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의 7월 진행 상황. * 감염자 및 사망자의 통계수치는 미 질병통제예방센터인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가 공개하는 [[http://www.cdc.gov/vhf/ebola|공식발표]] 를 따른다. 단, 8월 [[WHO]]가 국제간전파 가능성에 대한 토의를 진행하며 세계공중보건 비상사태의 선포를 검토중이며 8월부터 집계 자료는 [[http://www.afro.who.int/en/clusters-a-programmes/dpc/epidemic-a-pandemic-alert-and-response/outbreak-news.html|WHO의 자료]]를 따른다. [목차] == 상황표 == [include(틀: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월별 진행상황)]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6월 진행상황|6월]] || →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7월 진행상황|7월]] || →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s-6|8월]] || ||<#4374D9>'''{{{#ffffff 조사일자 }}}''' ||<-8>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7월 진행상황|7월]] 2일[* 외부조사를 나간 의료진이 현지인들에게 습격 당해 돈과 구호품을 털렸다.]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감염상황||413명 감염||303명 사망||107명 감염||65명 사망||239명 감염||99명 사망|| || || 759명 감염|| 467명 사망|| ||<#4374D9>'''{{{#ffffff 조사일자 }}}''' ||<-8>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7월 진행상황|7월]] 6일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감염상황||408명 감염[* 사망자수가 늘어나 감염자수가 줄었다.]||308명 사망||131명 감염||84명 사망||305명 감염||127명 사망|| || || 844명 감염|| 519명 사망|| ||<#4374D9>'''{{{#ffffff 조사일자 }}}''' ||<-8>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7월 진행상황|7월]] 10일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감염상황||409명 감염||309명 사망||142명 감염||88명 사망||337명 감염||142명 사망|| || || 888명 감염|| 539명 사망|| ||<#4374D9>'''{{{#ffffff 조사일자 }}}''' ||<-8>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7월 진행상황|7월]] 18일[* 감염자 총수가 천명이 넘었다.]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감염상황||410명 감염||310명 사망||196명 감염||116명 사망||442명 감염||206명 사망|| || ||1048명 감염|| 632명 사망|| ||<#4374D9>'''{{{#ffffff 조사일자 }}}''' ||<-8>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7월 진행상황|7월]] 20일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감염상황||415명 감염||314명 사망||224명 감염||127명 사망||454명 감염||219명 사망|| || ||1093명 감염|| 660명 사망|| ||<#4374D9>'''{{{#ffffff 조사일자 }}}''' ||<-8>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7월 진행상황|7월]] 27일[* 나이리지아로 확산이 확인 된 날이다.]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감염상황||460명 감염||339명 사망||329명 감염||156명 사망||533명 감염||233명 사망||1명 감염||1명 사망||1323명 감염|| 729명 사망|| ||<#4374D9>'''{{{#ffffff 조사일자 }}}''' ||<-8> 발생지역 |||| 피해상황 || ||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7월 진행상황|7월]] 30일 |||| [[기니]] |||| [[라이베리아]] |||| [[시에라리온]] |||| [[나이지리아]] |||| 총합 || ||감염상황||472명 감염||346명 사망||391명 감염||227명 사망||574명 감염||252명 사망||3명 감염||1명 사망||1440명 감염|| 826명사망|| == 상세 == 7월 2일, 외부조사를 나간 의료진 일부가 현지인들에게 습격을 받아 돈과 구호품을 털렸다. 습격자들은 조사를 나온 의료진의 무료진료를 믿을 수 없으며 이들의 돈으로 큰 병원에 가겠다는 주장을 하여 현지인들의 에볼라에 대한 인식이 공개적으로 알려진 날이기도 하며 대도시에 갑자기 에볼라 감염자들이 나타난 이유로 해석되어지는 중이다. 7월 18일 조사에서, [[시에라리온]]의 감염자 수가 1차 발병지로 알려진 [[기니]]의 감염자수를 넘어섰다. 이 확산 확인으로 인해 [[시에라리온]]의 상당수 병원이 파업모드로 들어갔다. 2014년 7월 26일(현지시간), [[나이지리아]]에서도 에볼라에 감염된 라이베리아 여행객이 수도 라고스에 도착한 후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0727_0013072758&cID=10103&pID=10100|사망했다.]] 인구밀집도가 높은 라고스에 에볼라가 퍼지면 대재앙이 될 수 있으므로 나이지리아 정부 당국도 긴장하는 중. 2014년 7월 28일, 라이베리아는 국경검문소 3곳을 제외한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0729_0013076221&cID=10103&pID=10100|모든 국경을 폐쇄했다.]] 2014년 7월 29일(현지시간), 시에라리온 당국은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4/07/30/0601330100AKR20140730002951091.HTML|고위직 의사 셰이크 우마르 칸이 에볼라로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http://media.daum.net/special/5/newsview?newsId=20140730153407711&specialId=5|시에라리온에서 하나뿐인 에볼라 전문의]]였으며, 에볼라에 걸린 환자들을 돌보다가 감염되어 숨졌다. 라이베리아에서 환자를 돌보던 미국 의료단체 '사마리아인의 지갑'도 소속 의료진들이 잇달아 쓰러지자[* 의사 켄트 브랜틀리와 낸시 라이트볼이 감염되었다.] 핵심인력을 제외한 전원을 철수시키기로 했으며, 항공사들도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으로의 운항을 중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항공편 전면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는 중. 7월 30일, [[시에라리온]]의 [[수도(행정구역)|수도]]인 프리타운에서 감염자가 확인, 수도권내 진입이 확정되어 시에라리온의 국가패닉이 우려되고 있다. 2014년 7월 30일, '''홍콩에서 에볼라 의심 환자가 나타났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7/30/0200000000AKR20140730137300074.HTML?from=search|#]] 이 환자는 케냐를 방문했다가 7월 28일 귀국했다고 한다. 진단 결과 다행히 에볼라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http://www.scmp.com/news/hong-kong/article/1562707/hospitalised-hong-kong-woman-tests-negative-deadly-ebola-virus|(영문)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보도.]]] 2014년 7월 30일, [[독일]]정부가 발병국가에 대한 여행제한 경보를 선언했다. 2014년 7월 31일, [[독일]]에 이어 [[미국]]정부도 발병국가에 대한 여행제한 경보를 선언했다. 2014년 7월 31일,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4/07/31/0605000000AKR20140731198800086.HTML|에볼라로 인한 사망자는 729명]]이고 감염 및 감염의심환자는 1323명이 되었다. 시에라리온 정부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고, 라이베리아 정부도 전국의 학교를 폐쇄하고 대부분의 공무원에게 자택에 머무를 것을 명령했으며, 미국 평화봉사단이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4/07/31/0605000000AKR20140731049151009.HTML|에볼라가 유행하는 3개국에서 철수했다.]] 평화봉사단 중에도 환자가 2명 발생했다고 하며, 평화봉사단이 언제 해당국가로 돌아갈지는 미지수다. 다만 국제항공운송협회는 세계보건기구와 협의한 끝에,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4/07/31/0605000000AKR20140731199500085.HTML|여행 제한이나 국경폐쇄 등은 권고하지 않기로 했다.]] 2014년 7월 31일, 서아프리카에서 의료봉사 중 에볼라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진 미국소속 의료인 2명이 미국의 [[애틀랜타]]의 전문격리병동으로 후송되어 신형 치료제인 ZMapp를 투입받으며 치료과정에 들어갔다. 신형치료제인 ZMapp는 미 국립보건원인 NIH를 통해 제공되었다고 알려져있다. [[분류: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