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 ||<-3> {{{+4 ''' {{{#fff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 ''' }}} || ||<-3> '''{{{#fff 제16회 동계올림픽 경기대회 [br]Les XVIes Jeux olympiques d'hiver[br] XVI Olympic Winter Games[[상표|{{{#fff ™}}}]][br]{{{+1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경기대회}}}[br]Les Jeux olympiques d'hiver de 1992[br]Olympic Winter Games Albertville 1992}}}''' || ||<-3> [[파일: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로고.svg|width=60%]] || ||<-3> [[파일:external/colorlib.com/Albertville-winter-Olympics-poster-1992.jpg|width=90%]] || || {{{#ffffff '''대회기간'''}}} ||<-2><#ffffff> [[1992년]] [[2월 8일]] ~ [[2월 23일]] || || {{{#ffffff '''개최국'''}}} ||<-2><#ffffff> [[프랑스]]/[[알베르빌]] || || {{{#ffffff '''슬로건'''}}} ||<-2><#ffffff> '''Savoie en Fête'''[br]'''Party in Savoie''' [br] (사부아의 축제) || || {{{#ffffff '''마스코트'''}}} ||<-2><#ffffff> 마지크 || || '''참가국''' ||<-2><#ffffff> 67개국 || || '''참가선수''' ||<-2><#ffffff> 1,801명[br](남자: 1,313명, 여자: 488명) || || '''경기종목''' ||<-2><#ffffff> 7개 종목, 57개 세부 종목 || || '''개회 선언''' ||<-2><#ffffff> [[프랑수아 미테랑]][br],,[[프랑스 대통령]],, || || {{{#ffffff '''선수 선서'''}}} ||<-2><#ffffff> [[수리야 보날리|쉬르야 보날리]][br]{{{-2 [[피겨 스케이팅]]}}} || || {{{#ffffff '''심판 선서'''}}} ||<-2><#ffffff> 피에르 보르나 || || {{{#ffffff '''성화 점화'''}}} ||<-2><#ffffff> [[미셸 플라티니]][br]프랑수아시릴 그랑주 || || {{{#ffffff '''개·폐회식장'''}}} ||<-2><#ffffff> [[테아트르 드 세레모니]] || [목차] [clearfix] == 소개 ==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에서 개최된 제16회 동계올림픽. 하계올림픽과 개최연도가 같은 마지막 동계올림픽이다. 그리고 [[윤년]]에 개최된 마지막 동계올림픽이기도 하다.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부터는 [[올림픽|하계올림픽]]과 2년씩 번갈아서 하게[* 즉, [[FIFA 월드컵]]이 열리는 해에 개최되게] 조정되었다. 프랑스에서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 이후 24년만에 세 번째로 열린 동계올림픽이다. 동계 패럴림픽과 동계올림픽이 같은 장소에서 열린 첫 번째 대회로, 이 대회부터 동계 패럴림픽과 본올림픽이 같은 장소에서 열리게 되었다. == 유치 == [[올림픽]]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투표 사상 치열한 경합이 벌어진 [[경선]]이었다. [[단일화]]도 없이 각자도생으로 경쟁하는바람에 6차 투표까지 나왔다. ||<-11> 1992년 올림픽 유치 투표 과정 || || 국가 || 도시 || 1차투표 || 2차투표 || 3차투표 || 4차투표 || 동점자투표 || 최종투표 || 결과 || || '''[[프랑스]]''' || '''[[알베르빌]]''' || 19 || '''26''' || '''29''' || '''42 ''' || || '''51''' || '''유치 선정''' || || [[불가리아]] || [[소피아(도시)|소피아]] || '''25''' || 25 || 28 || 24 || || 25 || 탈락 || || [[스웨덴]] || [[팔룬]] || 10 || 11 || 11 || 11 || 41 || 9 || 탈락 || || [[노르웨이]] || [[릴레함메르]] || 10 || 11 || 9 || 11 || 40 || || 탈락 || || [[이탈리아]] || [[코르티나담페초]] || 7 || 6 || 7 || || || || 탈락 || || [[미국]] || [[앵커리지]] || 7 || 5 || || || || || 탈락 || || [[독일]] || [[베르히테스가덴]] || 6 || || || || || || 탈락 || == 메달 == ||<-6> 1992년 올림픽 메달 순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독일]] || 10 || 10 || 6 || 26 || || 2 || [[독립국가연합|단일팀]] || 9 || 6 || 8 || 23 || || 3 || [[노르웨이]] || 9 || 6 || 5 || 20 || || 4 || [[오스트리아]] || 6 || 7 || 8 || 21 || || 5 || [[미국]] || 5 || 4 || 2 || 11 || || 6 || [[이탈리아]] || 4 || 6 || 4 || 14 || || 7 || '''[[프랑스]]''' || 3 || 5 || 1 || 9 || || 8 || [[핀란드]] || 3 || 1 || 3 || 7 || || 9 || [[캐나다]] || 2 || 3 || 2 || 7 || || 10 || [[대한민국]] || 2 || 1 || 1 || 4 || || 11 || [[일본]] || 1 || 2 || 4 || 7 || 이 대회는 [[소련]] 붕괴 직후 [[독립국가연합|단일팀]](EUN) 이름으로 참가한 유이한 올림픽 대회이다. 1992년 이후로는 각 국가 이름으로 나오게 되었다. 독일은 통일팀으로 출전했다. 아직까지는 지난 대회까지 1위, 2위를 차지한 소련과 [[동독]]의 위세가 남아 있는 결과였다. 하지만 노르웨이와 오스트리아의 성장이 매우 두드러졌고, 국가 간의 메달 기록이 비등해진 대회였다. 종목이 36개(84년), 49개(88년)였던 그 전까지의 대회와 달리 57개 종목에서 메달이 쏟아졌기 때문이다. [[북한]]은 동메달 1개를 기록했다([[스페인]]과 동일, 공동 19위). [[룩셈부르크]]도 은메달 2개로 16위, [[중국]]은 은메달 3개로 15위의 혁혁한 성과를 거두었다. 반면 전년도 3위 [[스위스]]는 금 1, 동 2(14위), 5위 [[스웨덴]]은 금 1, 동 3(13위), 7위 [[네덜란드]]는 금 1, 은 1, 동 2(12위)로 나란히 부진한 결과였다. ==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s-5.12|대한민국 동계올림픽 성적]] == ■ 1992 16회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1992 Winter Albertville Olympics) * 기간 : 2월 8일 ~ 2월 23일 * 규모 : 64개국 * 종목 : 57 개 * 참가선수 : 1,801명 * 개막일 : [[1992년]] [[2월 8일]] * 폐막일 : [[1992년]] [[2월 23일]] * 쇼트트랙 남자 1,000m [[김기훈(쇼트트랙)|김기훈]] (금메달) *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김기훈(쇼트트랙)|김기훈]], [[모지수]], [[송재근]], [[이준호(쇼트트랙)|이준호]]) (금메달)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m [[김윤만]] (은메달) * 쇼트트랙 남자 1,000m [[이준호(쇼트트랙)|이준호]] (동메달) 대한민국 동계올림픽 참가 역사를 통틀어 가장 의미가 깊은 대회 중 하나가 이 대회다. 이 대회에서 [[김윤만|동계올림픽 사상 최초의 메달리스트]]가 탄생했고 [[김기훈(쇼트트랙)|사상 최초의 금메달리스트]]도 탄생했다. 대한민국은 종합 10위의 성적을 거두면서 이 대회를 통해 동계 스포츠의 변방에서 중심에 가깝게 한 걸음 발돋움하는 계기가 됐다. 아울러 이 대회를 계기로 동계올림픽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본격적으로 높아졌다. [[파일:대한민국동계올림픽성적12.png]] == 주요 화제들 == [youtube(GpVvTBmaqIg)] * 스피드스케이팅 1000m에 출전한 [[김윤만]] 선수가 [[1992년]] [[http://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327|2월 19일]] [[대한민국]] 선수로는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 메달(은메달)을 따서 11번째 참가 끝에 [[대한민국]]에게 최초로 동계 올림픽 메달을 안겨다 준 선수가 되었다. 1위와의 격차는 불과 0.01초. 또한 이틀 뒤인 [[https://mn.kbs.co.kr/mobile/news/view.do?ncd=4136627|2월 21일]] 쇼트트랙에서는 남자 1000m 종목에 출전한 [[김기훈(쇼트트랙)|김기훈]] 선수가 1위를 차지해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 [[독일]]의 마르크 키르히너는 [[바이애슬론]]에서 전 경기에서 메달을 딴 첫 선수가 되었다. 남성 10km 스프린트와 7.5km * 4 계주에서 금메달 2개, 남성 20km에서는 은메달. * 한국 외에도 중국과 뉴질랜드가 이번 대회에서 처음으로 동계올림픽 메달을 획득하였다. 특히 뉴질랜드의 안네리스 코베르거는 알파인 스키 여자 슬라롬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최초의 남반구 출신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북한도 쇼트트랙의 황옥실 선수가 여자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28년만에 동계올림픽 메달을 획득하는데 성공한다. * 마스코트는 마법사 '마지크'(Magique)였다. [[파일:external/www.theolympicdesign.com/11mascot.jpg]] * [[스키점프]] 종목 경기가 경기 도중에 갑자기 취소되는 경기 사고가 있었다. * 동계와 하계올림픽 개최주기 변경에 따라 동계와 하계가 동년에 열리는 마지막 대회이다. 다음 동계올림픽인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은 2년 후 1994년 2월에 개최하여 1996년 [[미국]]에서 열렸던 [[1996 애틀랜타 올림픽]]과 분리개최하게 되었다. * 스피드스케이팅 경기를 실외에서 치룬 마지막 대회였다. [[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ney57nxuTK1u33qn2o1_500.jpg]] *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는 미국의 [[크리스티 야마구치]]가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당초 여자 싱글에서는 [[토냐 하딩]]과 [[이토 미도리]]간에 트리플악셀 매치가 성사될 것처럼 보였으나, 뚜껑을 열었더니 야마구치의 우아함과 3-3점프의 승리였다. [[크리스티 야마구치]]와 [[이토 미도리]]의 경쟁은 피겨스케이팅 라이벌리 역사의 한 페이지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역사는 되풀이되어서 이 경쟁 구도를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김연아]]와 [[아사다 마오]]가 계승하게 되었다. * [[크리스티 야마구치]]는 1988년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리스트였으며, 여자 싱글에서 주니어 월드챔피언이 올림픽 챔피언까지 오른 첫 사례로 기록되었다. 이후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수상한 [[김연아]](2006년 주니어세계선수권 우승)가 그 뒤를 이었다. 둘 다 주니어 우승 4년 후 올림픽 금메달을 수상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 은메달리스트는 일본의 [[이토 미도리]]였으며, 이는 일본이 피겨에서 얻은 최초의 올림픽메달이었다. 그녀의 은메달 직후 일본은 얼음폭풍 프로젝트를 기획, 국가적으로 피겨스케이팅 인프라 확장에 나선다. 이 범국가적 육성프로젝트 결과, 일본은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아라카와 시즈카]]의 올림픽 금메달[* 토리노 올림픽에서 일본이 따낸 유일무이한 메달이기도 하다.]과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아사다 마오]]의 은메달[* 당시 금메달리스트가 다름아닌 [[김연아]].] , [[다카하시 다이스케]]의 동메달,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하뉴 유즈루]]의 금메달이라는 성과를 거두게 된다. [[분류: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