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시리즈 목록)] ---- ||<-5><#fff><:>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30]]]] [br] '''[[일본시리즈|{{{#FF2400 역대 일본시리즈 우승팀}}}]]''' || ||<:> [[1999년 일본시리즈|1999년]] [br]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 {{{+1 ←}}} ||<:><#fff> '''2000년 [br] [[요미우리 자이언츠]]''' ||<:> {{{+1 →}}} ||<:> [[2001년 일본시리즈|2001년]] [br] [[야쿠르트 스왈로즈]]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ps666-jpp14315256.jpg|width=300%]]}}} || ||||<:> '''{{{#ffffff 2000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 || ||<:> '''{{{#fe5a1d MVP}}}''' || '''[[마쓰이 히데키|{{{#fe5a1d 마쓰이 히데키}}}]]''' || [목차] [clearfix] == 개요 == ||<-2><:> {{{+1 '''{{{#ffffff NIPPON SERIES 2000}}}'''}}} || ||<:> [[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화이트 심볼.svg|width=160]]||<#000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svg|width=130]]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000000 {{{+1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ffffff {{{+1 '''요미우리 자이언츠'''}}}}}}]] || 퍼시픽 리그 우승팀인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와 센트럴 리그 우승팀인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치른 일본시리즈다. [[오 사다하루|양 팀]] [[나가시마 시게오|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주요 선수여서 이들의 이름을 딴 ON시리즈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 경기 내용 == === 1차전 === ||<-15> {{{#ffffff 10월 21일}}} [[도쿄 돔|{{{#ffffff 도쿄 돔}}}]] || || '''팀명''' || '''선발투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ff3300>{{{#ffffff '''다이에'''}}} || '''와카타베 켄이치''' || 0 || 1 || 0 || 0 || 0 || 0 || 2 || 0 || 2 || '''5''' || '''8''' || '''1''' || '''1''' || ||<:><#000000>{{{#fe5a1d '''요미우리'''}}} || '''[[쿠도 키미야스]]''' || 2 || 1 || 0 || 0 || 0 || 0 || 0 || 0 || 0 || '''3''' || '''9''' || '''0''' || '''4''' || * 승리투수 : 요시다 슈지(1승) * 패전투수 : [[마키하라 히로미]](1패) * 세이브 : 로드니 페드라자(1세이브) * 홈런 : [[조지마 겐지]](2회 1점), [[마쓰나카 노부히코]](7회 2점), 멜빈 니에베스(9회 1점, 이상 다이에), 마쓰이 히데키(1회 2점, 요미우리) 선취점은 요미우리가 냈지만, 그 이후 역전에 성공해서 5-3으로 승리를 거뒀다. === 2차전 === ||<-15> {{{#ffffff 10월 22일}}} [[도쿄 돔|{{{#ffffff 도쿄 돔}}}]] || || '''팀명''' || '''선발투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ff3300>{{{#ffffff '''다이에'''}}} || '''나가이 토모히로''' || 0 || 0 || 0 || 0 || 6 || 0 || 2 || 0 || 0 || '''8''' || '''11''' || '''0''' || '''2''' || ||<:><#000000>{{{#fe5a1d '''요미우리'''}}} || '''대럴 메이''' || 0 || 2 || 1 || 0 || 0 || 0 || 0 || 0 || 0 || '''3''' || '''5''' || '''1''' || '''6''' || * 승리투수 : 와타나베 마사카즈(1승) * 패전투수 : 대럴 메이(1패) * 홈런 : [[조지마 겐지]](7회 2점, 다이에) 이로써 다이에는 적지에서 2연승을 하고 홈인 후쿠오카 돔에 가게 되었다. === 3차전 === ||<-15> {{{#fe5a1d 10월 23일}}} [[후쿠오카 PayPay 돔|{{{#fe5a1d 후쿠오카 돔}}}]] || || '''팀명''' || '''선발투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000000>{{{#fe5a1d '''요미우리'''}}} || '''[[우에하라 고지]]''' || 0 || 3 || 4 || 0 || 0 || 0 || 2 || 0 || 0 || '''9''' || '''14''' || '''0''' || '''3''' || ||<:><#ff3300>{{{#ffffff '''다이에'''}}} || '''브레디 라지오''' || 0 || 3 || 0 || 0 || 0 || 0 || 0 || 0 || 0 || '''3''' || '''8''' || '''0''' || '''1''' || * 승리투수 : [[우에하라 고지]](1승) * 패전투수 : 브레디 라지오(1패) * 홈런 : [[타카하시 요시노부]](2회 2점), [[마쓰이 히데키]](7회 2점, 이상 요미우리), [[조지마 겐지]](2회 1점, 다이에) === 4차전 === ||<-15> {{{#fe5a1d 10월 26일}}} [[후쿠오카 PayPay 돔|{{{#fe5a1d 후쿠오카 돔}}}]] || || '''팀명''' || '''선발투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000000>{{{#fe5a1d '''요미우리'''}}} || '''[[사이토 마사키]]''' || 1 || 1 || 0 || 0 || 0 || 0 || 0 || 0 || 0 || '''2''' || '''7''' || '''0''' || '''2''' || ||<:><#ff3300>{{{#ffffff '''다이에'''}}} || '''타노우에 케이사부로''' || 1 || 0 || 0 || 0 || 0 || 0 || 0 || 0 || 0 || '''1''' || '''4''' || '''1''' || '''2''' || * 승리투수 : [[사이토 마사키]](1승) * 패전투수 : 타노우에 케이사부로(1패) * 세이브 : [[오카지마 히데키]](1세이브) * 홈런 : 에토 아키라(2회 1점, 요미우리), 멜빈 니에메스(1회 1점, 다이에) === 5차전 === ||<-15> {{{#fe5a1d 10월 27일}}} [[후쿠오카 PayPay 돔|{{{#fe5a1d 후쿠오카 돔}}}]] || || '''팀명''' || '''선발투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000000>{{{#fe5a1d '''요미우리'''}}} || '''타카하시 히사노리''' || 0 || 1 || 0 || 0 || 1 || 0 || 2 || 2 || 0 || '''6''' || '''10''' || '''1''' || '''4''' || ||<:><#ff3300>{{{#ffffff '''다이에'''}}} || '''와카타베 켄이치'''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 || '''0''' || * 승리투수 : 타카하시 히사노리(1승) * 패전투수 : 와카타베 켄이치(1패) * 홈런 : [[타카하시 요시노부]](2회 1점), 에토 아키라(5회 1점), 무라타 신이치(7회 2점, 이상 요미우리) 비록 홈에서 요미우리가 2연패 했지만, 적지인 후쿠오카 돔에서 스윕을 하면서 3승 2패로 앞서나갔다. === 6차전 === ||<-15> {{{#fe5a1d 10월 28일}}} [[도쿄 돔|{{{#fe5a1d 도쿄 돔}}}]] || || '''팀명''' || '''선발투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ff3300>{{{#ffffff '''다이에'''}}} || '''나가이 토모히로''' || 0 || 0 || 1 || 1 || 0 || 1 || 0 || 0 || 0 || '''3''' || '''7''' || '''0''' || '''2''' || ||<:><#000000>{{{#fe5a1d '''요미우리'''}}} || '''대럴 메이''' || 0 || 0 || 4 || 0 || 5 || 0 || 0 || 0 || X || '''9''' || '''12''' || '''1''' || '''5''' || * 승리투수 : 대럴 메이(1승 1패) * 패전투수 : 나가이 토모히로(1패) * 홈런 : [[조지마 겐지]](4회 1점, 다이에), [[마쓰이 히데키]](3회 2점, 요미우리) 요미우리가 이기면서 6년 만에 V19를 이루게 되었다. == 총평 == === 승리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패배팀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요미우리 자이언츠)] == 여담 == * 이로부터 [[2007년 한국시리즈|7년 뒤]] 한국에서 그대로 재현된다.[* 홈에서 2연패를 한 뒤, 적지에서 스윕하고 홈에서 우승했다.] * 이 해 일본시리즈는 변칙적인 일정으로 치러졌는데, 1997년 후쿠오카 돔 측이 다이에의 허가도 없이 일본 뇌신경외과학회의 장소 대여 의뢰를 받아 시리즈 일정과 겹치는 2000년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구장을 빌려주기로 결정했지만 이듬해인 1998년에 다이에가 연고지를 후쿠오카로 이전한 후 처음으로 A클래스 진입에 성공하여 돌연 일본 시리즈 개최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구단이 일본 뇌신경외과학회에 일정 변경을 요구했으나 국내외에서 2만 명 이상의 인원이 집결하는 대규모 총회인지라 이미 관련 준비가 여러 모로 끝난 상태라면서 거절당했다. 그래서 당시 다이에의 나카우치 다다시 구단주 대행이 일본 야구 기구측에 ‘일본 시리즈 개최지의 센트럴·퍼시픽 교체’, ‘일본 시리즈 일정 자체의 변경’, ‘다른 퍼시픽 리그 팀의 연고지 구장에서의 경기 개최’, ‘기타큐슈 시민 구장이나 나가사키 빅N 스타디움 등을 비롯한 규슈 지역 내의 타 구장에서의 개최’ 등을 제의했지만 모두 거절당했고, 일본 뇌신경외과학회측도 일부 일정을 단축해서 야간 시간대를 비워주는 등 협조에 나섰다. 그 결과 ‘도쿄 돔·도쿄 돔·후쿠오카 돔·휴식일·휴식일·후쿠오카 돔·후쿠오카 돔·도쿄 돔·도쿄 돔’ 이라는 방식으로 이렇게 이동일 없이 9일간의 변칙 일정으로 경기를 개최한다고 8월 21일에 발표했다. 또한 일본시리즈 종료 후 다이에는 개최 일정 확보를 소홀히 했다는 이유로 일본 야구 기구로부터 제재금 3,000만 엔[* 구단 또는 개인에게 부과된 제재금으로서는 최고 액수]을 부과받았다. * 한편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는 [[2003년 일본시리즈|3년 뒤 우승을 하고]], 2005년 모기업이 소프트뱅크로 바뀌게 된다. 그 이후 [[2011년 일본시리즈|주니치]]를 시작으로, [[2014년 일본시리즈|한신]],[[2015년 일본시리즈|야쿠르트]],[[2017년 일본시리즈|DeNA]]를 격파한 뒤, 요미우리에게 [[2019년 일본시리즈|19년 뒤]],[[2020년 일본시리즈|20년 뒤]] 2년 연속 피스윕을 선물하면서 복수에 이자까지 쳐서 갚는 데 성공하였다. * 또한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이로부터 [[2002년 일본시리즈|2년 뒤]] 아홉수마저 탈출하게 된다. [각주] [[분류:일본시리즈]][[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분류: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분류:2000년 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