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svg|width=50]][br]'''{{{#102b49 역대}}}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102b49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 || [[2006-07 KBL 챔피언결정전|2006-07시즌]][br][[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1 ←}}} || '''2007-08시즌[br][[원주 DB 프로미|원주 동부 프로미]]''' || {{{+1 →}}} || [[2008-09 KBL 챔피언결정전|2008-09시즌]][br][[전주 KCC 이지스]] || ||<-5> {{{#102b49 {{{-3 {{{#!folding [역대 챔피언 결정전 펼치기]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include(틀: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 }}}}}} || ||||
[[파일:external/dimg.donga.com/5054987.1.jpg]] || ||||<:> '''{{{#FFFFFF 2007-08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우승팀}}}'''|| ||||<:> [[원주 DB 프로미|'''{{{#00A495 원주 동부 프로미}}}''']] || ||<:> '''{{{#00A495 MVP}}}''' || [[김주성(농구)|'''{{{#000000 김주성}}}''']] || >'''자! 경기 끝났습니다! 경기 끝났습니다! 전창진 감독! 아~ 드디어 우승을 차지했네요. 2007~2008 남자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원주 동부가 4대 1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MBC]] [[허일후(아나운서)|허일후]] 캐스터의 2007-2008 시즌 우승콜 [목차] == 개요 == ||<-2><:> [[파일:한국프로농구 심볼 오렌지.svg|width=50]][br]'''{{{#f1511b 2007-08 SK텔레콤 T 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 ||<:> [[파일:원주 동부 프로미 엠블럼.svg|width=130]]||<:>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2004~2011).svg|width=150]]|| ||<:> [[원주 DB 프로미|{{{#ffffff {{{+1 '''원주 동부 프로미'''}}}}}}]]||<:> [[서울 삼성 썬더스|{{{#ffffff {{{+1 '''서울 삼성 썬더스'''}}}}}}]]|| 다시 한 번 통합 우승을 노리는 원주 동부 프로미와 정규리그 3위 서울 삼성 썬더스와의 대결. == 대진표 == * 중계방송 채널란의 굵은 글씨는 TV 생중계, 팀명의 굵은 글씨는 승리팀을 가리킨다. * 모든 스코어는 홈팀이 앞에 위치하도록 적는다. * 승리팀 : O / 패배팀 : X ||<-7><:> '''{{{#ffffff 2007-08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원주 동부 프로미 : 서울 삼성 썬더스, 7판 4선승제}}}''' || || '''{{{#f1511b 경기}}}''' || '''{{{#f1511b 날짜, 시각}}}''' || '''{{{#f1511b 경기장}}}''' ||<-3> '''{{{#f1511b 스코어}}}''' || '''{{{#f1511b 중계채널}}}''' || || '''1차전''' || 4.17 (목) ||<|2> [[원주치악체육관]] || {{{#ffffff '''O'''}}} || {{{#ffffff '''동부 101''' : 88 삼성}}} || X || KBS1 || || '''2차전''' || 4.19 (토) || {{{#ffffff '''O'''}}} || {{{#ffffff '''동부 100''' : 96 삼성}}} || X || MBC || || '''3차전''' || 4.21 (월) ||<|3> [[잠실실내체육관]] || {{{#ffffff '''O'''}}} || {{{#ffffff '''삼성 88''' : 87 동부}}} || X || || || '''4차전''' || 4.23 (수) || X || {{{#ffffff 삼성 77 : '''90 동부'''}}} || {{{#ffffff '''O'''}}} || '''SBS''' || || '''5차전''' || 4.25 (금) || X || {{{#ffffff 삼성 74 : '''90 동부'''}}} || {{{#ffffff '''O'''}}} || '''MBC''' || ===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매치 : [[원주 DB 프로미|원주 동부 프로미]] VS [[서울 삼성 썬더스]] === ==== 매치업 예상 ==== ===== [[원주 동부 프로미]] ===== ||<:>
<-3><#00A495>'''{{{#ffffff 원주 동부 프로미 선수단}}}'''|| ||<:>
1. [[이광재(농구)|이광재]] [br] ([[슈팅 가드|{{{#000000 SG)}}}]] ||<:> 2. [[레지 오코사]] [br] ([[센터(농구)|{{{#000000 C)}}}]] ||<:> 3. [[이세범]] [br] ([[포인트 가드|{{{#000000 PG)}}}]] || ||<:> 4. ~~[[양경민(1972)|양경민]]~~ [br] ([[스몰 포워드|{{{#000000 SF}}}]]) ||<:> 6. [[표명일]] [br] ([[포인트 가드|{{{#000000 PG}}}]]) ||<:> 7. [[강대협]] [br] ([[슈팅 가드|{{{#000000 SG}}}]] / [[스몰 포워드|{{{#000000 SF}}}]]) || ||<:> 8. [[배경한]] [br] ([[가드(농구)|{{{#000000 G)}}}]] ||<:> 10. [[손규완]] [br] ([[슈팅 가드|{{{#000000 SG}}}]] / [[스몰 포워드|{{{#000000 SF}}}]]) ||<:> 11. [[김진호(농구)|김진호]] [br] ([[포인트 가드|{{{#000000 PG)}}}]] || ||<:> 13. [[손준영(농구)|손준영]] [br] ([[포워드(농구)|{{{#000000 F)}}}]] ||<:> 23. 카를로스 딕슨 [br] ([[슈팅 가드|{{{#000000 SG}}}]] / [[스몰 포워드|{{{#000000 SF}}}]]) ||<:> 32. [[김주성(농구)|김주성]] [br] ([[파워 포워드|{{{#000000 PF}}}]] / [[센터(농구)|{{{#000000 C}}}]]) || ||<:> 35. [[변청운]] [br] ([[스몰 포워드|{{{#000000 SF}}}]] / [[파워 포워드|{{{#000000 PF}}}]]) ||<:> 41. [[김봉수(농구)|김봉수]] [br] ([[센터(농구)|{{{#000000 C)}}}]] || || ||<-3> 감독 [[전창진]]|코치 ~~[[강동희]]~~ㆍ[[김승기(농구)|김승기]] || 전창진 감독은 김주성빨이라는 말을 들었지만 좋은 선수를 가지고 좋은 성적을 낼줄아는 명장임에 틀림없음을 이번시즌에도 어김없이 보여주었다. 무려 38승을 올리면서 10개구단중 유일하게 7할대 승률을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2위 KCC와의 승차가 KCC와 7위 전자랜드와의 승차보다도 더 많았을 정도로 압도적인 시즌을 보냈다. [[강대협]]과 [[표명일]] 등이 활약을 했고 김주성도 돌아와서 전성기를 보냈을 정도로 탄탄한 전력을 자랑하면서 적수가 안보였던 시즌이었다. ===== [[서울 삼성 썬더스]] ===== ||<:>
<-3><#074ca1>'''{{{#ffffff 서울 삼성 썬더스 선수단}}}'''|| ||<:>
1. [[박성훈(1978)|박성훈]] [br] ([[스몰 포워드|{{{#000000 SF}}}]]) ||<:> 3. [[박영민(농구)|박영민]] [br] ([[스몰 포워드|{{{#000000 SF)}}}]] ||<:> 4. [[박유진(농구)|박유진]] [br] ([[파워 포워드|{{{#000000 PF}}}]] / [[센터(농구)|{{{#000000 C}}}]]) || ||<:> 5. [[이정석]] [br] ([[포인트 가드|{{{#000000 PG}}}]]) ||<:> 6. [[임휘종]] [br] ([[포인트 가드|{{{#000000 PG)}}}]] ||<:> 7. [[강혁(농구)|강혁]] [br] ([[슈팅 가드|{{{#000000 SG}}}]]) || ||<:> 8. 김동우 [br] ([[슈팅 가드|{{{#000000 SG}}}]]) ||<:> 9. [[이규섭]] [br] ([[포워드(농구)|{{{#000000 F)}}}]] ||<:> 11. [[이상민(농구)|이상민]] [br] ([[포인트 가드|{{{#000000 PG}}}]]) || ||<:> 12. [[테렌스 레더]] [br] ([[센터(농구)|{{{#000000 C)}}}]] ||<:> 13. [[박종천(1979)|박종천]] [br] ([[스몰 포워드|{{{#000000 SF}}}]]) ||<:> 14. [[박훈근]] [br] ([[스몰 포워드|{{{#000000 SF}}}]] / [[파워 포워드|{{{#000000 PF}}}]]) || ||<:> 17. [[이시준|이원수]] [br] ([[가드(농구)|{{{#000000 G)}}}]] ||<:> 21. 빅터 토마스 [br] ([[파워 포워드|{{{#000000 PF}}}]]) ||<:> 24. [[우승연]] [br] ([[스몰 포워드|{{{#000000 SF}}}]]) || ||<-3> 감독 [[안준호]]|코치 [[서동철]] || 삼성은 2년만에 다시 챔피언 결정전 무대에 복귀했다. 지난 시즌 멤버가 건재했으나 오리온스에게 막혀서 6강에서 탈락했지만 이번에는 다시 챔프전 무대에 올라오는 데 성공했다. 이번 시즌에 삼성의 공격력을 이끈 선수는 단연 외국인 선수 [[테렌스 레더]]였다. 레더는 낮아진 팀 높이를 지탱하는 힘이 되어주며 동시에 많은 득점까지 내면서 삼성의 공격력의 핵심이 되었다. 또한 시즌 전 [[서장훈]]의 이적에 따른 보상선수로 영입한 [[이상민(농구)|이상민]]과 기존의 [[이정석]], [[강혁(농구)|강혁]], [[이시준|이원수]] 등을 위시한 가드왕국을 이뤄내면서 올라오는데 성공했다. 동부하고의 시즌 맞대결에서는 2승 4패로 상대전적에서 열세를 기록했다. 여담으로 [[안준호]] 감독의 특유의 말솜씨가 화제였다. 안준호 감독은 챔프전 각오로 치악산 호랑이를 잡으러 호랑이 굴에 간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 총평 == 본 챔피언 결정전 뿐만 아니라 시즌 내내 김주성의 시즌이었다. 김주성은 정규리그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이며 MVP를 받았고, 올스타전에서도 MVP를 받았으며 PO까지 MVP를 받았다. 이는 KBL 사상 최초로 정규리그-올스타전-PO에서 모두 MVP를 받은 선수이며, 9년 후 오세근이 2번째로 정규리그-올스타전-PO에서 모두 MVP를 받았다. == 여담 == * 이 시즌을 끝으로 원주 DB 프로미는 2021년 현재까지 우승에 실패하고 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챔피언 결정전에 다섯번 진출해서 3번 우승하고 2번 준우승이었으니 타율이 나쁜 편은 아니었는데, 2010년대에만 [[울산 현대|콩을 내리 네번 까버리면서]](...) * [[전창진]] 감독을 도왔던 [[정한신]] 코치는 당시 스카우터로 활약했지만 2008년 1월에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 오리온스]]의 수석코치로 활약한 뒤 이듬해 다시 친정에 돌아오게 된다. 2007-2008 시즌 통합우승 시절 수석코치는 [[강동희]]였다. * [[전창진]] 감독과 [[원주 DB 프로미|동부]]가 함께 이뤄낸 마지막 챔피언 결정전 우승이 되었다. 이후 전창진 감독은 2008~2009시즌이 끝나고 전격적으로 부산 kt의 사령탑이 되었고 동부는 2017년부터 모기업 명칭이 현재의 DB로 바뀌면서[* 모기업의 사정으로 인해 계열사 중 하나인 [[동부건설]]이 매각된 과정에서 동부라는 이름 상표권도 같이 딸려갔다.] 그대로 원주 DB 프로미로 승계되었다. * [[전창진]] 감독을 도왔던 동부의 [[이흥섭(농구)|이흥섭]] 홍보과장은 동생 이규섭이 있는 삼성을 꺾고 팀의 세번째 우승을 이끄는데 일조하게 되었다. * 동부의 레전드 김주성의 현역 시절 마지막 우승이기도 하다. 이후에도 챔피언 결정전 무대를 여러 번 밟게 되지만 상단에 서술했듯 '''[[콩라인|전부 준우승]]하면서''' 더 이상 우승반지를 끼지 못한 채 은퇴하게 되었다. * 첫 번째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을 경험한 삼성은 다음 시즌에도 챔피언 결정전에 올라갔지만 준우승에 그치고, 이후 2016~17시즌에도 또 한 번 올라갔지만 역시 준우승에 그치면서 DB와 마찬가지로 준우승 징크스에 빠지고 만다. * ~~[[양경민(1972)|양경민]]~~은 현역 마지막 시즌에 팀의 3번째 우승을 만들고 은퇴한 뒤 바로 스카우터로 들어오지만, 3년전에 일어난 팬클럽 회장 성폭행과 불법 스포츠 토토 사건 때문인지 얼마 되지 않아 그만두었고 나이트클럽에서 웨이터를 한다는 소문도 돌았으나, [[2013년]] [[9월]]에 찜질방을 돌면서 상습절도를 한 혐의로 구속되어 완전히 몰락되었다. * [[표명일]]은 현역 마지막 우승이었으며 2010년 KT로 이적하고 2012년에 은퇴를 했다. 이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지도자연수를 거쳐 양정중-양정고 코치를 맡았지만 2022년 1월 12일 간암 투병 중 사망했다. * 2003~2004시즌부터 장내아나운서를 맡았던 이순주 아나운서는 이 시즌을 끝으로 결별하고 후임인 [[유창근]] 아나운서[* [[KBO 리그|KBO]] [[두산 베어스]]의 장내아나운서도 맡고 있다.]에게 넘긴 뒤, 2021-22시즌까지 [[전주 KCC 이지스]]의 장내아나운서를 맡았다. * 이 둘은 그 다음 시즌 정규경기에서 '''5차 연장'''을 가는 대승부를 펼치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1.21 대첩]] 참고. * 당시 동부의 매니저였던 [[박준석(농구)|박준석]]은 전창진 감독을 도우면서 두번째 우승을 이끌게 되었다. * 당시 동부의 유소년코치를 맡으면서 지도자로 처음 데뷔한 [[강기중]]은 전창진 감독을 도우면서 두번째 우승을 이끌었다. * [[이세범]]은 급성 맹장염으로 입원치료를 받고 있어서 챔피언결정전에는 출전하지 못했지만 우승반지는 받았다. * 동부의 유소년팀 지도자였던 [[김중길]]은 전창진 감독을 도우면서 두번째 우승반지를 획득하게 되었다. [각주] [[분류: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분류:원주 DB 프로미]][[분류:서울 삼성 썬더스]][[분류:한국프로농구/2007-08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