<(> [[https://youtube.com/watch?t=14s&v=guOSQIx0NeU|전체]] || ||<-6> 일시: [[2018년]] [[2월 3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2국 || '''[[신진서]] 八단'''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문도원]] 三단 - [[목진석]] 九단 || 203수 흑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e8KPxt5h7us|1부]] [[https://www.youtube.com/watch?v=XkLkwBJpuQg|2부]] || ||<-6> 일시: [[2018년]] [[2월 10일]] 18:30~ || || 대국구분 || 흑 || 백 || 해설진 || 결과 || 다시보기 링크 || || 3국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신진서]] 八단 || [[이다혜]] 四단 - [[목진석]] 九단 || 135수 흑 불계승 || [[https://www.youtube.com/watch?v=w7_SroGQBS4&t=12s|1부]] || ||<-6> 일시: [[2018년]] [[2월 11일]] 18:30~ || == 대회 결과 == 박정환의 우승으로 첫 대회가 막을 내렸다. [[분류: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