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5 개정 교육과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5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이 계승한 2009 개정 교육과정, rd1=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고전)] [include(틀: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목차] == 개요 ==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의 진로 선택 과목으로, 보통 학교에서는 고등학교 2~3학년때 배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처럼 명시하고 있다. > 다양하고 심층적인 국어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통합적인 국어 역량을 갖추고, 국어 활동의 개선과 바람직한 국어문화 형성에 이바지한다. == 고전 읽기 == === 고전의 가치 === * 고전의 특성, 고전 읽기의 중요성 * 고전의 특성을 이해하고 고전 읽기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 고전의 수용 === * 분야별 고전, 고전의 시대・지역・문화 요인, 자아와 세계의 이해, 고전의 재해석과 평가, 고전과 교양 * 인문・예술, 사회・문화, 과학・기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고전을 균형 있게 읽는다. * 시대, 지역, 문화 요인을 고려하며 고전에 담긴 지혜와 통찰을 바탕으로 자아와 세계를 이해한다. * 현대 사회의 맥락을 고려하여 고전을 재해석하고 고전의 가치를 주체적으로 평가한다. * 고전을 통해 알게 된 사실과 깨닫게 된 점을 바탕으로 삶의 다양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교양을 함양한다. === 고전과 국어 능력 === * 국어 고전의 글쓰기 전략, 국어 고전의 표현 방법, 통합적 국어 활동 * 국어 고전에 나타난 글쓰기 전략과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다. * 고전을 읽고 공동의 관심사나 현대 사회에 유효한 문제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국어 활동을 수행한다. === 고전과 삶 === * 고전 읽기의 생활화(바람직한 삶, 인성 함양) * 고전 읽기의 생활화를 통해 바람직한 삶에 대해 탐구하고 인성을 함양한다. == 특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있었던 '고전' 과목을 계승하고 교과서를 발간하지 않아 선생님들이 형식을 자유롭게 편성할 수 있다. * 수업 예시로는 담당교사가 정한 책 한권을 모둠별로 읽는 토의 수업, 교사가 정한 한 주제를 가지고 다양한 문학작품을 배우는 경우도 있다. * 대부분 고등학교 2, 3학년에 개설되며 3학년의 경우 수능특강 또는 수능완성 교재의 문학 지문으로 진도를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