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하계 아시안게임)] ||<-2> {{{+4 {{{#ffffff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 ||<-2> {{{#ffffff '''제14회 아시안 게임[br]{{{+1 2002 부산 아시안 게임}}}[br]XIV Asian Games'''[[상표|{{{#ffffff ™}}}]] '''Busan 2002'''}}} || ||<-2> [[파일: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70%]] || ||<-2> [[파일:busan2002.poster.gif|width=70%]] || || {{{#fff '''대회 기간'''}}} || [[2002년]] [[9월 29일]] ~ [[2002년]] [[10월 14일]] || || {{{#fff '''개최국'''}}}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분산 개최.] || || {{{#fff '''슬로건'''}}} || '''새로운 비전, 새로운 아시아[br]New Vision, New Asia''' || || {{{#fff '''주제가'''}}} || [[프런티어|Frontier]] [[https://www.youtube.com/watch?v=xazWsDsYkf4|#]] || || {{{#fff '''마스코트'''}}} || 두리아 || || {{{#fff '''참가국'''}}} || 44개국 || || {{{#fff '''경기 종목'''}}} || 48개 종목 || || {{{#fff '''개회 선언'''}}} || [[김대중]][br],,[[대한민국 대통령]],, || || {{{#fff '''선수 선서'''}}} || [[문대성]] || || {{{#fff '''성화점화'''}}} || [[하형주]], [[계순희]] || || {{{#fff '''개·폐회식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부산 남북 공동입장.jpg|width=100%]]}}} || ||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남북 공동입장'''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은 [[21세기]] 최초의 [[아시안 게임]]이자 [[1986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에 이은 [[대한민국]]의 세 번째 아시안 게임이다.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부울경]] 3개 지역에서 분산 개최된 대회이다. 같은 해 여름에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을 치렀던 [[부산 아시아드 주 경기장]]을 주경기장으로 하여 실시되었다. == 유치전 == ||<-11> '''2002년 하계 아시안 게임 유치 투표 과정''' || || '''국가''' || '''도시''' || '''1차 투표''' || '''결과'''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부산]]''' || '''37''' || '''유치 선정''' || ||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가오슝시|가오슝]] || 4 || 탈락 || [[아시안 게임]] 역사상 최초로 [[경선]]이 벌어진 대회였다. 올림픽과 달리 경쟁이 덜했던[* 큰 스포츠 국제 대회를 치를 여력이 되는 아시아 국가가 한정적이었기 때문이다.] 아시안 게임 유치는 그동안 주로 단독 입후보를 통한 승인의 과정으로 진행됐다. 심지어 [[1970년]]과 [[1978년]]에는 당초 개최국이었던 [[대한민국]]과 [[싱가포르]]가 마지막 순간에 개최를 포기하며 발을 빼는 통에 태국이 [[1970 방콕 아시안 게임]], [[1978 방콕 아시안 게임]]으로 무려 두 차례의 소방수 역할을 하는 촌극도 있었다. 그러나 해당 2002년 대회는 21세기의 첫 대회라는 큰 상징성이 있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올림픽처럼 경쟁이 벌어졌다. [[부산광역시]]에 맞선 경쟁 도시는 [[대만]]의 [[가오슝]]이었다. 대만이 처해 있는 [[대만/외교|외교적인 고립]]을 국제 [[스포츠]] 행사 개최로 만회하려는 대만 정부의 노력으로 인해 상당히 적극적으로 유치전에 나섰다. 가오슝의 공약은 1,000만 달러의 발전기금 [[OCA]] 기부 및 선수단 전원의 무료 숙박이었고 이를 [[리덩후이]] 당시 [[대만 총통|중화민국 총통]]이 직접 나서서 보증을 하여 많은 관심을 모았다. 이에 당황한 부산이 내걸은 공약은 1,200만 달러의 발전기금 제공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부터 아시안 게임에 걸리는 무수한 선심성 원조 및 발전기금 제공은 일종의 전통이 되어버려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을 유치했던 대한민국의 [[인천]] 또한 이러한 이유로 상당한 빚을 떠안았지만 인천의 경우 4년만에 빚을 모두 갚으며 국제 대회 유치의 후유증을 비교적 빠르게 털어냈다.] 한편 부산 아시안 게임의 유치를 도운 진짜 1등공신은 바로 [[중국]]이었다. [[양안관계]]로 대표되는 중국과 대만은 한국과 북한처럼 본래 같은 나라지만 이념으로 분단된 경우에 해당한다.[* 일부 대만인들은 원래 같은 나라였다는 부분도 부정하기도 하지만, 대만 정부의 공식적 입장은 여전히 중국과 대만은 분단국가라는 것이다.] 중국([[중국공산당]])은 대만에서 아시안 게임이 열려 국제사회에서 대만의 존재감이 높아져 "[[하나의 중국]]"이라는 중국의 전통적 주장이 힘을 잃게 될 것을 우려했고, 중국의 TV에 [[청천백일만지홍기]]가 휘날리는 상황을 용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중국은 일차적으로 대만에서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면 전면적으로 [[보이콧]]을 할 것을 시사하여 국제적인 외교 압박을 가했다. 그러나 [[가오슝]]이 내건 금전 공약은 제법 파격적이었기 때문에 실제 투표로 들어가면 결과가 어떻게 될 지 모른다는 예측이 적지 않았다. 중국은 이에 대응해 친중국가인 [[파키스탄]]을 통해서 엽기적인 제안을 내걸었다. '''거수 [[표결]]''', 쉽게 말해 공개 투표로 개최지를 결정하자는 것이었다. 아시안 게임의 보이콧도 불사하는 중국의 눈치를 안 볼 수 없는 상황에서 거수 투표가 되면 어느 나라가 중국에 반대를 하는지 노출되며, 중국에게 정치적 보복을 당할 여지도 상당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국가는 어쩔 수 없이 부산을 찍어야 했다. 결국 '''1995년 5월 22일'''에 거수 투표가 강행되었고 개최지 투표에 참가한 41개국 중에 37개국의 지지를 얻은 대한민국의 부산은 2002 아시안 게임 개최지로 확정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attachment/1995TPE.png|width=100%]]}}} || 상단의 사진은 [[부산]]이 2002 아시안 게임 유치도시로 결정된 이후,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에 들이닥친 [[대만인]]들의 모습이다. 거수 투표로 개최지를 결정하는 초유의 사태에 대해 당연히 [[대만]]은 노발대발하면서 반발했지만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공교롭게도 사마란치는 [[1988 서울 올림픽]] 유치를 승인해준 인물이기도 하다.]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도 자진 포기를 권유했고, [[OCA]] 위원장도 대만의 자진 포기를 권유했다. 결국 부산은 이렇게 가오슝을 제치고 21세기 최초의 아시안 게임 유치에 성공했다. 물론 부산이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고 중국과 대만의 갈등 속에 어부지리로 유치에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 부산 아시안 게임 유치 성공에는 대한민국 유치위의 열성적인 노력도 있었다. 당시 아시안 게임 개최지 선정 장소는 한국의 [[롯데호텔 서울]]이었는데, 한국에서 개최지 선정이 이루어지도록 이끈 것도 유치위의 공로였다. == 주제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Dd38LEu48Y, width=100%)]}}} || || '''{{{#b78203,#fbc648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000000,#e5e5e5 - 공식 주제가}}} [br] [[양방언|{{{#000000,#e5e5e5 양방언(Ryo Kunihiko)}}}]] {{{#000000,#e5e5e5 - {{{+1 [[프런티어|Frontier]]}}}}}}''' || == 역대 조직위원장 == * [[김운용]] (1995~1999 / 1999~2001) * 정순택[* 전 부산광역시교육감,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교육감 재임 시절에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중, 고등학교인 [[부산국제중학교]]와 [[부산국제고등학교]]를 설립했으며, 교육감 퇴임 후 [[부산국제외국어고등학교]]의 설립자 겸 초대 교장을 지냈다.] (2001~2003) == 정식 종목 및 경기장 == 총 38개 종목이 치뤄졌다. * 개폐회식: [[부산 아시아드 주 경기장]][*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개최지] * [[육상]]: [[부산 아시아드 주 경기장]], 마라톤 코스, 경보 코스 * [[수영]]: 사직 수영장, 창원실내수영장([[수구]]) * [[양궁]]: [[강서체육공원|강서양궁경기장]] * [[배드민턴]]: [[강서체육공원|강서체육관]] * [[야구]]: [[사직 야구장]] * [[농구]]: [[스포원파크 금정체육공원|금정체육관]], [[사직실내체육관]](4강전, 결승전) * [[당구]]: [[동주대학교]] 체육관 * [[보디빌딩]]: 부산시민회관 * [[볼링]]: [[홈플러스 아시아드점|홈플러스 아시아드볼링장]] * [[복싱]]: [[마산]]실내체육관 * [[카누]]: [[서낙동강]] 조정카누 경기장 * [[사이클(스포츠)|사이클]]: [[스포원파크 금정체육공원|금정밸로드롬]], 기장산악자전거경기장(MTB), 도로 코스 * [[승마]]: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경마공원]] * [[펜싱]]: [[강서체육공원|강서체육관]] * [[축구]]: [[구덕운동장]][*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축구 경기 일부가 열렸던 곳이기도 하다.],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 [[창원스포츠파크 주경기장|창원종합운동장]], [[창원 NC 파크|마산종합운동장]], [[양산종합운동장]] * [[골프]]: 아시아드 C.C. * [[체조]]: [[부산사직체육관]] * [[핸드볼]]: [[창원실내체육관]] * [[하키]]: [[강서체육공원|강서하키경기장]] * [[유도]]: [[구덕운동장|구덕체육관]] * [[카바디]]: [[동명대학교|동명정보대학교]] * [[가라테]]: 양산대학(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체육관 * [[근대 5종]]: 사직수영장([[수영]]), 창원종합사격장([[사격]]), [[부산경남경마공원]]([[승마]]), 창원 늘푸른전당([[펜싱]]), 삼락강변체육공원([[크로스컨트리]]) * [[조정(스포츠)|조정]]: [[서낙동강]] 조정카누 경기장 * [[럭비]]: [[울산종합운동장|울산공설운동장]] * [[세일링|요트]]: 수영만 요트 경기장[*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요트 경기가 열렸던 곳이기도 하다.] * [[세팍타크로]]: [[동서대학교]] 민석스포츠센터 * [[사격(스포츠)|사격]]: 창원종합사격장 * [[소프트볼]]: [[구덕야구장]] * [[연식정구|정구]]: 사직정구장 * [[스쿼시]]: 양산대학(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체육관 * [[탁구]]: [[울산동천체육관]] * [[태권도]]: [[구덕운동장|구덕체육관]] * [[테니스]]: [[스포원파크 금정체육공원|금정테니스경기장]] * [[배구]]: 기장체육관, [[해운대해수욕장]]([[비치발리볼]]) * [[역도]]: [[부경대학교]] 체육관 * [[레슬링]]: 양산실내체육관 * [[우슈]]: [[동서대학교]] 민석스포츠센터 === 따로 문서가 개설된 종목 ===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농구|농구]]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야구|야구]] == 마스코트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4th_asian_games_mascot.png]] || 2002년 아시안 게임의 공식 [[마스코트]]는 부산광역시의 [[시조]](市鳥)인 [[갈매기]]를 디자인한 두리아이다. 두리아에는 영원한 아시아(Durative+Asia)라는 뜻의 복합어, “둘이(두리) 함께”라는 의미도 있다. 갈매기는 부산시의 새이기도 하며, 역동적이고 순수한 것을 상징한다. == 메달 순위 == ||<-6> '''2002 부산 아시안게임 메달 집계'''[br]{{{-2 최종 집계}}} || ||<|2> '''순위''' ||<|2> '''국가''' ||<-3> '''메달''' ||<|2> '''합계''' || || '''금''' || '''은''' || '''동''' || || '''1'''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150 || 84 || 74 || 308 || || '''2'''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96 || 80 || 84 || 260 || || '''3'''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44 || 73 || 72 || 189 || || '''4''' ||[[카자흐스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100%]]}}}]] [[카자흐스탄]] || 20 || 26 || 30 || 76 || || '''5''' ||[[우즈베키스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100%]]}}}]] [[우즈베키스탄]] || 15 || 12 || 24 || 51 || || '''6''' ||[[태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태국 국기.svg|width=100%]]}}}]] [[태국]] || 14 || 19 || 10 || 43 || || '''7''' ||[[인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인도 국기.svg|width=100%]]}}}]] [[인도]] || 11 || 12 || 13 || 36 || || '''8''' ||[[중화 타이베이|{{{#!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100%]]}}}]] [[중화 타이베이|대만]] || 10 || 17 || 25 || 52 || || '''9''' ||[[북한|{{{#!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북한 국기.svg|width=100%]]}}}]] [[북한]] || 9 || 11 || 13 || 33 || || '''10''' ||[[이란|{{{#!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이란 국기.svg|width=100%]]}}}]] [[이란]] || 8 || 14 || 14 || 36 || || '''11'''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100%]]}}}]] [[사우디아라비아]] || 7 || 1 || 1 || 9 || || '''12''' ||[[말레이시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100%]]}}}]] [[말레이시아]] || 6 || 8 || 16 || 30 || || '''13''' ||[[싱가포르|{{{#!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100%]]}}}]] [[싱가포르]] || 5 || 2 || 10 || 17 || || '''14''' ||[[인도네시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100%]]}}}]] [[인도네시아]] || 4 || 7 || 12 || 23 || || '''15''' ||[[베트남|{{{#!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100%]]}}}]] [[베트남]] || 4 || 7 || 7 || 18 || || '''16''' ||[[홍콩|{{{#!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100%]]}}}]] [[홍콩]] || 4 || 6 || 11 || 21 || || '''17''' ||[[카타르|{{{#!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100%]]}}}]] [[카타르]] || 4 || 5 || 8 || 17 || || '''18''' ||[[필리핀|{{{#!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100%]]}}}]] [[필리핀]] || 3 || 7 || 16 || 26 || || '''19''' ||[[바레인|{{{#!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100%]]}}}]] [[바레인]] || 3 || 2 || 2 || 7 || || '''20''' ||[[쿠웨이트|{{{#!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100%]]}}}]] [[쿠웨이트]] || 2 || 1 || 5 || 8 || || '''21''' ||[[스리랑카|{{{#!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100%]]}}}]] [[스리랑카]] || 2 || 1 || 3 || 6 || || '''22''' ||[[파키스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100%]]}}}]] [[파키스탄]] || 1 || 6 || 6 || 13 || ||<|2> '''23''' ||[[키르기스스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100%]]}}}]] [[키르기스스탄]] || 1 || 5 || 6 || 12 || ||[[미얀마|{{{#!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버마 연방 국기.svg|width=100%]]}}}]] [[미얀마]] || 1 || 5 || 6 || 12 || || '''25''' ||[[투르크메니스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100%]]}}}]] [[투르크메니스탄]] || 1 || 2 || 1 || 4 || || '''26''' ||[[몽골|{{{#!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몽골 국기.svg|width=100%]]}}}]] [[몽골]] || 1 || 1 || 12 || 14 || || '''27''' ||[[레바논|{{{#!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100%]]}}}]] [[레바논]] || 1 || 0 || 0 || 1 || || '''28''' ||[[타지키스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100%]]}}}]] [[타지키스탄]] || 0 || 2 || 4 || 6 || || '''29''' ||[[마카오|{{{#!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100%]]}}}]] [[마카오]] || 0 || 2 || 2 || 4 || || '''30''' ||[[아랍에미리트|{{{#!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100%]]}}}]] [[아랍에미리트]] || 0 || 2 || 1 || 3 || || '''31''' ||[[방글라데시|{{{#!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100%]]}}}]] [[방글라데시]] || 0 || 1 || 0 || 1 || ||<|2> '''32''' ||[[네팔|{{{#!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네팔 국기.svg|width=100%]]}}}]] [[네팔]] || 0 || 0 || 3 || 3 || ||[[시리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100%]]}}}]] [[시리아]] || 0 || 0 || 3 || 3 || ||<|2> '''34''' ||[[요르단|{{{#!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100%]]}}}]] [[요르단]] || 0 || 0 || 2 || 2 || ||[[라오스|{{{#!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100%]]}}}]] [[라오스]] || 0 || 0 || 2 || 2 || ||<|4> '''36''' ||[[아프가니스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2004-2013).svg|width=100%]]}}}]] [[아프가니스탄]] || 0 || 0 || 1 || 1 || ||[[브루나이|{{{#!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100%]]}}}]] [[브루나이]] || 0 || 0 || 1 || 1 || ||[[팔레스타인|{{{#!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100%]]}}}]] [[팔레스타인]] || 0 || 0 || 1 || 1 || ||[[예멘|{{{#!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예멘 국기.svg|width=100%]]}}}]] [[예멘]] || 0 || 0 || 1 || 1 || === 대한민국 메달 현황 === || 종목 || 금 || 은 || 동 || 합계 || || 태권도 || 12 || 3 || 1 || 16 || || 정구 || 7 || 3 || 2 || 12 || || 펜싱 || 6 || 5 || 3 || 14 || || 레슬링 || 6 || 5 || 0 || 11 || || 요트 || 6 || 2 || 2 || 10 || || 사격 || 5 || 11 || 11 || 27 || || 유도 || 4 || 5 || 4 || 13 || || 근대5종 || 4 || 1 || 1 || 6 || || 사이클 || 5 || 2 || 6 || 10 || || 복싱 || 3 || 2 || 5 || 10 || || 체조 || 3 || 2 || 4 || 9 || || 배드민턴 || 3 || 2 || 3 || 8 || || 육상 || 3 || 2 || 1 || 6 || || 볼링 || 3 || 1 || 1 || 5 || || 보디빌딩 || 3 || 0 || 2 || 5 || || 승마 || 2 || 4 || 0 || 6 || || 탁구 || 2 || 3 || 3 || 8 || || 양궁 || 2 || 1 || 2 || 5 || || 핸드볼 || 2 || 0 || 0 || 2 || || 럭비 || 2 || 0 || 0 || 2 || || 테니스 || 1 || 3 || 3 || 7 || || 수영 || 1 || 2 || 9 || 12 || || 당구 || 1 || 2 || 0 || 3 || || 우슈 || 1 || 1 || 0 || 2 || || 농구 || 1 || 1 || 0 || 2 || || 배구 || 1 || 1 || 0 || 2 || || 하키 || 1 || 1 || 0 || 2 || || 역도 || 1 || 1 || 4 || 5 || || 세팍타크로 || 1 || 0 || 3 || 4 || || 야구 || 1 || 0 || 0 || 1 || || 카누/카약 || 0 || 4 || 2 || 6 || || 골프 || 0 || 2 || 2 || 4 || || 조정 || 0 || 5 || 3 || 8 || || 축구 || 0 || 0 || 1 || 1 || || 공수도 || 0 || 0 || 1 || 1 || || 합계 || 96 || 80 || 84 || 260 || ==== 세부 종목 메달 현황 ==== ===== 금메달 ===== || 메달 || 종목 || 세부종목 || 이름 || || 금 || 근대5종 || 남자 릴레이 || 김미섭 정태남 한도령 || || 금 || 근대5종 || 여자 단체전 || 박정빈 신은미 정창순 || || 금 || 근대5종 || 남자 단체전 || 김덕봉 김미섭 양준호 한도령 || || 금 || 근대5종 || 남자 개인전 || 김미섭 || || 금 || 핸드볼 || 여자 || 김은경 김정심 김차연 김향기 김현옥 명복희 문경하 손명희 우선희 이남수[br] 이설희 장소희 정은희 최임정 허순영 허영숙 || || 금 || 핸드볼 || 남자 || 강일구 김태완 남광현 박민철 박정진 백원철 윤경민 [[윤경신]] 이병호 이재우[br] 이준희 임성식 장준성 정서윤 한경태 황보성일 || || 금 || 펜싱 || 여자 사브르 개인 || 이신미 || || 금 || 펜싱 || 여자 플뢰레 단체 || [[남현희]], 서미정, 오태영, 임미경 || || 금 || 펜싱 || 여자 에페 개인 || 김희정 || || 금 || 펜싱 || 남자 사브르 개인 || 이승원 || || 금 || 펜싱 || 여자 에페 단체 || 김미정, 김희정, 이금남, 현희 || || 금 || 펜싱 || 남자 사브르 단체 || 김두홍, 서성준, 이승원, 이혁 || || 금 || 하키 || 남자 || 강건욱 강성정 김경석 김용배 김윤 김정철 김철 서종호 송성태 신석교[br] 여운곤 이남용 임종천 전종하 지성환 황종현 || || 금 || 태권도 || 여자 -72kg || 최진미 || || 금 || 태권도 || 여자 -51kg || 임수정 || || 금 || 태권도 || 여자 -67kg || 김수옥 || || 금 || 태권도 || 남자 -58kg || 김대륭 || || 금 || 태권도 || 남자 -78kg || 오선택 || || 금 || 태권도 || 남자 -54kg || 박희철 || || 금 || 태권도 || 여자 -63kg || 김연지 || || 금 || 태권도 || 남자 -67kg || 남연식 || || 금 || 태권도 || 남자 +84kg || [[문대성]] || || 금 || 태권도 || 남자 -84kg || 김경훈 || || 금 || 태권도 || 여자 -59kg || 윤성희 || || 금 || 태권도 || 여자 -55kg || 윤경림 || || 금 || 테니스 || 여자 복식 || 김미옥, 최영자 || || 금 || 체조 || 남자 마루 || 김성일 || || 금 || 체조 || 남자 링 || 김동화 || || 금 || 체조 || 남자 철봉 || 양태석 || || 금 || 탁구 || 남자 복식 || [[유승민(탁구)|유승민]], [[이철승]] || || 금 || 탁구 || 여자 복식 || [[석은미]], [[이은실]] || || 금 || 양궁 || 여자 단체전 || 김문정, 박성현, 박회윤, [[윤미진]] || || 금 || 양궁 || 남자 단체전 || 김경호, 김석관, 임동현, 한승훈 || || 금 || 역도 || 남자 -85kg || 송종식 || || 금 || 요트 || 남자 레이저급 || 김호곤 || || 금 || 요트 || 남자 420급 || 박종우, 이동우 || || 금 || 요트 || 남자 오픈 엔터프라이즈급 || 전주현, 정권 || || 금 || 요트 || 남자 오픈OK딩기급 || 진홍철 || || 금 || 요트 || 남자 레이스보드급 || 옥덕필 || || 금 || 요트 || 남자 470급 || 김대영, 정성안 || || 금 || 사이클 || 남자 메디슨 || 서석규, 조호성 || || 금 || 사이클 || 남자 30km 포인트 레이스 || 조호성 || || 금 || 사이클 || 여자 포인트 레이스 || 김용미 || || 금 || 사이클 || 여자 개인도로 || 김용미 || || 금 || 세팍타크로 || 남자 원형 경기 || 곽영덕, 김종훈, 유동영, 윤주형, 이명철, 이준표 || || 금 || 수영 || 남자 자유형 50m || 김민석[* 라빌 나차에프(우즈베키스탄)와 공동우승] || || 금 || 승마 || 마장마술개인 || 최준상 || || 금 || 승마 || 마장마술단체 || 김정근, 서정균, 신창무, 최준상 || || 금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야구|야구]] || 남자 || [[김동주(타자)|김동주]] [[김민재(내야수)|김민재]] [[김상훈(1977)|김상훈]] [[김종국(야구)|김종국]] [[김진우]] [[김한수]] [[노장진]] [[박명환]] [[박재홍(야구)|박재홍]] [[박진만]][br] [[송진우(야구)|송진우]] [[이병규(1974)|이병규]]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이승엽]] [[이승호(1981)|이승호]] [[이영우]] [[이종범]] [[임창용]] [[장성호]] [[정재복]][br] [[조용준]] [[홍성흔]] || || 금 || 우슈 || 남자 태극권 || 양성찬 || || 금 || 유도 || 남자 -73kg || 최용신 || || 금 || 유도 || 남자 -66kg || 김형주 || || 금 || 유도 || 여자 -52kg || 이은희 || || 금 || 유도 || 여자 -78kg || 조수희 || || 금 || 육상 || 남자 마라톤 || [[이봉주]] || || 금 || 육상 || 남자 높이뛰기 || [[이진택]] || || 금 || 육상 || 여자 창던지기 || 이영선 || || 금 || 정구 || 남자 단식 || 김경환 || || 금 || 정구 || 여자 단식 || 박영희 || || 금 || 정구 || 여자 복식 || 김서운, 장미화 || || 금 || 정구 || 남자 복식 || 유영동, 이원학 || || 금 || 정구 || 혼합 복식 || 김서운, 유영동 || || 금 || 정구 || 남자 단체전 || 김경한, 김희수, 유영동, 이원학, 황정환 || || 금 || 정구 || 여자 단체전 || 김명희. 김서운, 김현주, 박영희, 장미화 || || 금 || 복싱 || 남자 -54kg || 김원일 || || 금 || 복싱 || 남자 -48kg || 김기석 || || 금 || 복싱 || 남자 -67kg || 김정주 || || 금 || 볼링 || 여자 5인조 || 김수경 김여진 김효미 김희순 남보라 차미정 || || 금 || 볼링 || 여자 3인조 || 김수경 김여진 차미정 || || 금 || 볼링 || 여자 개인전 || 김수경 || || 금 || 사격 || 여자 스키트 개인전 || 손혜경 || || 금 || 사격 || 여자 스키트 단체전 || 곽유현 김연희 손혜경 || || 금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단체전 || 강승균 남형진 최병우 || || 금 || 사격 || 남자 더블트랩 단체전 || 김병준 박정환 정윤균 || || 금 || 사격 || 여자 더블트랩 개인전 || 이상희 || || 금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농구|농구]] || 남자 || [[김승현(농구)|김승현]] [[김주성(농구)|김주성]] [[문경은]] [[방성윤]] [[서장훈]] [[신기성]] [[이규섭]] [[이상민(농구)|이상민]] [[전희철]] [[조상현]][br] [[추승균]] [[현주엽]] || || 금 || 당구 || 남자 3쿠션 단식 || 황득희 || || 금 || 럭비 || 남자 15인제 || 백인성 조철형 최창열 최성환 천종만 한영훈 김동선 김형기 김재성 김광재[br] 김광모 김영남 이진욱 이관희 이명근 박창민 박진배 박광수 박노영 박용돈[br] 신우식 성해경 엄순길 용환명 유민석 윤희수 || || 금 || 럭비 || 남자 7인제 || 최창열 천종만 김형기 김재성 이진욱 이명근 박창민 박진배 박노영 성해경[br] 용환명 유민석 || || 금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74kg || 조병관 || || 금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66kg || 백진국 || || 금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84kg || 문의제 || || 금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74kg || 김진수 || || 금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60kg || 강경일 || || 금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66kg || 김인섭 || || 금 || [[배구]] || 남자 || [[신진식]] [[김세진]] 박재한 [[여오현]] [[최태웅]] [[김상우(배구)|김상우]] [[방신봉]] [[신선호]] [[이경수(배구)|이경수]] [[석진욱]][br] [[권영민(배구)|권영민]] [[장병철]] || || 금 || 배드민턴 || 여자 복식 || [[라경민]] 이경원 || || 금 || 배드민턴 || 혼합복식 || [[김동문(배드민턴)|김동문]] 라경민 || || 금 || 배드민턴 || 남자 단체 || [[김동문(배드민턴)|김동문]] 박태상 [[손승모]] 유용성 이동수 이재진 이현일 임방언 장영수 [[하태권]] || || 금 || 보디빌딩 || 남자 -85kg || 강경원 || || 금 || 보디빌딩 || 남자 -60kg || 조왕봉 || || 금 || 보디빌딩 || 남자 -70kg || 한동기 || ===== 은메달 ===== || 은 || 당구 || 남자 3쿠션 || 이상천 || || 은 || 당구 || 남자 포켓 9볼 복식 || 김원석 정영화 || || 은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단체전 || 공현아 김정미 이선민 || || 은 || 사격 || 남자 25m 센터파이어 권총 개인전 || 이상학 || || 은 || 사격 || 여자 50m 소총 복사 개인전 || 이미경 || || 은 || 사격 || 남자 10m 러닝타겟 단체전 || 조세종 허대경 황영도 || || 은 || 사격 || 남자 10m 러닝타겟 개인전 || 허대경 || || 은 || 사격 || 남자 25m 스탠더드 권총 단체전 || 김성준 박병택 이상학 || || 은 || 사격 || 남자 50m 권총 단체전 || 김선일 이상도 진종오 || || 은 || 사격 || 남자 50m 소총 3자세 단체전 || 남형진 박봉덕 차영철 || || 은 || 사격 || 남자 25m 속사권총 개인전 || 이상학 || || 은 || 사격 || 여자 10m 러닝타겟 단체전 || 김득남 김문선 박정윤 || || 은 || 사격 || 여자 더블트랩 단체전 || 김샛별 손혜경 이상희 || || 은 || 펜싱 || 여자 사브르 개인전 || 이규영 || || 은 || 펜싱 || 남자 플러레 개인전 || 김상훈 || || 은 || 펜싱 || 여자 플러레 개인전 || 임미경 || || 은 || 펜싱 || 남자 플러레 단체전 || 김상훈 김영호 이관행 최병철 || || 은 || 펜싱 || 여자 사브르 단체전 || 김희연 이규영 이신미 조경미 || || 은 || 하키 || 여자 || 기숙현 김성은 김윤미 김은진 박용숙 박정숙 오고운 유희주 이미성 이선옥[br] 이은영 임주영 || || 은 || 테니스 || 남자 단체전 || 김동현 [[윤용일]] [[이형택]] 정희석 || || 은 || 테니스 || 남자 단식 || 이형택 || || 은 || 테니스 || 남자 복식 || 이형택 정희수 || || 은 || 카누 || 남자 K-2 1000m || 남성호 정광수 || || 은 || 카누 || 남자 K-1 500m || 정광수 || || 은 || 카누 || 남자 C-1 500m || 박창규 || || 은 || 카누 || 남자 K-1 1000m || 남성호 || || 은 || 탁구 || 남자 복식 || 김택수 오상은 || || 은 || 탁구 || 혼합 복식 || 유승민 류지혜 || || 은 || 탁구 || 남자 단체전 || 김택수 유승민 오상은 이철승 [[주세혁]] || || 은 || 태권도 || 여자 -72kg || 윤현정 || || 은 || 태권도 || 남자 -62kg || 김향수 || || 은 || 태권도 || 남자 -72kg || 이재진 || || 은 || 육상 || 여자 포환던지기 || 이명선 || || 은 || 육상 || 남자 높이뛰기 || 김태회 || || 은 || 정구 || 남자 단식 || 김희수 || || 은 || 정구 || 남자 복식 || 김희수 황정환 || || 은 || 정구 || 여자 단식 || 김현주 || || 은 || 체조 || 남자 개인종합 || 김동화 || || 은 || 체조 || 남자 단체전 || 김대은 김동화 김승일 양태석 [[양태영]] 이선성 || || 은 || 수영 || 남자 자유형 1500m || 조성모 || || 은 || 수영 ||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개인전 || 장윤경 || || 은 || 승마 || 장애물 비월 개인전 || 이진경 || || 은 || 승마 || 마장마술 개인전 || 서정균 || || 은 || 승마 || 종합마술 개인전 || 전상용 || || 은 || 승마 || 종합마술 단체전 || 김규섭 김형칠 김홍철 전상용 || || 은 || 역도 || 여자 +75kg || [[장미란]] || || 은 || 양궁 || 여자 개인전 || 김문정 || || 은 || 요트 || 여자 420급 || 김숙경 허정은 || || 은 || 요트 || 남자 오픈레이저 레이디얼 급 || 김정곤 || || 은 || 우슈 || 남자 산타 -60kg || 김귀종 || || 은 || 유도 || 여자 -48kg || 김영란 || || 은 || 유도 || 여자 -70kg || 배은혜 || || 은 || 유도 || 여자 +78kg || 최숙이 || || 은 || 유도 || 남자 -81kg || 안동진 || || 은 || 유도 || 남자 -100kg || 장성호 || || 은 || [[배구]] || 여자 || 강혜미 [[구민정]] [[김사니]] [[최광희(배구)|최광희]] 박미경 [[구기란]] [[정선혜(배구)|정선혜]] [[이명희(1978)|이명희]] 김미진 [[장소연(배구)|장소연]][br] [[정대영]] [[김남순(배구)|김남순]] || || 은 || 레슬링 || 여자 자유형 -72kg || 강민정 || || 은 || 레슬링 || 여자 자유형 -55kg || 이나래 || || 은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60kg || 송재명 || || 은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84kg || 김정섭[* [[김인섭(레슬링)|김인섭]]의 동생이다.] || || 은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 || 박명석 || || 은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120kg || 양영진 || || 은 || 배드민턴 || 남자 단식 || 이현일 || || 은 || 배드민턴 || 여자 단체전 || 권희숙 김경란 라경민 배승희 신자영 이경원 이혜영 이효정 전재연 황유미 || || 은 || 복싱 || 남자 -60kg || 백정섭 || || 은 || 복싱 || 남자 -81kg || 최기수 || || 은 || 볼링 || 남자 5인조 || 김경민 김명조 김재훈 변호진 서국 조남이 || || 은 || 골프 || 남자 단체전 || 권기택 김병관 김현우 성시우 || || 은 || 골프 || 여자 개인전 || 김주미 || || 은 || 근대5종 || 남자 개인전 || 양준호 || || 은 || 농구 || 여자 || 김계령 김영옥 김지윤 박정은 변연하 이미선 이언주 이종애 장선형 전주원[br] 정선민 홍현희 || ===== 동메달 ===== || 동 || 사격 || 여자 10m 공기소총 개인전 || 박은영 || || 동 || 사격 || 남자 10m 공기소총 단체전 || 김병은 이우정 임영섭 || || 동 || 사격 || 여자 10m 공기소총 단체전 || 김형미 박은경 서선화 || || 동 || 사격 || 남자 10m 공기권총 개인전 || 진종오 || || 동 || 사격 || 여자 10m 공기권총 단체전 || 강은라 고진숙 박정희 || || 동 || 사격 || 여자 10m 공기권총 개인전 || 박정희 || || 동 || 사격 || 남자 더블트랩 개인전 || 정윤권 || || 동 || 사격 || 여자 스키트 개인전 || 곽유현 || || 동 || 사격 || 남자 25m 센터파이어권총 단체전 || 박병택 이상학 장대규 || || 동 || 사격 || 남자 50m 소총 3자세 개인전 || 박봉덕 || || 동 || 사격 || 남자 25m 스탠더드권총 개인전 || 박병택 || || 동 || 펜싱 || 여자 플러레 개인전 || 서미정 || || 동 || 펜싱 || 남자 사브르 개인전 || 김두홍 || || 동 || 펜싱 || 남자 에페 단체전 || 구교동 김명관 양뢰성 이상엽 || || 동 || 테니스 || 여자 단체전 || 전미라 정양진 조윤정 최영자 || || 동 || 테니스 || 남자 복식 || 권오희 김동현 || || 동 || 테니스 || 여자 단식 || 조윤정 || || 동 || 태권도 || 여자 -47kg || 강지현 || || 동 || 탁구 || 여자 복식 || 김무교 유지혜 || || 동 || 탁구 || 남자 단식 || 오상은 || || 동 || 탁구 || 여자 단식 || 유지혜 || || 동 || 카누 || 남자 C-2 1000m || 이병탁 이승우 || || 동 || 카누 || 남자 C-2 500m || 박창규 전광락 || || 동 || 축구 || 남자 || 김동진 김두현 김영철 김용대 박규선 박동혁 박요셉 박용호 박지성 변성환[br]이동국 이영표 이운재 조병국 조성환 최태욱 현영민 || || 동 || 체조 || 여자 마루 || 김지영 || || 동 || 체조 || 남자 도마 || 김대은 || || 동 || 체조 || 남자 평행봉 || 김승일 || || 동 || 체조 || 여자 리듬체조 단체전 || 유성은 이지애 조은정 최예림 || || 동 || 조정 || 여자 싱글 스컬 || 이은화 || || 동 || 조정 || 여자 무타 페어 || 김경미 백순미 || || 동 || 조정 || 남자 더블 스컬 || 김달호 김정관 || || 동 || 정구 || 혼합 복식 || 김희수 박영희 || || 동 || 정구 || 혼합 복식 || 김명희 박영희 || || 동 || 육상 || 남자 110m 허들 || 박태경 || || 동 || 유도 || 남자 -90kg || 박성근 || || 동 || 유도 || 남자 -60kg || 최민호 || || 동 || 유도 || 여자 -57kg || 김화수 || || 동 || 유도 || 여자 무제한급 || 조수희 || || 동 || 요트 || 여자 유럽급 || 홍진영 || || 동 || 요트 || 남자 레이스보드급 || 홍아람 || || 동 || 역도 || 남자 -62kg || 조효원 || || 동 || 역도 || 남자 -94kg || 이응조 || || 동 || 역도 || 여자 -75kg || 김순희 || || 동 || 역도 || 여자 +75kg || 문경애 || || 동 || 양궁 || 남자 개인전 || 임동훈 || || 동 || 양궁 || 여자 개인전 || 윤미진 || || 동 || 수영 || 남자 4x200m 계영 || 고윤호 김방현 최원일 한규철 || || 동 || 수영 || 여자 4x200m 계영 || 김예슬 김현주 심민지 하은주 || || 동 || 수영 || 남자 4x100m 계영 || 고윤호 김민석 성민 한규철 || || 동 || 수영 || 남자 400m 자유형 || 한규철 || || 동 || 수영 ||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 듀엣 || 김민정 장윤경 || || 동 || 수영 || 여자 4x100m 계영 || 김현주 류윤지 선소은 심민지 || || 동 || 수영 || 남자 4x100m 혼계영 || 고윤호 성민 손성욱 유정남 || || 동 || 수영 || 여자 4x100m 혼계영 || 구효진 박경화 선소은 심민지 || || 동 || 수영 || 남자 10m 싱크로나이즈드 다이빙 || 권경민 조과훈 || || 동 || 세팍타크로 || 여자 원형경기 || 김미진 김미현 김신정 나유미 박정현 이명은 || || 동 || 세팍타크로 || 남자 단체전 || 곽영덕 김대희 김재민 김형일 윤주형 이명철 이준표 정성화 정연홍 || || 동 || 세팍타크로 || 여자 단체전 || 김건선 김미진 김미현 김신정 나유미 박금덕 박미리 박아람 박정현 안순옥[br] 이명은 정지영 || || 동 || 사이클 || 여자 도로독주 || 이은주 || || 동 || 사이클 || 여자 500m 독주 || 이정애 || || 동 || 사이클 || 남자 1km 독주 || 김지범 || || 동 || 사이클 || 여자 3km 개인추발 || 임황준 || || 동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구현진 || || 동 || 사이클 || 남자 경륜 || 현병철 || || 동 || 볼링 || 남자 2인조 || 김명조 조남이 || || 동 || 복싱 || 남자 -71kg || 송인준 || || 동 || 복싱 || 남자 -63.5kg || 신명훈 || || 동 || 복싱 || 남자 -75kg || 문영승 || || 동 || 복싱 || 남자 -51kg || 김태근 || || 동 || 복싱 || 남자 -91kg || 이현성 || || 동 || 보디빌딩 || 남자 -80kg || 이진호 || || 동 || 보디빌딩 || 남자 +90kg || 최재덕 || || 동 || 배드민턴 || 여자 단식 || 김경란 || || 동 || 배드민턴 || 여자 복식 || 이효정 황유미 || || 동 || 배드민턴 || 남자 단식 || 손승모 || || 동 || 근대 5종 || 여자 단체전 || 고애리 박정빈 신은미 정창순 || || 동 || 공수도 || 남자 쿠미테 -75kg || 김병철 || || 동 || 골프 || 남자 개인전 || 김현우 || || 동 || 골프 || 여자 개인전 || 박원미 || == 한국 측 스폰서 == * [[삼성전자]] * [[우리은행]] * [[SK텔레콤]] * [[KT]] == 기타 == * 성화는 [[천지(백두산)|백두산 천지]]와 [[한라산]] [[백록담]]에서 채화되어 [[임진각]]에서 합화되었다. 성화의 최종점화도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인 남한의 [[하형주]] 선수와 북한의 [[계순희]] 선수가 공동 점화했다. 북한 성화 봉송자들이 채화하고 [[금강산]]에서 만나 남한에 인계했다. 개최 몇달 전 제2연평해전 등의 악재가 있었으나, 여전히 활발히 진행되던 [[햇볕정책]]을 위시한 남북관계 개선사업에 기인해 가능했던 것. * 이 때까지만 해도 생존해 있던 [[대한민국]] 스포츠의 영웅이자 원로인 [[손기정]] 선생이 점화자로 검토되기도 했는데, 이미 건강이 상당히 악화되었던 터라 점화자로 발탁되지 못했다. 그래도 2002 아시안 게임을 끝까지 보고 사망하였다. * 개/폐막식 총연출은 유명 사극 PD [[김재형(PD)|김재형]]이 맡았다. 참고로 개막공연은 [[난타]]가 주 컨셉이었다. * 선수들의 숙소를 해결하기 위해 반여동에 '''해운대 아시아선수촌'''이라는 대단지 아파트를 지었다. 숙소로 사용한 뒤에는 일반인들에게 분양되었다. 2,290세대로 반여동에서 제일 큰 아파트단지이기도 하다. * [[북한]]이 사상 처음으로 대한민국에서 열린 스포츠 대회에 참가한 대회이기도 하다. 북한은 그 동안 [[1988 서울 올림픽]]에 불참한 것을 비롯해서 대한민국에서 열린 수많은 스포츠 대회에 전부 불참했으나, 이 대회에 사상 처음으로 선수단을 파견한 것. 대한민국에서 [[인공기]] 게양과 [[애국가(북한)|북한 애국가]] 연주를 허락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에 따라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인 북한의 인공기가 공식적인 자리에서 처음 게양되고 북한 국가가 처음으로 정식 연주되었다.[* 대한민국이 먼저 여유를 보여줌에 따라서 이후 북한에서 열리는 국제대회에서도 태극기 게양와 애국가 연주가 뒤늦게 허용되었다.][* 사실 국제스포츠대회는 국제스포츠단체가 주관하기 때문에 원래 국제대회 원칙에 따라야 한다.] * 북한은 선수단 외에 젊은 여성들로 구성된 응원단을 파견하기도 했는데, 이들은 '미녀 응원단'이란 별명이 붙어 당시에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 사실 대한민국에서는 북한 선수들의 참가와 공식적인 자리의 인공기 게양 같은 것보다는 이 응원단이 더 많은 관심을 끄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미녀 응원단으로 불렸던 이 응원단은 가는 곳마다 관중을 불러모았다. 그 외에도 북한은 스스로를 '북한'이 아닌 '조선'으로 일컫기 때문에 북한 응원단을 환영한다는 플랜카드에 있는 '북한'이란 문구를 보고 항의해서 철거하는 일도 있었다. * [[대만]]이 개회식 때 [[청천백일만지홍기]]를 들게 해 달라고 요구했으나, [[부산광역시]] 관계자에 의해 저지되었다. 아시안 게임에서도 올림픽처럼 청천백일만지홍기를 내걸지 못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 결국 [[올림픽]]에서 그렇듯 [[중화 타이베이]]의 깃발인 매화기를 달아야 했다. *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남자 농구 대표팀]]이 중국을 102:100으로 이기고 20년 만에 AG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판정 논란이 있긴 했지만, 국내 농구 팬들에겐 잊을 수 없는 영광의 순간이다. * 이 대회의 공식 음악은 [[양방언]]이 작곡한 [[http://www.youtube.com/watch?v=vDd38LEu48Y&feature=youtu.be|Frontier]]라는 곡이다. 원래 이 곡은 2001년에 발매된 Pan-O-Rama라는 이름의 앨범에 수록되어 있던 퓨전 국악곡이었는데, 부산 아시안 게임 관계자가 우연히 이 곡을 듣고 공식 음악으로 선택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그런데 이 곡이 흥해서 현재까지도 인기를 끌고 있다. * [[축구]]의 경우 몇 달 전에 치러진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4강 신화에 힘입어 16년 만의 [[금메달]]을 노렸으나, 4강전에서 [[이란]]에 [[승부차기]]로 패해 [[3위 결정전]]으로 밀려나 동메달로 만족해야 했다. 승부차기 때 [[이영표]]가 날린 슛이 골대를 맞는 바람에 결승에 진출하지 못했는데, 세간에서는 이 골을 보고 일명 '''[[이동국]] 군대가라 슛'''이라는 별칭이 붙어졌고, 실제로 이동국은 바로 다음해인 2003년부터 광주 상무에 입대하여 병역 의무를 수행했다.[* 이동국 외에도 [[김용대]], [[김영철(축구)|김영철]] 등이 이 경기의 패배로 인해 병역 특례에 실패했지만, 아무래도 네임밸류가 높은 이동국의 이름을 따서 불린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 축구의 열기를 불과 100여 일만에 언제 그랬냐는 듯 사그러뜨린 사건이 되고 말았다.''' 그리고 이 대회를 통해 지도자 첫 감독 커리어를 시작한 [[박항서]]는 우승 실패를 이유로 부임 석 달 만에 전격 [[해임]]되는 어처구니가 없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 때의 자세한 정황은 [[박항서#s-3.3|박항서]] 문서에 서술되어 있다.] 이 때 이란 대표팀은 [[자바드 네쿠남]], 알리 다에이, 골모함마디, 바헤디, 카에비, 알리레자, 에브라힘 등 전력이 상당했다. 특히 와일드카드로 공격수와 골키퍼를 뽑는 등 준비가 철저했기 때문에 상당히 전력이 강했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원래는 아시안 게임 개최에 맞춰 개통할 계획이었다. 주경기장 바로 옆을 [[종합운동장역(부산)|종합운동장역]]이 지나가도록 지어지기도 했고, 노선에 [[아시아드선]]이라는 애칭을 붙이기도 했었다. 그러나 [[1997년 외환 위기]]와 계획 변경[* [[미남역]] - [[안평역]] 구간을 지선으로 하려던 것을 경전철로 바꾸면서 4호선으로 분리된 것 등.] 등 이런저런 이유로 공사가 늦어져서, 실제 개통은 아시안게임이 끝나고도 3년이나 더 지나서야 가능했다. 그래도 아시안 게임 기간 동안 원활한 교통 흐름을 대비하기 위해서 [[미남역]]~[[거제역]] 구간의 경우 토목공사에 한해서는 예정대로 진행하였다.[* 그 증거로 해당 구간의 역사 출입구와 환풍구 디자인을 들 수 있다. 출입구의 경우, 다른 구간에 속한 역사의 그것과는 다르게 전체적인 형태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2단계 구간과 거의 같고 마감재를 검정색 화강암으로 마무리 하는 등의 차이를 보여주었고 난간 장식도 부산 아시안 게임 공식로고를 금색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환풍구도 2호선 2단계 구간의 그것과 형상이 거의 유사하고 측면에 장식을 놓고 상부 마감은 검정색 화강암으로 마무리 하였다.][* 다만 출입구에 계단을 설치한 것은 [[종합운동장역(부산)|종합운동장역]] 5번, 7번, 9번, 11번 출구를 제외하고 대회 이후 2005년에 마무리 공사 동안에 설치하였다.][* 앞서 언급한 해당 번호의 출입구는 미남~거제역간 출입구 중에서 가장 먼저 2001년에 완공되었고 외부 마감조차도 2호선 출입구랑 완전히 똑같은 형태이다. 게다가 이 출입구는 3호선 개통 이전까지는 지하도 출입구로 임시로 활용한 전적이 있다. 다만 5번, 7번 출입구는 이후에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로 인해 철거하고 다시 만든 전적이 있다.] * 부산 아시안 게임의 경기 진행 장소를 보면 창원시, 양산시, 마산시, 울산광역시 등 모두 그 당시 영남권에서 중소~대도시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양산시]]의 경우 본 아시안 게임을 대비해 [[양산종합운동장]]이 계획, 조성됐다. * 이 대회는 대한민국의 5대 국경일 중 [[개천절]]과 [[한글날]] 2개를 끼고 열렸다. 단, 한글날은 당시 공휴일은커녕 국경일도 아니었다.[* 1991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된 한글날이 공휴일로 다시 지정된 것은 2013년부터.] [[분류:2002 부산 아시안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