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학수학능력시험|{{{#000000,#e5e5e5 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 ||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8c8c8c 2002 수능}}}]] || {{{#d0d0d0 {{{+1 →}}}}}} || '''{{{+1 2003 수능}}}'''[br]{{{#8c8c8c (2002.11.6.)}}} || {{{#d0d0d0 {{{+1 →}}}}}} ||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8c8c8c 2004 수능}}}]]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가 우선 적용되는 문서입니다. 다른 문서들과 달리 개인적인 의견을 배제하여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서술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gray (이 문서는 현재 적용 안 됨.)}}} || [목차] == 개요 == [[2002년]] [[11월 6일]] 실시되었다. 2002년 당시 고등학교 3학년인 1991학년도에 [[국민학교]]에 입학하고 1997년도에 [[초등학교]]로 졸업한 연령대(1984년 3월생~1985년 2월생) 기준으로 응시했다.[* 이들이 바로 '''[[초등학교]]'''의 첫 졸업세대였다. 물론 [[N수생]]은 [[국민학교]]를 졸업하였다.] 총 응시인원 65만 5384명. 참고로 이시기에 수능을 친 사람들은 수험생활 때문에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도 제대로 보지도 못한 비운의 세대이다. 수준은 전년도와 비슷한 난이도였으며, 만점자는 2년 연속으로 등장하지 않았다.[* 문과 수석은 394.5점으로 서울대 경영대 진학, 이과수석 394.2점-서울대 의대 진학.] 그런데 여기에 대해서는 어떤 [[도시전설]]이 있다. [[김치국]] 항목 참조. == 9월 수능 모의평가(2002.09.03) == 2001학년도와 2002학년도 수능의 난이도 차이가 논란이 되는 바람에, 2003학년도 수능부터 수능 모의평가를 실시하여 난이도 적중률을 높이고, 수능 직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미리 표본 추출한 수험생들의 가채점 결과를 발표해 부정확한 사설학원 입시자료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로 하였다. 처음에는 고3(재학생)을 대상으로 모의평가를 실시하려고 했으나 수험생의 학력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수능 난이도 조절에 참고하기 위한 것인만큼 재수생과 검정고시생도 모의평가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평가원은 당초 수능 모의평가를 8월 중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9월 3일로 예정됐던 서울시교육청 주관 시·도 교육청 학력평가와 중복돼 수험생의 부담이 클 것을 감안,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대신 모의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시험 출제는 수능과 같은 방식으로 대학 교수, 고교 교사등으로 출제위원단을 구성해 12일간 비공개 합숙을 통해 출제하고, 채점은 9월 4일부터 23일까지 실시해 9월 25일 성적이 개별 통지되었다. 이번 모의평가에서는 선택과목인 제2외국어는 제외되었다. 고교 재학생은 소속 학교에, 재수생은 사설 학원이나 출신학교에, 검정고시 출신은 사설 학원에 신청하면 응시가 가능했다. 응시료는 고교 재학생은 교육청이 부담해 무료이며, 재수생 등은 5천원의 수수료를 내야했다. 또한, 2003년부터는 모의평가를 5월[* 하지만 6월로 연기된다.]과 9월 연 2회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 시험의 상세 == 시험은 다음과 같이 총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교시 || 영역 || 계열 구분 || 문항 || 배점 || 시간(분) || ||1||언어 영역||공통||60||120||90|| ||2||수리 영역||인문, 자연, 예체능||30||80||100|| ||<|4>3||<|2>사회탐구 영역||인문, 예체능||48||72||<|4>120|| ||자연||32||48|| ||<|2>과학탐구 영역||인문, 예체능||32||48|| ||자연||48||72|| ||4||외국어 영역||공통||50||80||70|| ||<-3> 합계 ||220||400||380|| + [[제2외국어 영역]](선택) 언어영역은 작년의 수준을 이어받아 매우 어려웠으며 만점자가 '''{{{#red,#ff0000 1명}}}'''(문과 여자 수험생)밖에 나오지 않았다. [* 서울 휘경여고 3학년 손수아 양, 자세한건 중앙일보 2002-12-09 참고] 1개를 틀린 수험생이 '''30명(인문계 22명, 자연계 8명)'''이었다. 인문계, 자연계 다 110점까지의 누적 인원이 각각 1604명(0.452%), 1367명(0.688%)였고 115점 이상은 인문계 86명(0.024%), 자연계 61명(0.031%)정도 나왔다. 7차 이후의 방식으로 표준점수를 계산할시 '''{{{#red,#ff0000 표준점수 최고점이 150점}}}'''으로 산출되며, '''원점수 120점 만점에 102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red,#ff0000 '''85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다. '''백분위 100% 컷'''은 '''원점수 120점 만점에 109점'''(100점 만점에 약 '''91점''')이었다. 참고로 언어영역에선 한국 국문학의 최종보스인 '''이상의 [[오감도]]'''가 출제되었다. 다행히 문제 자체는 오감도가 국문학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당시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였을지에 대해 묻는 평이한 수준이었다. 수리영역은 자연계의 경우 '''74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92.5점''',표준점수 최고점 '''141점''')이 1등급 컷으로 72점이었던 02수능보다 약간 평이해졌지만 전체적인 분포에 있어서는 02년과 대동소이했다. 만점자는 '''1411명(0.711%)'''이 만점을 받아 만점을 받아도 백분위 99가 나왔다.[* 당시 [[백분위]] 산정은 7차 교육과정과 조금 달라 이런 결과가 나왔다.] 한편 인문계는 만점자가 작년(196명)보다 약간 늘긴 했으나 '''{{{#red,#ff0000 285명(0.08%)}}}'''밖에 되지 않았고 65점 이상 누적인원이 3.5%정도, 70점 이상이 5000명 정도로 백분위 99를 받을 수 있었으며 75점 이상이 1400명대(0.41%)로 수준이 여전히 높았다. 인문계의 1등급 커트라인은 '''80점 만점에 63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red,#ff0000 78.75점}}}''', 표준점수 최고점은 '''{{{#red,#ff0000 162점}}}''')이었다. '''백분위 100% 컷'''은 '''80점 만점에 75점'''이었다. 사회탐구는 인문계는 72점 만점이 '''67명(0.019%)''', 70점 이상이 287명(0.081%)으로 작년과 비교하면 상위권 기준으로 더 까다로워진 편이었다. 65점 맞아도 1700명 이내로 1퍼센트 이내였다. 자연계도 48점 만점이 '''67명(0.034%)''', 45점 이상 1331명(0.669%)으로 45점까지의 누적 인원이 5000명 정도였던 작년 수능보다 어려웠다. '''인문계'''의 1등급컷은 '''72점 만점에 61점''','''자연계'''의 1등급컷은 '''48점 만점에 41점'''이었다. 반대로 과학탐구는 꽤 쉬워졌는데 자연계 기준으로 72점 만점이 '''1962명(0.991%)''', 70점 이상이 6467명 정도(3.27%)로 70점 이상이 539명(0.278%)밖에 안되었던 작년 수능보다 많이 쉬웠다. 인문계도 48점 만점이 '''1521명(0.430%)''', 45점 이상이 9968명(2.82%)으로 45점까지 2159명(1.11%)이었던 작년 수능보다 쉬웠던 편이다.'''인문계'''의 1등급컷은 '''48점 만점에 44점''', '''자연계'''의 1등급컷은 '''72점 만점에 69점'''이었다. 외국어영역은 2002수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만점자는 계열 통합으로 '''3626명'''(0.555%)였고, 80점 만점에 75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93.75점''')이 1등급컷이었다.표준점수 최고점은 '''140점'''이었다. 21세기에 치러진 수능 중 평균점수(원점수 기준)가 가장 낮았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2002학년도 수능의 수준이 높아 약간 수준이 낮아질거라 예상했지만 대부분이 멘붕을 경험했다. 그런데 어차피 내가 어려우면 남도 어려운 법. 이렇듯 총평균점수가 전년보다 하락했다는 점 때문에 일부는 2003학년도 수능이 2002학년도 수능보다 더 어려웠다고 평가하지만,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의 만점자 비율이 2002 수능보다는 살짝 높은 편이어서 2002 수능보다는 약간 쉬웠던 시험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2003학년도 수능의 영역별 1등급 커트라인은 다음과 같다. 언어 102/120(85) (만점자 1명) (만점표점 150점) 수리 인문 63/80(78.75) (만점자 285명)(만점표점 162점) 수리 자연 74/80(92.5) (만점자 1411명) (만점표점 141점) 사회탐구 인문 61/72(84.76) (만점자 67명) (만점표점 75.5점) 사회탐구 자연 41/48(85.41) (만점자 67명) (만점표점 75.5점) 과학탐구 인문 44/48(91.66) (만점자 1521명) (만점표점 76점) 과학탐구 자연 69/72(95.83) (만점자 1962명) (만점표점 65.5점) 외국어 75/80(93.75) (만점자 3626명) == 소수점 배점 소송 == [[https://www.joongang.co.kr/article/4398096|'수능 소수점 이하 반올림' 반영 논란 점수 높은 학생이 떨어질 수도]]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3/01/04/2003010470042.html|[수능점수] 소수점 이하 반올림… 서울대당락 뒤바뀌어]] [[https://m.khan.co.kr/national/education/article/200301031831191|‘수능 반올림’ 억울한 탈락]], [[https://www.mk.co.kr/news/home/view/2004/01/12863/|"수능 반올림으로 27% 순위역전"]] 이 수능을 끝으로 소수점 배점이 폐지되었다. 당시에는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해서 수능 점수를 표시했는데 이 배점 반올림으로 인하여 피해를 본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소송까지 가는 일이 생겼으며, 그 다음해부터는 소수점 배점을 완전 폐기하고 정수 배점으로 일원화되었다. 판결문 전문은[[https://casenote.kr/%EC%84%9C%EC%9A%B8%EA%B3%A0%EB%93%B1%EB%B2%95%EC%9B%90/2005%EB%82%981447|서울고등법원 2005. 10. 13. 선고 2005나1447 판결 [손해배상(기)]]], [[https://casenote.kr/%EB%8C%80%EB%B2%95%EC%9B%90/2005%EB%8B%A466770|대법원 2007. 12. 13. 선고 2005다66770 판결 [손해배상(기)] [공2008상,10]]] 이후 수능 관련 소송은 여러 번 있었으나 출제 오류 사태 관련 소송은 [[2014학년도 수능 세계지리 출제 오류 사태|2014학년도 수능 세계지리]]와 [[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 II 출제 오류 사태|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 II]]에서 불거지게 된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대학수학능력시험 관련 문서)] [include(틀:대학수학능력시험의 역사)] [[분류:연도별 대학수학능력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