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웹예능을 위해 분리된 채널, rd1=1theK Originals)] [include(틀:1theK)] ---- [include(틀:카카오엔터테인먼트)]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1theK 로고.svg|width=150]]||{{{#ffffff,#fafafa {{{+3 {{{#000000 '''1theK'''}}}}}}[br]{{{-2 {{{#000000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 || '''개설일자''' || [[2011년]] [[1월 30일]][* 다만 원더케이로 채널 이름을 바꾼 날은 [[2014년]]경이다.] || || '''운영'''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 '''유튜브 구독자''' || 2,470만명[*기준 [[2024년]] [[2월 1일]] 기준.] || || '''유튜브 조회수''' || 24,730,601,557회 [*기준 ] || || '''공식 SNS''' || [[http://www.1thek.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1theK, 크기=25)] [[https://www.facebook.com/1theK|[[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1the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tv.naver.com/1thek|[[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user/LOENEN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tv.kakao.com/channel/2279606/info|[[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문화예술: 1. 개요 및 평가 문단 작성 시 준수사항 ## 문화예술인 문서의 개요 및 평가 문단에서 볼드체, 밑줄과 같은 강조 표현 사용을 예외 없이 금지합니다. 문화예술인 문서의 개요 문단에서 서열을 나누는 서술을 금지합니다. 이는 문화예술인 개인의 문서와 문화예술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스포츠 팀, 구단, 크루 등)에 모두 적용됩니다. [youtube(PDMqBDHcN3I)] >"K-POP WONDERLAND, 1theK"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서 2014년에 론칭한 브랜드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이 음원을 유통한다면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1theK는 유튜브에서 영상물을 유통한다. 브랜드 명칭은 한류의 넘버원이라는 뜻의 1을 넣고 또 콘텐츠가 한 곳에 모인다는 의미의 원 스팟(One Spot), Wonder의 원더 등 여러 의미를 한 이름에 넣었다고 한다. 기존 로엔뮤직 계정에서 이름만 바꾼 것이라 주소도 LOENENT를 쓰고 있고 예전 로엔 시절 올렸던 영상들도 그대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채널의 가장 오래된 영상은 로엔 시절 로엔이 직접 매니지먼트했던[* 현재도 카카오 계열 [[이담엔터테인먼트]] 소속], 3단고음으로 케이팝의 전설급 곡이 된 그 유명한 [[아이유]]의 [[좋은 날]] 뮤직비디오이다.[* 이 곡은 [[빌보드]] 기자들이 뽑은 2010년대의 K-POP 1위, 여러 교과서에 한국의 2010년대 가요계를 대표하는 곡으로 선정되기도 한 곡이므로 이 곡의 뮤직비디오가 등록된 채널이라는 것은 여러모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이 채널에서 가장 조회수가 많은 곡은 [[방탄소년단]]의 [[쩔어(방탄소년단)|쩔어]] 뮤직비디오이다. 이 채널은 런칭 다섯달만에 채널 영상 조회수 10억뷰를 달성했다. 해외 시장을 노려서인지 영상 다수가 기본적으로 영어 자막을 제공한다. 그리고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유통하는 공식 채널이기 때문에 여기에 올라온 뮤비 조회수는 음방 순위에 포함된다. 2018년부터 자신들이 직접 투자하고 유통하는 뮤직비디오 중간중간에 로고를 삽입하는 [[PPL]]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모모랜드]]의 [[뿜뿜]]과 [[BAAM]],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여름여름해 (Sunny Summer)]]와 [[여름비 (SUMMER RAIN)]], 그리고 [[Labyrinth(여자친구)|Labyrinth]], [[Apink]]의 [[PERCENT#%%(응응)|%%(응응)]]과 [[1도 없어]] 그리고 [[AOA(아이돌)|AOA]]의 [[Excuse Me]]가 있다. 2020년 10월 기준으로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수는 2120만 명을 넘어섰고, [[https://socialblade.com/youtube/top/country/kr/mostsubscribed|한국 유튜브 채널 중 6위]]에 올라있다. 2021년에는 더욱 증가하여 2310만명을 달성했다. 간혹 90년대-2010년대 초반 오래된 뮤직비디오도 업로드 하는데 이는 해당 음원을 타사가 권리를 갖고 있다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로 소유권이 변경된 음원들이다. 당시 티저영상도 같이 올리는데 이 때문에 뮤비가 왜 지금 올라오냐고 당황하는 댓글이 올라오기도 한다. == 콘텐츠 == 기본적으로 뮤직 비디오나 쇼케이스가 올라온다. 원더케이 자체 웹예능 콘텐츠도 1theK 채널에 올라오다가 2019년 6월부터 [[1theK Originals]]라는 채널을 따로 분리해서 올리기 시작했다. === [[Let's Dance(1theK)|Let's Danc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et's Dance(1theK))] 로엔TV시절부터 이어진 역사와 전통의 1theK 자체 콘텐츠. === [[無뜬금라이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無뜬금라이브)] === ask in a box === 멜론, 페북, 트위터 등에 올라온 맴버들에 대한 질문에 답해주는 웹예능. === IN&OUT DANCE(인앤아웃 댄스) === === Live ONE(라이브원) === === Special Clip === === GAP CRUSH(내돌의 온도차) === 가수들이 다양한 분위기의 옷을 입으며 여러가지의 온도차를 보여주는 코너. 그리고 미공개 버전도 따로 올려주며 채널 분리 이후로는 1theK Originals에서 이어지고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theK Originals, 문단=2.5)] === GODRAOKE(프로의 노래방) === === Suit Dance(수트 댄스) === 말 그대로 수트를 입고 댄스를 하는 영상이다. 채널 분리 이후로는 1theK Originals에서 이어지고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theK Originals, 문단=2.4)] === STAR MEME CHAT(고독한 덕계방) === [[분류:1th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