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2015~2016 야권발 정계개편]]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2015년 야권발 정계개편, version=630)] || '''날짜''' <|2> || '''의뢰''' <|2> || '''실시지역''' <|2> || '''조사업체''' <|2> || 야권신당 || 새정치민주연합 || 비고 || || || || || || 2015년 7월 14일 || 새정치연합 전남도당 || 전남 || 모노리서치 || '''44.2''' || 29.5 || || || 2015년 7월 17일 || 서울신문 || 호남 ||- || '''30.2''' || 21.7 || || || 2015년 8월 1일 || 한길리서치 || 호남 || 한길리서치 || '''30.3''' || 13.5 || || || 2015년 8월 15일 || 목포MBC || 호남 ||코리아리서치|| 17.6 || '''43.1''' ||[* 완전히 수치가 반대로 뒤집혔는데, 목포MBC는 이 같은 역전을 신당이 구체화되지 않은 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했다.]|| || 2015년 9월 9일 || 리얼미터 ||호남||리얼미터|| '''28.9''' || 21.1 ||[*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049236 참조] || || 2015년 9월 24일 || SBS ||'''전국'''||TNS|| 10.6 || '''22.9'''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191745&plink=ORI&cooper=DAUM|기사]] || || 2015년 9월 24일 || SBS ||호남||TNS|| 16.0 || '''39.1'''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191745&plink=ORI&cooper=DAUM|기사]] || || 2015년 9월 30일 || 리얼미터 ||호남||리얼미터|| 20.9 (기타정당 포함)|| '''29.5''' ||[*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049236 참조] || || 2015년 10월 3일 || 리얼미터 ||'''전국'''||리얼미터|| 3.7 || '''29.9''' || || || 2015년 10월 20일 || 문화일보 ||'''전국'''||엠브레인|| 11.0 || '''18.3''' ||[* 40대 이상만 조사대상] || || 2015년 10월 20일 || 문화일보 ||호남||엠브레인|| 21.1 || '''30.1''' ||[* 40대 이상만 조사대상] || || 2015년 11월 16일 || 광주타임즈 ||전남||리얼미터|| 12.2 || '''49.6''' ||[* 전남 6개 다선의원 지역구 총 4000명 대상]|| || 2015년 11월 18일 || 전북도민일보 ||전북||코리아리서치|| 26.2 || '''36.9''' || || || 2015년 12월 9일 || 순천투데이 ||순천||전남리서치연구소|| 12.4 || '''44.6''' || [* 곡성 제외] || 4.29 재보선 직후 [[새정치민주연합]] 자체 결과로 알려진 여론조사이다. 공식 공표된 바는 없다. '''전북''' : 새정치연합후보 '25%' VS 신당후보 '35%' VS 인물을 보고 27% [* 새정치연합 전북도당 의뢰, 공식 공표되지 않음, 2015년 6월 22일 실시,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046|기사]]] '''전남''' : 새정치 '29.5%' VS 야권 성향 새 정당 '44.2%' [* 새정치연합 전남도당 의뢰, 모노리서치 조사, 2015년 7월 10~12일 실시, [[http://www.cnn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671|기사]]] 그러나 전북도당 자체조사의 경우 신당지지를 유도하도록 설계된 설문구조(새정치민주연합의 문제점에 대한 질문들을 제시한 후에 신당 지지 여부를 질문했다.)로 인해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논란이 일었고 조사주체인 전북도당의 유성엽 위원장도 설문조사에 문제가 있었음을 시인했다.[[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554825|기사]] 이와 유사하게, 노컷뉴스의 여론조사 결과 '천정배 의원의 야권 재편'에 대해 긍정적 의견이 48%로 절반에 육박했다. [* [[http://www.nocutnews.co.kr/news/4442681|기사]], 2015년 7월 11일 ~ 12일 실시] 공표된 전남 지역 여론조사는 목포MBC 여론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797443|기사]]([[https://www.youtube.com/watch?v=8-0kGckUOY0|동영상]])에 다시 인용된다. 목포MBC보다 앞서 실시된 [[http://www.kna24.com/sub_read.html?uid=876§ion=sc1|한길리서치의 여론조사]](2015년 7월 31일 ~ 8월 1일)에서는 야권신당의 지지율이 15.7%로 새정치연합의 15.1%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호남 지역에서는 비노성향 신당 30.3%로 새정치민주연합 13.5%를 두 배 이상으로 앞서는 결과가 나왔다. [* 다만, 여타의 공표된 여론조사와는 다르게 48.6%에 달하는 수치가 새누리당을 포함한 3당 바깥에 해당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디에 해당하는지 명시하지 않았고, 그 수치가 커서 논란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9월 데일리한국의 [[http://daily.hankooki.com/lpage/politics/201509/dh20150914160502137470.htm|여론조사 결과]]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자의 약 60%가 신당 창당에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무당파 역시 신당 반대 의견이 우세했고 심지어 야권신당 창당 시 반사 이익을 얻게 될 새누리당 지지자들마저도 근소한 차이이지만 반대가 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 이것이 이뤄진 게 없는 정개개편론에 대해 국민들의 피로감이 누적된 결과인지, 신당 자체에 대한 반감인지 알기 위해서는 현재까지의 여론조사로는 부족하고, 표적집단분석과 같은 추가 조사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9월 리얼미터의 [[20대 총선|2016년 총선]] 지지 의향을 묻는 조사에 따르면 [[새누리당]] 37.1%, [[새정치민주연합]] 29.9%, [[정의당]] 4.8%, [[야권신당]] 3.7%로 나타났다. [* 새정치연합 지지층의 경우 새누리당 후보를 선출하겠다는 비율은 2.6%, 새정치연합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비율은 81.3%, 야권신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비율이 새누리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비율보다 낮은 2%로 조사됐다.] [* http://media.daum.net/v/20151003110112492] 반면 10월 문화일보의 [[https://www.nesdc.go.kr/result/201511/FILE_201510290239020090.pdf.htm|(40대 이상만을 대상으로 하는)중앙선관위 공심위에 등재된 여론조사 결과 ]] [[야권신당]]의 전국 지지율은 '''11.0%'''로, 18.3%를 기록한 [[새정치민주연합]]과 같은 10%선에서 어깨를 나란히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인천, 광주·전라, 강원·제주 지역에서 파괴력이 큰것으로 나타났다. [*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의 20% 가량이 신당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16일에 광주 전남지역 언론사 중 한곳인 [[http://gjtnews.com/article.php?aid=144764017170047058|광주타임즈가 리얼미터에 의뢰한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지지율이 49.6%로 신당에 대한 지지율 12.2% 보다 4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전라남도의 다선의원 선거구 단위로 6곳(목포시, 여수시 갑/을 각각, 광양시-구례군, 무안군-신안군, 해남군-완도군-진도군 선거구) 을 조사하였다.[* 전남의 초선 선거구는 제외되었다. 그리고 순천시-곡성군이 빠진 이유는 새누리당 지역구이기 때문.] 이 설문조사에 관한 정보는 [[https://www.nesdc.go.kr/portal/bbs/B0000005/view.do?nttId=993&menuNo=200467|중앙선관위 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를 참고. 18일 전북도민일보에서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한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8452|여론조사 결과]] [[전북|전북지역]]의 신당 지지율은 26.2%로 나타났는데, 남성의 경우 33.5%가 신당을 지지하겠다고 응답(새정치연합 지지 33.0%)했고, 여성의 경우 신당을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19.1%(새정치연합 지지 40.7%)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부권(27.7%)과 전주권(26.6%)의 신당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동부권(20.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https://www.nesdc.go.kr/result/201511/FILE_201511180814194411.pdf.htm|중앙선관위 공심위에 등재된 여론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