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주요선거)] ||<-5> {{{#ffffff {{{+1 '''2016년 재보궐선거'''}}}}}} || ||<-5> {{{#!wiki style="margin: -0px -11.7px -5px" {{{#!wiki style="margin-top: -6px; margin-bottom: -8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5년]] [[10월 28일]]}}}}}}[[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6년]] [[4월 13일]]}}}}}}'''2016년 재보궐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7년]] [[4월 12일]]}}}}}}[[2017년 4월 재보궐선거]] || }}}}}} || ||<-5> {{{#ffffff '''선거 결과'''}}} || ||<-2> '''정당''' || {{{#!wiki style="margin: 0 -10px" '''기초단체장'''}}} || '''광역의원''' || '''기초의원''' ||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석''' || '''9석''' || '''11석''' ||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석 || 6석 || 8석 || ||<-2>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석 || 2석 || 4석 || ||<-2> [include(틀:정의당)] || - || 0석 || 1석 || ||<-2> [include(틀:무소속)] || 1석 || 0석 || 2석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6년 재보궐선거는 [[2016년]] [[4월 13일]]에 치러진 [[재보궐선거]]이다. 재보궐선거를 연 1회 시행하기로 공직선거법이 2015년 7월 개정된 후 첫 재보궐선거이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와 같은 날 치러졌다. == 선거지역 == 당선무효는 [[공직선거법]], [[정치자금법]] 위반 등으로 당선이 무효된 것을 뜻하며, 피선거권 상실은 선거 외의 범죄 때문에 선거에서 뽑힐 자격이 박탈되었음을 뜻함. ||<:><-4> '''2016년 [[재보궐선거]] 선거구''' || ||<|8><:> 기초단체장 ||<|2><:> [[경기도]] ||<:> [[양주시]]장 || 새누리당 [[현삼식]] 당선무효 || ||<:> [[구리시]]장 || 더불어민주당 [[박영순(1948)|박영순]] 당선무효 || ||<:> [[충청북도]] ||<:> [[진천군]]수 || 더불어민주당 [[유영훈]] 당선무효 || ||<:> [[광주광역시]] ||<:> [[동구(광주)|동구]]청장 || 더불어민주당 [[노희용]] 당선무효 || ||<:> [[전라북도]] ||<:> [[익산시]]장 || 무소속 [[박경철(정치인)|박경철]] 당선무효 || ||<:> [[대구광역시]] ||<:> [[달서구청장]] || 새누리당 [[곽대훈]] 사직 || ||<|2><:> [[경상남도]] ||<:> [[김해시]]장 || 더불어민주당 [[김맹곤]] 당선무효 || ||<:> [[거창군]]수 || 새누리당 [[이홍기(정치인)|이홍기]] 당선무효 || ||<|17><:> 광역의회의원 ||<|2><:> [[서울특별시]] ||<:>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제2선거구 || 무소속 [[김형식]] 피선거권 상실[* 이유는 아시다시피 [[강서구 재력가 살인 사건]] 때문이었다.] || ||<:>[[관악구]] 제3선거구 || 무소속 [[이행자]] 사직 || ||<:> [[인천광역시]] ||<:> [[계양구]] 제1선거구 || 무소속 [[이도형(정치인)|이도형]] 사직 || ||<|7><:> [[경기도]] ||<:> [[수원시]] 제5선거구 || 새누리당 [[이승철(1957)|이승철]] 사직 || ||<:>[[성남시]] 제4선거구 || 무소속 [[윤은숙]] 사직 || ||<:>[[성남시]] 제7선거구 || 새누리당 이태호 사직 || ||<:>[[안양시]] 제2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사직 || ||<:>[[양주시]] 제2선거구 || 새누리당 [[홍범표]] 사직 || ||<:>[[화성시]] 제3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사직 || ||<:>[[군포시]] 제1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김도헌]] 사직 || ||<|2><:> [[전라북도]] ||<:> [[전주시]] 제2선거구 || 무소속 [[김광수(1958)|김광수]] 사직 || ||<:>[[익산시]] 제4선거구 || 무소속 [[김연근]] 사직 || ||<|2><:> [[대구광역시]] ||<:> [[수성구]] 제1선거구 || 새누리당 [[정순천]] 사직 || ||<:>[[달서구]] 제5선거구 || 새누리당 [[김원구(정치인)|김원구]] 사직 || ||<:> [[경상북도]] ||<:> [[구미시]] 제3선거구 || 새누리당 [[구자근]] 사직 || ||<:> [[경상남도]] ||<:> [[양산시]] 제3선거구 || 새누리당 [[박인]] 사직 || ||<:> [[제주특별자치도]] ||<:> 제22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사직 || ||<|26><:> 기초의회의원 ||<|5><:> [[서울특별시]] ||<:> [[중구(서울)|중구]] 가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김영선 사망(2015.10.12) || ||<:> [[동대문구]] 마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김명곤 당선무효 || ||<:> [[서대문구]] 마선거구 || 새누리당 이기돈 피선거권 상실 || ||<:> [[관악구]] 나선거구 || 새누리당 임창빈 사직 || ||<:> [[강남구]] 아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윤선근 당선무효 || ||<:> [[인천광역시]] ||<:> [[남동구]] 라선거구 || 새누리당 임동희 퇴직 || ||<|4><:> [[경기도]] ||<:> [[부천시]] 바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김정기(1967)|김정기]] 사직 || ||<:> [[고양시]] 나선거구 || 새누리당 [[권순영(1966)|권순영]] 사직 || ||<:> [[이천시]] 가선거구 || 새누리당 한영순 사직 || ||<:> [[김포시]] 라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정하영]] 사직 || ||<:> [[충청북도]] ||<:> [[옥천군]] 라선거구 || 무소속 문병관 당선무효 || ||<|3><:> [[충청남도]] ||<:> [[아산시]] 나선거구 || 새누리당 김진구 당선무효[*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은 이후 부의장직과 의원직을 함께 사직, 보궐선거 사유 발생 후 재선거 발생 시 당해 선거는 재선거로 본다.] || ||<:> [[논산시]] 라선거구 || 새누리당 문갑래 당선무효 || ||<:> [[당진시]] 가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맹붕재 당선무효 || ||<:> [[전라북도]] ||<:> [[전주시]] 라선거구 || 국민의당 [[이도영(1978)|이도영]] 사직 || ||<|2><:> [[전라남도]] ||<:> [[여수시]] 라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장광진 당선무효 || ||<:> [[고흥군]] 나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김재열 사직 || ||<:> [[대구광역시]] ||<:> [[동구(대구)|동구]] 다선거구 || 새누리당 김종태 사직 || ||<:> [[경상북도]] ||<:> [[성주군]] 가선거구 || 새누리당 이성재 사망(2015.12.28) || ||<|3><:> [[부산광역시]] ||<:> [[해운대구]] 가선거구 || 새누리당 한병철 사직 || ||<:> [[사하구]] 라선거구 || 새누리당 [[배관구]] 사직 || ||<:> [[연제구]] 다선거구 || 새누리당 이헌조 당선무효 || ||<|4><:> [[경상남도]] ||<:> [[창원시]] 나선거구 || 무소속 [[김성일(1945)|김성일]] 피선거권 상실[* [[안상수(창원)|안상수]] 창원시장에게 달걀 던진 그 의원 맞다. 하지만 달걀 던진 것으로 인해 공무집행방해와 상해혐의로 기소되어 의원직을 잃게 된다.] || ||<:> [[진주시]] 다선거구 || 새누리당 심현보 사직[* 당선무효형 확정 전 의장직과 의원직을 함께 사직 이후 당선무효 확정으로 보궐선거 사유 발생 후 재선거 발생 시 당해 선거는 재선거로 본다.] || ||<:> [[김해시]] 라선거구 || 새누리당 전명현 당선무효 || ||<:> [[양산시]] 가선거구 || 무소속 박말태 당선무효 || == 진행상황 == === 김해시장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해 갑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가 뇌물 수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한 적이 있는 [[김맹곤]] 김해시장이 '''또''' 뇌물 수수 혐의로 [[역사는 반복된다|김해시장직을 상실]]하면서 치러지게 된 선거다. [[새누리당]]은 김성우 후보가, [[더불어민주당]]은 [[허성곤]] 후보가,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이유갑 후보가, [[정의당]]은 허영조 후보가, 무소속으로는 이영철, [[허점도]] 후보가 각각 출마 선언했다. 이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은 [[http://www.gimha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309|상호정책연대를 선언]]하며 후보 등록 직전 민주당의 허성곤 후보로 단일화하였다. 국민의당 이유갑 후보는 당 차원에서 단일화 논의를 원천적으로 봉쇄한 데 대해, 후보로서 경쟁력에 한계가 있다며 3월 31일 [[http://www.nocutnews.co.kr/news/4571389|중도 사퇴의사]]를 밝혔다. 특정 후보로의 지지의사는 밝히지 않았다. 결국 김성우, 허성곤, 이영철, 허점도 후보의 4파전이 진행되었는데, 선거 결과 민주당 허성곤 후보가 새누리당 김성우 후보를 누르고 [[김해시]]장에 당선되었다. 무소속 후보 두 명은 유의미한 득표를 하진 못했다. 여담으로 김해시 라선거구는 이번 선거로 인해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비례대표) 각 1장, 김해시장 1장, 김해시의원 1장으로 투표지를 4장씩이나 거머쥐게 되었다.[* 이 밖에 4장씩이나 거머쥔 선거구는 대구 달서구 제5선거구, 경기 양주시 제2선거구, 전북 익산시 제4선거구, 전주시 라선거구가 있다. 전북 전주시 라선거구는 광역의원과 기초의원이고, 나머지는 기초자치단체장과 광역의원이다.] == [[2016년 재보궐선거/개표|선거 결과]]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문단의 내용, rd1=2016년 재보궐선거/개표)] 정권 심판론과 맞물려 [[20대 총선]]은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참패로 끝이 났는데, 이 재보궐선거도 같은 날 동시에 치러져 결과는 불보듯 뻔했다. 통상적으로 재보선은 '여당의 무덤'이라 불리며 정권 심판의 역할을 톡톡히 해왔는데, [[박근혜 정부]]에서 치러진 재보선은 여당에 유리한 지역구가 많은 것도 있었지만[* 사실 재보선은 젊은층 투표율에 낮아서 노년층 지지가 높은 보수층이 원래 유리한 편이다.] 그래도 꾸준히 여당 새누리당이 승리해왔기 때문에 이번 선거 결과는 한층 더 충격적이었다. [[분류:재보궐선거]][[분류:박근혜 정부]][[분류:2016년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