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세기 스튜디오)] [include(틀:대한민국의 영화 배급사)] ||<-2> '''{{{+1 20세기 스튜디오 코리아}}}[br]20th Century Studio Kore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rh Century Studios.jpg|width=100%]]}}} || || '''업종''' ||영화 배급, 수입|| || '''대표자''' ||오상호 || || '''링크''' ||[[https://www.20thcenturystudio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20thCenturyStudios.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twitter.com/20thcenturyKR|[[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 [[https://www.instagram.com/20thcenturystudiosk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user/FoxMoviesK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옛 [[20세기 폭스]]의 한국 현지법인. 2019년, [[20세기 스튜디오]]로 사명을 변경하고 [[월트 디즈니 컴퍼니]] 산하의 스튜디오로 통합 되면서 20세기 폭스 코리아가 보유한 자산이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로 양수됐으며, 기존 법인은 2019년 9월에 청산됐다. 현재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산하 사업 부문이며, 홍보를 위해 개설한 소셜미디어 계정, 블로그, 유튜브 채널 등은 '20세기 스튜디오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유지되고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52 (역삼동)에 소재했다. == 역사 == === 20세기 폭스 코리아 === 1988년 미국영화 직배 허용에 발맞춰 (주)20세기폭스코리아로 설립한 이래 영화 직배를 맡으며 대우전자와 비디오 공급계약을 해왔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우일영상, 동우영상, 세음미디어(시네마트)와 각각 공급계약을 맺기도 했고 1993년에 자회사 20세기폭스홈엔터테인먼트코리아를 세웠다. 1998년에 한국BMG뮤직과 음반 및 영화에 걸쳐 공동으로 마케팅을 하기도 했다. == 특징 == === 한국영화 제작·투자 === [[런닝맨(한국 영화)|런닝맨]]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한국 영화에 대한 투자를 시작했다. 엄밀히 따져보면 [[황해(영화)|황해]]도 부분 투자를 받았으므로 런닝맨이 처음은 아니다. 아무튼, [[슬로우 비디오]], [[나의 절친 악당들]]을 연달아 개봉했으나 실패했다. 2016년에 [[곡성(영화)|곡성]]이 대박을 터트려, 한국 영화 제작에 더 투자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17년에는 [[대립군]]을 개봉하였으나 또 실패 하고 말았다.[* 탈도 많고 말도 많은 영화였다. 상영 전부터 고증 오류로 많은 말이 있었고 특히 상영관 관련이슈로 감독이 불만을 나타내는 등 논란이 많았다. 자세한 것은 [[대립군|항목]]참조.] == 역대 대표이사 == 이하 인물들은 2019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로 사업이 통합되기 전 대표이사들이다. * 로렌트 제이 셰프레스 (1989~1991) * 폴 해네만 (1991~1993) * 김정상[* 이후 시네마플러스 및 플래너스 대표이사, 20세기 폭스 아시아총괄 부사장, 씨그널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등을 지냄.] (1993~2000) * 이철승 (2000~2002) * 이주성[* 전 20세기 폭스 홈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대표이사. 이후 20세기 폭스 재팬 대표이사 역임.] (2002~2006) * 심재만[* 심통필름 창업주.] (2006~2008) * 오상호 (2008~2019) == [[20세기 스튜디오 코리아/작품 목록|작품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세기 스튜디오 코리아/작품 목록)] == 흥행성적 (300만 이상, 국내 기준)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을 기준으로 하였다. 흥행성적이 300만명 이상이거나 현재 상영 중인 영화 목록이다. ||
'''순위''' || '''제목''' || '''감독''' || '''관객 수''' || '''매출액''' || '''개봉년도''' || '''비고''' || || 1 || [[아바타(영화)|아바타]] || [[제임스 카메론]] || 13,302,637명|| 124,897,072,500원|| 2009 || || || 2 ||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 [[브라이언 싱어]] || 9,948,386명|| 86,280,975,785원|| 2018 || || || 3 || [[곡성(영화)|곡성]] || [[나홍진]] || 6,879,908명|| 55,863,520,382원|| 2016 || 한국 제작 || || 4 ||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 [[매튜 본]] || 6,129,681명|| 50,369,009,795원|| 2014 || || || 5 || [[킹스맨: 골든 서클]] || [[매튜 본]] || 4,945,486명|| 40,987,504,736원|| 2017 || || || 6 || [[마션(영화)|마션]] || [[리들리 스콧]] || 4,881,865명|| 39,672,140,595원|| 2015 || || || 7 ||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 [[브라이언 싱어]] || 4,313,871명|| 34,654,558,766원|| 2014 || || || 8 || [[박물관이 살아있다!]] || [[숀 레비]] || 4,245,247명|| 24,401,542,200원|| 2006 || || || 9 ||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 || [[맷 리브스]] || 4,002,560명|| 31,514,053,095원|| 2014 || || || 10 || [[데드풀 2]] || [[데이비드 리치]] || 3,784,636명|| 34,185,883,139원|| 2018 || || || 11 || [[다이 하드 4.0]] || 렌 와이즈먼 || 3,387,936명|| 22,086,246,598원|| 2007 || || || 12 || [[데드풀(영화)|데드풀]] || 팀 밀러 || 3,317,191명|| 27,595,579,651원|| 2016 || || ||<-7>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FormerBoxOfficeList.do| 공식 통계 기준]] || == 자회사 == * 20세기 폭스 홈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2008년]] 청산됨. == 기타 == == 관련 문서 == * [[20세기 스튜디오]] [[분류:20세기 스튜디오]][[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사]][[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급사]][[분류:1988년 기업]][[분류:2019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