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축구|{{{#ffffff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 || 조별리그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축구/조별리그 A조~D조|A조~D조]]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축구/조별리그 E조~H조|E조~H조]] || || 결선 토너먼트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축구/16강|16강]]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축구/8강~결승|8강~결승]] ||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축구]]의 조별리그의 진행 상황 중, E조~H조에 대해 정리하는 페이지. [목차] == E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태국'''}}}]] || 3 || 3 || 0 || 0 || 11 || 0 || '''+11''' || '''9''' || || || '''2'''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인도네시아'''}}}]] || 3 || 2 || 0 || 1 || 11 || 6 || '''+5''' || '''6''' || || || '''3'''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30]] || [[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몰디브'''}}}]] || 3 || 1 || 0 || 2 || 3 || 7 || '''-4''' || '''3''' || || || '''4'''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30]] ||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동티모르'''}}}]] || 3 || 0 || 0 || 3 || 2 || 14 || '''-12''' || '''0''' || || ||<-12> {{{#8E8,#098004 '''■'''}}} 16강 진출 | {{{#FBB,#800000 '''■'''}}} 탈락 || === 1경기: 동티모르 0 : 7 인도네시아 === || 경기장 ||<-2> [[고양종합운동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15일 17:00 || || 국가 || 동티모르 || '''인도네시아''' || || 득점 || 0 || '''7''' || || 득점자 || - || 페르디난 알프레드 (7') [br] 페르디난 알프레드 (11') [br] 페르디난 알프레드(36') [br] 알핀 투아살라모니 (78') [br] 노브리 세티아완 (82') [br] 페르디난 알프레드 (84') [br] 판디 우토모 (87') || === 2경기: 태국 2 : 0 몰디브 === || 경기장 ||<-2> [[고양종합운동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15일 20:00 || || 국가 || '''태국''' || 몰디브 || || 득점 || '''2''' || 0 || || 득점자 || 나루바딘 웨라와트노돔 (50') [br] 아디사크 크라이소른 (85') || - || === 3경기: 몰디브 0 : 4 인도네시아 === || 경기장 ||<-2>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18일 14:00 || || 국가 || 몰디브 || '''인도네시아''' || || 득점 || 0 || '''4''' || || 득점자 || - || 리즈키 레스탈루후 (13') [br] 페르디난 알프레드 (50') [br] 바유 상기아완 (57') [br] 페르디난 알프레드 (82') || ---- 인도네시아, 16강 진출 확정. === 4경기: 태국 3 : 0 동티모르 === || 경기장 ||<-2>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18일 20:00 || || 국가 || '''태국''' || 동티모르 || || 득점 || '''3''' || 0 || || 득점자 || 송크라신 차나팁 (22') [br] 타위칸 크로에크릿 (59') [br] 인피니트 핀요 (79') || - || ---- 태국, 16강 진출 확정. === 5-1경기: 몰디브 3 : 2 동티모르 === || 경기장 ||<-2> [[안산와~스타디움]] || || 경기일 ||<-2> 2014년 9월 22일 20:00 || || 국가 || '''몰디브''' || 동티모르 || || 득점 || '''3''' || 2 || || 득점자 || 알리 암단 (27') [br] 야민 무사 (63') [br] 이루판 모하메드 (73') || 마리아 리카르도 (58') [br] 산토스 란젤 (62') || === 5-2경기: 인도네시아 0 : 6 태국 === || 경기장 ||<-2>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22일 20:00 || || 국가 || 인도네시아 || '''태국''' || || 득점 || 0 || '''6''' || || 득점자 || - || 폼부파 차나난 (7') [br] 아디사크 크라이소른 (17') [br] 송크라신 차나팁 (57') [br] 타위칸 크로에크릿 (76') [br] 인피니트 핀요 (82') || ---- E조 1위, 2위 결정전. 골 득실에서 앞서는 인도네시아는 비기기만 해도 조 1위를 확정짓는데 져버려서 2위가 되었다. == F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북한'''}}}]] || 2 || 2 || 0 || 0 || 5 || 0 || '''+5''' || '''6''' || || || '''2'''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중국'''}}}]] || 2 || 1 || 0 || 1 || 1 || 3 || '''-2''' || '''3''' || || || '''3'''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30]] ||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파키스탄'''}}}]] || 2 || 0 || 0 || 2 || 0 || 3 || '''-3''' || '''0''' || || ||<-12> {{{#8E8,#098004 '''■'''}}} 16강 진출 | {{{#FBB,#800000 '''■'''}}} 탈락 || ---- 북한과 중국의 16강행이 유력하며, 파키스탄은 아무래도 승점자판기 신세를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였다. --핵더비-- 예상외의 경기력으로 2연승을 질주하며 조 1위로 진출한 북한과 달리, 중국은 골득실에 뒤쳐져 --겨우 한 경기 했을 뿐인데-- 탈락 위기에 몰려, 비겨도 탈락할 상황이었다. === 1경기: 북한 3 : 0 중국 === || 경기장 ||<-2>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15일 17:00 || || 국가 || '''북한''' || 중국 || || 득점 || '''3''' || 0 || || 득점자 || 심현진 (10') [br] 서경진 (47') [br] 리혁철 (57') || - || === 2경기: 파키스탄 0 : 2 북한 === || 경기장 ||<-2> [[화성종합경기타운]] || || 경기일 ||<-2> 2014년 9월 18일 17:00 || || 국가 || 파키스탄 || '''북한''' || || 득점 || 0 || '''2''' || || 득점자 || - || 서경진 (40') [br] 정일관 (67') || ---- '''북한 F조 1위 확정.''' === 3경기: 중국 1 : 0 파키스탄 === || 경기장 ||<-2> [[화성종합경기타운]] || || 경기일 ||<-2> 2014년 9월 22일 20:00 || || 국가 || '''중국''' || 파키스탄 || || 득점 || '''1''' || 0 || || 득점자 || 창 페이야 (20') || || ---- 중국은 파키스탄을 무조건 이겨야 16강에 진출할 수 있다. == G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30]] ||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요르단'''}}}]] || 2 || 2 || 0 || 0 || 3 || 0 || '''+3''' || '''6''' || || || '''2'''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아랍에미리트'''}}}]] || 2 || 1 || 0 || 1 || 5 || 1 || '''+4''' || '''3''' || || || '''3'''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인도'''}}}]] || 2 || 0 || 0 || 2 || 0 || 7 || '''-7''' || '''0''' || || ||<-12> {{{#8E8,#098004 '''■'''}}} 16강 진출 | {{{#FBB,#800000 '''■'''}}} 탈락 || ---- 아랍에미리트와 요르단의 16강행이 유력하며, 인도는 옆 조의 파키스탄과 마찬가지로 승점자판기 노릇을 하다 끝날 듯하다. --사이좋은 앙숙.-- === 1경기: 아랍에미리트 5 : 0 인도 === || 경기장 ||<-2> [[화성종합경기타운]] || || 경기일 ||<-2> 2014년 9월 15일 17:00 || || 국가 || '''아랍에미리트''' || 인도 || || 득점 || '''5''' || 0 || || 득점자 || 사에드 알 카시리 (13') [br] 사에드 알 카시리 (15') [br] 사에드 알 아바비 (19') [br] 사에드 알 카시리 (64') [br] 산데시 즈힝간 (82' 자책골) || - || === 2경기: 요르단 1 : 0 아랍에미리트 === || 경기장 ||<-2> [[고양종합운동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18일 17:00 || || 국가 || '''요르단''' || 아랍에미리트 || || 득점 || '''1''' || 0 || || 득점자 || 모함마드 다르위시 (8' 자책골) || - || ---- 아랍에미리트는 인도전에서 5:0으로 대승한 덕분에 이 경기에서 패배하고도 16강 진출이 확정됐다. === 3경기: 인도 0 : 2 요르단 === || 경기장 ||<-2> [[인천문학경기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22일 17:00 || || 국가 || 인도 || '''요르단''' || || 득점 || 0 || '''2''' || || 득점자 || - || 라이드 알 바시타위 (17') [br] 야잔 탈지 (67') || ---- 요르단은 인도에 2골 차 이상으로 패하지 않으면 16강이 확정된다. 만일 요르단이 인도에 3골 차로 패하면 골득실은 동률이 되나 다득점, 승자승에서 밀리게 된다. == H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베트남'''}}}]] || 2 || 2 || 0 || 0 || 5 || 1 || '''+4''' || '''6''' || || || '''2'''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30]]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키르기스스탄'''}}}]] || 2 || 0 || 1 || 1 || 1 || 2 || '''-1''' || '''1''' || || || '''3''' ||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이란'''}}}]] || 2 || 0 || 1 || 1 || 2 || 5 || '''-3''' || '''1''' || || ||<-12> {{{#8E8,#098004 '''■'''}}} 16강 진출 | {{{#FBB,#800000 '''■'''}}} 탈락 || ---- '''이변의 진원지.''' --'''[[혼돈! 파괴! 망가!]]'''-- 이란의 일방적 독주가 예상되며, 나머지 두 나라가 남은 한 자리를 놓고 각축을 벌일 것으로 보였는데... 웬걸? 베트남이 이란을 4:1로 격파하면서 혼돈의 조가 되었다. 이어진 2차전에서 이란과 키르기스탄이 1:1 무재배를 하면서 이란은 광탈 위기에 몰리게 되었다. 그리고 베트남이 키르기스스탄을 1:0으로 이기면서 1무 1패지만 골득실에서 밀린 이란은 Adios Iran! 여담으로 [[뽐뿌]]에 키르기스스탄이 기권했다는 게시물이 올라왔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났다. === 1경기: 이란 1 : 4 베트남 === || 경기장 ||<-2> [[안산와~스타디움]] || || 경기일 ||<-2> 2014년 9월 15일 17:00 || || 국가 || 이란 || '''베트남''' || || 득점 || 1 || '''4''' || || 득점자 || 모살만 모센 (66') || 보 슈 투안 (24') [br] 막 홍 퀀 (28') [br] 찬 피 손 (69') [br] 응오 황 틴 (82') || ---- '''축구 조별리그 1차전의 최대 이변.''' H조의 최강자로 예상되었던 이란이 최약체로 예상되던 베트남에게 대패했다. 이 경기에서 승부를 가른 가장 큰 요인은 '''골 결정력'''이었다. 실제로 이란은 90분 동안 15개의 슛을 했지만 그 중 골문을 흔든 건 단 한개의 슛[* 그것도 [[페널티킥]]이었다.]이었는데 반해 베트남은 5개의 슛 중에서 4개를 골로 연결시켰다. 이란은 게임에서 진데다가 미드필더 한 명이 퇴장[* 필드밖으로 나가는 도중에 주먹질을 또 했다. 추가 징계 가능성도...]당하면서 이번 예선 1차전의 최대 피해자가 되었다. [[지못미]]...--는 개뿔, 후진 양성 안 하니까 망하는 거지.[* 거기다 이란팀 스태프가 자원 봉사하는 여대생을 성추행하는 개막장짓을 벌였다. 자국에선 흔히 있는 일이라 실수했다고 변명질을 하는데...]-- 이제 이란의 운명은 키르기스스탄이 쥐고 있다고 봐야 하는데, 이란으로서는 키르기스스탄을 3골 차 이상으로 크게 이기고, 키르기스스탄이 베트남을 잡아 주지 않는 이상 조 1위가 불투명하다. 한국 입장에서는 만일 이란이 조별리그를 2위로 통과한다면 4강에서 맞붙게 되기 때문에, 이란의 졸전을 달가워할 수 없다. --그냥 탈락해 주시기를.-- === 2경기: 키르기스스탄 1 : 1 이란 === || 경기장 ||<-2> [[인천문학경기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18일 17:00 || || 국가 || 키르기스스탄 || 이란 || || 득점 || 1 || 1 || || 득점자 || 아바즈벡 오트케에프 (89') || 모르테자 우라리간지 (79') || ---- 베트남전 1:4 패배로 인하여 반드시 키르기스스탄을 크게 이겨야만 했던 이란은 후반 34분이 되어서야 선제골을 넣었고 그조차 10분 만에 동점골을 허용하여 [[무재배]]. 결국 베트남이 키르기스스탄을 3:0으로 이기거나 4골차 이상으로 이기지 않는 이상 이란은 [[답이 없다]]. 둘이 비기거나 베트남이나 키르기스스탄이 상대를 2골 차 정도로 이겨도 무조건 탈락. 이란으로서는 무조건 베트남이 크게 이겨야 하는 걸 --알라에게-- 기도해야 할 판국이다. 1998년부터 2010년 대회 모두 4강에 올라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 --그리고 목메달 1개--를 받은 우승 후보 이란이 초반부터 이렇게 맥빠지게 될 줄은 누가 예상했을까. --이게 다 알리 다에이 때문이다.-- === 3경기: 베트남 1 : 0 키르기스스탄 === || 경기장 ||<-2> [[안산와~스타디움]] || || 경기일 ||<-2> 2014년 9월 22일 17:00 || || 국가 || '''베트남''' || 키르기스스탄 || || 득점 || '''1''' || 0 || || 득점자 || 부 민흐 투안 (63') || - || ---- 한줄 요약: '''Adios Iran!''' 이 경기 결과로 이미 16강이 확정된 베트남은 조 1위를 굳혔으며 키르기스스탄은 1무 1패로 유일하게 승리를 거두지 못하고도 16강에 진출했다. 결국 실낱 같은 희망을 바란 이란은 키르기스스탄에게 골득실이 딸려 처참하게 짐을 싸게 되었다. [[분류:2014 인천 아시안 게임/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