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4 소치 동계올림픽)] [목차] || [youtube(ygluZ0tB8S4)] || || 개막식 풀영상 || == 개요 ==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의 개막식은 역대 동계 올림픽 개막식 중 가장 화려하고 최고의 개막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러시아가 개막식에 돈을 얼마나 투자했는지 확실히 알 수 있다. 폐막식도 화려하게 대규모로 치뤘다. 오륜기 하나가 다 펴지지 않은 것만 빼면 흠 잡을 데 없는 개막식이며, 소치 동계 올림픽의 개막식 및 폐막식 모두 역대 동계 올림픽은 물론 하계 올림픽과 비교해도 [[2012 런던 올림픽]]과 함께 최고라 거론된다. 개막식에서는 전 세계에 러시아에 대한 소개를 주제로 시작부터 러시아 알파벳과 인물들 및 기술, 문화를 영상 속에 소개했으며, 러시아의 광활한 영토와 민족, 생태계를 움직이는 모형으로 재현하고, 러시아의 유수한 역사를 핵심만 찝어서 화려하게 보여줬다. 개막식이 러시아의 알파벳 및 역사의 소개라면 폐막식은 말 그대로 러시아 문화의 소개였다. 다른 올림픽 개폐막식에서는 “너네 이런 문화 알아? 우린 이런 것도 있다!”라는 식이라면, 소치 동계 올림픽 폐막식은 “너네 이거 알지? 이런 거 다 우리 거야!”라는 식으로 런던 올림픽과 비슷하게 문화력을 과시했다. 러시아의 미술, 음악, 발레, 문학, 서커스 등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있는 문화들을 부족함없이 보여줬다. 특히 모두에게 익숙한 [[칸딘스키]], [[샤갈]], [[라흐마니노프]], [[쇼스타코비치]],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 [[하차투리안]], 볼쇼이와 마린스키 등 한 마디로 러시아의 엄청난 문화력을 전 세계 앞에서 공연하며 보여줬다. == 진행 == [youtube(6lCF_p8SY6s)] 시작은 [[러시아어]]의 [[알파벳]]인 [[키릴 문자]]를 이용한 영상이다. 각 키릴 문자가 철자에 들어있는 러시아의 유명 인물, 장소 등을 하나씩 소개한다. 설명의 마지막은 Я를 포함하는 "[[러시아]]Россия"였다. 내레이션을 담당한 소녀는 개막식의 주인공 격으로, 개막식 전체에 걸쳐 등장한다. А(아) - а́збука(아즈부카[* 그림이 키릴로스 형제인 것으로 봐선 키릴 문자가 확실하다.], 알파벳의 여성 명사) Б(베) - Байка́л([[바이칼 호]]) В(붸/v) - вертолёт Сикорский(볘르딸룥 시꼬르스크바, [[이고르 시코르스키]]가 발명한 [[헬리콥터]]) Г(게) - Гагарин/Гжель ([[유리 가가린]], [[그젤]] [[도자기]]) Д(데) - Достоевский([[표도르 도스토옙스키|도스토예프스키]]) Е(예) - Екатерина Великая([[예카테리나 대제]], 예카테리나 프카라이) Ё(요) - Ёжик в тумане([[애니메이션]] "안개 속의 [[고슴도치]]"/요지크 브 뚜마녜) Ж(줴/zhe) - Жуковский([[니콜라이 예고로비치 주콥스키]], 항공 [[유체역학]]의 아버지) З(제/ze) - Зерно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지르노우보로치나야 마시나/알곡 수확기계) И(이) - Империя([[제정 러시아]], 임뼤리야/그림은 [[표트르 대제]]) Й(짧은 이/이 끄라뜨꼬예) - Чайковский([[차이콥스키]]) К(카) - Кандинский([[칸딘스키]], [[추상화]]의 창시자) Л(엘) - Луноход(루노호트, [[소련]]의 무인 [[달]] 표면 탐사 로봇|[[1970년]],[[1973년]]) М(엠) - Малевич(카지미르 말례비치, 러시아 전위미술과 추상화의 거장) Н(엔) - Набоков([[블라디미르 나보코프]], 곤충학자/[[나비]]학자, [[롤리타]]의 작가) [* 나보코프가 나비학자라는 정체성을 강조한 것은 아무래도 롤리타는 미국에 건너가서 한 작품이니까 말이다.] О(오) - Орбитальная станция(아르비딸리나이 스딴찌야/궤도 정거장-[[우주정거장]] [[살류트]]([[1971년]])와 [[미르 우주정거장|미르]]([[1986년]]~[[2001년]])) П(뻬/p) - Периодическая таблица(뼤리아디췌스키 타블리짜/[[주기율표]],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의 업적) Р(에르) - Русский балет(루스키 발롓/러시아 [[발레]], 영상에서는 프랑스에서 인기를 끈 뤼스 발레단의 초대 단장 [[디아길레프]]를 언급한다) С(에스) - Спутник([[스푸트니크]], "동행"이란 의미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Т(떼) - Толстой/Телевидение([[톨스토이]]/뗼례비뎨니예=[[텔레비전]], 블라디미르 코스미흐 즈보리킨이 미국에서 발명했다) У(우) - Ушанка([[우샨카]], 러시아의 털모자) Ф(에프) - Фишт(소치 인근의 피쉬트 산. 주 경기장의 이름도 역시 피쉬트다) Х(하) -Хохлома(호흘라마, 자작나무로 만든 러시아 목재 수공예품) Ц(쩨/tse) - Циолковский([[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폴란드계 로켓 과학자) Ч(체/che) - Чехов([[안톤 체호프]], 러시아의 소설가이자 극작가) Ш(샤) - Шагал([[마르크 샤갈]], 프랑스의 화가로 유명하지만 러시아 출신이다. 대표작인 <도시 위에서>는 고향마을 비데프스크가 배경.[* 이 작품은 [[러시아 혁명]] 와중인 1914년~1918년 당시에 그려졌는데, 샤갈은 27세에서 31세, 그의 아내는 18세에서 27세였다.]) Щ(시) - Щусев(소련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가 알렉세이 시추세프, 영상은 그의 대표작인 [[콤소몰스카야 역]]) Ъ(tvyordyi znak/뜨뵤르듸 즈낙 = 경음부호) - Пушкин([[알렉산드르 푸시킨]]/고양이가 나오는 것은 고양이의 이름으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Ы(의) - М'''ы'''(믜/우리. [[붉은 광장]]의 대중들이 스쳐 지나간다. 자먀친의 소설 [[우리들]]이라는 설도 있지만 별 관계는 없어보인다.) Ь(myagkii znak/마흐끼 즈냑 = 연음 부호) - любо́в'''ь'''(류보비/[[사랑]]. 영상에 나오는 소녀의 이름이기도 하다.) Э(에) - Эйзенштейн([[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예이젠시톄인]]/영화 [[전함 포템킨]]의 감독) Ю(유) - Параш'''ю'''т(빠라슈트/[[낙하산]]. 러시아 출신의 그레브 코텔니코프가 [[1912년]]에 개발함) Я(야) - Росси'''я'''(라시야/[[러시아]]) === [[사륜기]] === [[파일:attachment/rtx18cm4.jpg|width=500]] [[파일:attachment/1391851186537.gif]] 영상 다음 나온 무대에서 나온 음악은 [[알렉산드르 보로딘]]의 《[[쿠만|폴로베츠인]]의 춤》. W자 모양으로 배열된 5개의 눈꽃이 펴져서 [[오륜기]]로 변하는 퍼포먼스가 있었는데, 5개의 고리 중 가장 오른쪽에 있는 고리가 펴지지 않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개막식의 절정이자 하이라이트를 제대로 망쳐버렸고 전세계적으로 [[국제망신]]을 당했다. 러시아 방송은 이 사고가 벌어지자, 현장중계대신 사전 녹화한 리허설 장면을 대신 내보냈지만, 이미 전세계가 실시간으로 이 장면을 지켜본 뒤였다. 이후 카메라에 잡힌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표정이 굳어진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기계 오작동만 없었다면 경탄을 자아낼 만큼의 음악과, 쉴 새 없이 내리는 인공 눈. 그리고 대규모의 합창단이 어우러져 정말 웅장하고 화려한 역대급 올림픽 개막식 무대의 오륜기씬이 될 수 있었으나, 아쉬운 기계 오작동으로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 대해서 ‘펼쳐지지 않은 원이 과거 북아메리카를 상징했던 터라 미국을 의도적으로 엿먹였다’[* 정확히는 현재도 5개의 대륙이라는 의미는 남았지만 해당 설정은 [[인종차별]] 논란으로 이미 1976년부터 공식적으로 폐기되어 각 원이 특정 대륙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참고로 색에 대한 변경된 해석은 세계의 국기들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색 6개(바탕 하양색 포함)를 의미한다고 본다. 세계의 모든 국기에 저 6색 중 최소 1가지는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 원이 겨울잠을 자고 있었다’, ‘사실 다섯 개 다 펼쳐지면 안 됐는데 실수로 네 개나 펼쳐졌다’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었다. 그래도 러시아는 이후 폐막식에서 이 사고를 자가 패러디해서[* 폐막식 때는 사람들을 이용해서 오륜기를 묘사했기에 패러디라고 볼 수밖에 없었다.] 재치있었다는 평을 받으면서 수습했다.[[https://news.joins.com/article/13988283|관련기사]][* 4년 전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때도 4개의 성화대 중 하나가 서지 않아 봉송 주자가 불 붙이지 못했던 사고가 있었다. 벤쿠버 올림픽 역시 해당 사고를 폐회식에서 재치있게 패러디한 것도 동일하다.] === 러시아 국가 제창 === [youtube(b270ka2eB_4)] 합창단의 [[러시아 연방 국가]] 제창과 함께 러시아의 우주인들이 국기를 게양하였다. 소련-러시아의 레전드인 여성 최초의 EVA 수행자 스베틀라나 사비츠카야, [[소련 해체]] 당시 우주에 있었던 [[세르게이 크리칼료프]], 대를 이은 로만 로마넨코[* 아버지가 [[미르 우주정거장|미르]]에서 장기 체류를 하고 [[부란]] 프로그램을 감독했던 우주비행사 유리 로마넨코다.], 갓 우주에서 돌아온 표도르 유르치힌[* 우주에서 성화봉송을 했다.] 소련-러시아의 4번째 여성 우주인이자 2014년 하반기 우주 임무를 수행한 옐레나 세로바가 등장하여 [[로스코스모스]]의 부심을 뽐냈다. 국가 연주 중 러시아의 국기가 펄럭이는 것을 묘사할 때 두 세명이 열을 잘못 맞춘 실책이 있었다. === 선수 입장 === 선수 입장에서는 특이하게도 기존의 입장 방식인 외문으로 들어와서 트랙을 돌고 운동장에 정렬하는 방식 대신, 그라운드 한가운데에서 통로를 통해 땅에서 솟아나듯 입장하여 최종적으로는 스탠드에 앉는 방식을 취했다. 특수 영상장치를 통해 각 나라별 입장시에는 그라운드에 해당 국가의 이름이 [[프랑스어]], [[영어]], [[러시아어]]로 표기되었고[* 프랑스어는 근대 올림픽의 제창자인 쿠베르탱 남작의 영향도 있고 지금도 IOC 공식 언어이다. 영어는 가장 널리 쓰이는 국제 공용어이자 IOC 공식언어, 러시아어는 개최국의 언어.] 배경으로는 우주에서 바라본 해당 국가의 야경이 그려졌다. [[https://www.youtube.com/watch?v=gjePaG2GTW0|그래픽 출연영상]] 선수 입장 순서는 [[2014 소치 동계올림픽/참가국]]을 참고할 것.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규혁 선수를 기수로 하여 입장했다. [[벨라루스]] 선수단은 프리스타일 [[스키]] 영웅 알략세이 흐리신, [[스위스]] 선수단은 [[스키점프]]의 황제인 지몬 아만, [[크로아티아]]는 알파인 스키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한 이비차 코스텔리치, [[캐나다]]는 여자 [[아이스하키]]의 에이스 헤일리 위켄하이저, [[미국]]은 [[2010 밴쿠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노르딕 복합 선수인 토드 로드윅, [[오스트리아]]도 올림픽 노르딕 복합에서 2연패를 달성한 마리오 슈테허, [[이탈리아]]는 자국의 루지 영웅인 아르민 최글러, [[독일]]은 여자 알파인 스키 영웅인 마리아 리슈, [[프랑스]]는 노르딕 복합 선수이자 밴쿠버 올림픽 10km 노멀힐 부문 금메달리스트인 자송 라미 샤퓌, [[네덜란드]]는 자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쇼트트랙]] 기대주인 요린 테르 모르스, [[일본]]은 [[컬링]] 대표팀의 주장격인 스킵인 오가사와라 아유미, [[중국]]은 밴쿠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페어 부문 은메달리스트인 퉁젠이 기수를 맡는 등 각국의 메달 기대주들이 개막식 선수단 기수로 등장했다. [[러시아]]는 개최국답게 자국의 동계 올림픽 선수단 역대 최대 규모인 250명이 출전하며 기수는 [[봅슬레이]] 선수인 알렉산드르 줍코프가 맡았다. 입장 도우미의 경우, 여타 참가국은 옆트임이 있는 미니스커트를 입고 나오지만, 이슬람권인 [[이란]]만은 종교상의 이유로 치마 안에 긴바지를 받쳐입고 나왔다는 점이다. 선수입장 BGM은 (아테네 올림픽 때처럼) 유명한 자국의 노래들을 디제이 믹싱으로 깔았는데 이 중에서 [[빅토르 최]]가 보컬이었던 러시아의 전설적인 록 밴드 '[[키노]]'의 대표적 히트곡인 "혈액형"과 "여름이 끝난다"가 울려퍼지기도 했다. 러시아 대표팀 입장때 [[레즈비언]] 컨셉으로 유명한 러시아 여성 그룹 [[t.A.T.u]]의 'Not gonna get us'('Нас Не Догонят')를 사용했는데 당시 러시아의 반동성애법 때문에 서구권에서 소치 올림픽 보이콧 목소리가 나온걸 감안하면 미묘한 선곡이다. [[2000년대]] 세계적으로 유명했던 가수였기 때문에 선곡한 것으로 보이며 t.A.T.u는 올림픽 기간 경기장에서 막간 공연때 같은 노래를 불렀다.[[https://www.youtube.com/watch?v=iNrvmHPDOic|#]] 선수 대표 선언은 쇼트트랙 선수인 루슬란 자하로프가 했고, 심판 대표 선언은 크로스 컨트리 스키 심판인 뱌체슬라프 베데닌이 했다. === 공연 === 선수단의 입장 이후 아름다운 여러 공연들이 연출되었으며 주로 러시아의 역사를 담아내고 있다. === 개막 선언 ===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의 연설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올림픽 개막 선언이 있었다. === 성화 봉송 === 올림픽성화는 맨 처음 [[마리아 샤라포바]]를 시작으로 [[옐레나 이신바예바]], [[알렉산드르 카렐린]], [[알리나 카바예바]]를 거쳤다. 그리고 최종 성화 점화자로는 동계 스포츠의 두 영웅이 나섰는데, 한 명은 피겨 스케이팅 페어 부문 국제대회에서 불패의 신화를 자랑하는 이리나 로드니나였고, 다른 한 명은 소련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의 전설적인 골리이자 올림픽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한 경력을 가진 블라디슬라프 트레티야크였다. 그러나 현 러시아 하원의원인 로드니나는 작년에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 부부에게 바나나를 들이대는 합성사진[* 미국 속어로 바나나는 '백인인 척하는 유색인종(주로 동앙계. 흑인은 오레오(Oreo)라는 말을 더 많이 쓴다)'을 의미하기에 아주 무례했던 짓. 러시아의 인종 차별과 동성애자 차별은 악명이 높다.]을 [[트위터]]에 올려서 [[인종차별]] 논란과 양국 외교관계를 경색시킨 장본인이라 논란이 많은 인물이기도 하다. 성화 봉송 이후 수많은 불꽃들이 쏘아 올려지면서 큰 규모의 [[불꽃놀이]]와 함께 개막식은 종료된다. [[분류:2014 소치 동계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