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아르메니아의 대외전쟁)] [include(틀:아제르바이잔의 대외전쟁)] ||<-4> '''{{{#ffffff {{{+1 2016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충돌[br]4일 전쟁 / 4월 전쟁}}}[br][[아제르바이잔어|{{{#ffffff Dördgünlük müharibə}}}]] [br] [[아르메니아어|{{{#ffffff Քառօրյա պատերազմ}}}]][br] 2016 Nagorno-Karabakh conflict}}}''' || ||<-4> [[파일:2016_Armenian_rocket_launcher.jpg|width=100%]][br] ▲ 발사되는 아르메니아군의 다연장로켓 || ||<-4> '''{{{#fff 기간}}}''' || ||<-4> 2016년 4월 1일 ~ 4월 5일 || ||<-4> '''{{{#fff 원인}}}''' || ||<-4>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 ||<-4> '''{{{#fff 장소}}}''' || ||<-4> [[나고르노카라바흐]]([[아르차흐]]) || ||<-4> '''{{{#fff 교전국 및 교전세력}}}''' || ||<^|1><-2>'''[include(틀:국기, 국명=아르메니아)]''' [br]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차흐 공화국)]''' [*미승인국] ||<^|1><-2>'''[include(틀:국기, 국명=아제르바이잔)]''' || ||<-4> '''{{{#fff 지휘관}}}''' || ||<^|1><-2>[[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23]] '''[[세르지 사르키샨]]'''[br][[파일:아르차흐 공화국 국기.svg|width=23]] '''[[바코 사하캰]]''' ||<^|1><-2>[[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23]] '''[[일함 알리예프]]''' [br]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23]] [[자키르 해새노프]] || ||<-4> '''{{{#fff 병력}}}''' || ||<-2> [[아르메니아군]][br][[아르차흐 방위군]] ||<-2> [[아제르바이잔군]] || ||<-4> '''{{{#fff 결과}}}''' || ||<-4> '''양측의 승리 주장'''[* 아제르바이잔이 1994년 이후 나고르노카라바흐에 대한 영토를 다소 탈환, 아르메니아는 아제르바이잔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고 주장] || ||<-4> '''{{{#fff 피해규모}}}''' || ||<-2>아르메니아 주장 91명 사망,123명 부상 [br] 아제르바이잔 주장 560명 사망, 561명 부상||<-2>아제르바이잔 주장 31~94명 사망, 39명 부상[br]아르메니아 주장 300~1500명 사망, 2000~2700명 부상|| [목차] [clearfix] == 개요 ==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5일까지 4일간 [[아르메니아]], [[아르차흐 공화국]]과 [[아제르바이잔]]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4월 전쟁이라고도 한다. == 배경 == 1994년 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에서 아르메니아가 승리한 이후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 사실상 아르메니아의 점령지([[아르차흐]])가 설립되었고, 아제르바이잔은 이를 불인정하여 계속 반환을 요구했다. 아르메이나는 이를 거부했고, 결국 양측은 이후에도 국경지대에서 산발적인 교전을 계속 해왔는데, 그 수는 약 7000건이 넘었다. 2009년 나고르노카라바흐의 평화를 위해 [[마드리드]]에서 OSCE 민스크 그룹이 제시한 [[https://en.wikipedia.org/wiki/Madrid_Principles|마드리드 원칙]]이 성립됐지만, 양측 모두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 결국 2015년~2016년 아제르바이잔 유가폭락으로 경제가 안좋아지자, 아제르바이잔은 본격적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무력 탈환하기 위한 준비에 나섰다. 튀르키예와의 협력으로 각종 무기를 축적하고 군사력을 정비했으며, 일함 알리예프는 2016년 공개적으로 민스크 그룹과 아르메니아의 도발을 비난했다. == 전개 == 그간의 산발적인 교전에서 벗어나 이번에는 정말 본격적으로 준비한 듯한 대대적인 아제르바이잔의 공세가 있었다. 4월 1일 밤과 4월 2일 새벽에 아제르바이잔이 대규모 전면전을 감행했으며, 아르메니아 국방부는 예비군을 소집하고 반격에 나섰다. 양측의 포격으로 주요 지점이 파괴되었고, 4월 4일 아제르바이잔 국방부는 아르메니아 지휘 통제센터가 폭파되는 영상을 공개했다. 아르차흐 방위군은 이스라엘제 드론을 격추했는데, 아르메니아는 이스라엘이 아제르바이잔에 무기를 공급한다며 항의했다. [[러시아]]의 중재로 4월 5일 모스크바에서 양측의 휴전 협정이 열려 짧은 전쟁이 끝났으나 이후에도 산발적인 교전이 계속 되었다. == 이후 == 아제르바이잔은 1994년 뺏겼던 땅의 일부분을 탈환하는데 성공했다. 비록 작은 마을이었지만, 이는 아제르바이잔에 중요한 승리로 선전되었다. 이 전쟁은 아제르바이잔이 전체적으로 아르메니아군의 능력을 테스트해본 느낌이 강한 충돌이었다. 러시아의 중재로 전쟁을 끝마쳤지만,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무력탈환하려는 아제르바이잔은 [[튀르키예]], [[이스라엘]]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결국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을 승리로 이끈다. 그 뒤에도 국경분쟁이 벌어지다가 [[2023년 아르차흐 분쟁]]을 통해 [[아르차흐 공화국]]은 사라지고 아제르바이잔에게 통합되었다. [[분류:2016년/사건사고]][[분류: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분류:영토 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