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include(틀: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목차] [clearfix] == 개요 ==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의 결선 토너먼트 준결승전과 결승전을 설명하는 문서. == 대륙별 4강 진출국 == * '''[[UEFA]]: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CONMEBOL]]: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4강전 == === 제1 경기: 이탈리아 1-1(PK 3-4) 아르헨티나 === ||<-3>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width=80]]]][br]'''{{{#000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준결승 제1경기[br]1990. 07. 03. (화) 20:00 (UTC+1)}}}''' || ||<-3> '''{{{#fff [[스타디오 산 파올로|{{{#fff 스타디오 산 파올로}}}]] [[나폴리|{{{#fff (이탈리아, 나폴리)}}}]]}}}''' || ||<-3> '''{{{#fff 주심:}}}''' [[프랑스|[[파일:UEFA FRA.png|height=20]]]] [[미셸 보트로|{{{#fff '''미셸 보트로'''}}}]] || || [[파일:Italy FIGC 1986 1990.png|height=100]] ||<|2> '''{{{+5 1 : 1}}}[br]{{{-1 A.E.T.}}}[br]{{{-1 (P.S.O. 3: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4.3%, #b2ebf4 14.3%, #b2ebf4 28.6%, #fff 28.6%, #fff 42.9%, #b2ebf4 42.9%, #b2ebf4 57.2%, #fff 57.2%, #fff 71.5%, #b2ebf4 71.5%, #b2ebf4 85.8%, #fff 85.8%)" [[파일:Argentina AFA 1990.png|height=100]]}}} ||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ITA.png|height=20]] {{{#0053A5 '''이탈리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90%, #fff 90%)"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ARG.png|height=20]] {{{#fff '''아르헨티나'''}}}]]}}} || || '''{{{#000 17′}}} [[살바토레 스킬라치|{{{#000 살바토레 스킬라치}}}]]''' || '''득점자''' || '''{{{#000 67′}}} [[클라우디오 카니자|{{{#000 클라우디오 카니자}}}]]''' || ||<-3><#ffffff> '''{{{#090 관중: 59,978명}}}''' || ||<-5><:>'''{{{#000 승부차기}}}'''|| ||<:>'''{{{#000 팀명}}}'''||<#B2EBF4><-2><:>'''{{{#000 아르헨티나}}}'''||<#0100ff><-2><:>'''{{{#FFF 이탈리아}}}'''|| ||<:>'''{{{#000 4}}}'''||<-2><:>'''{{{+1 4}}}'''||<-2><:>'''{{{+1 3}}}'''|| ||<:>'''{{{#000 순서}}}'''||<-2><:>후축||<-2><:>선축|| ||<#CCC><:>'''1'''||<:>[[호세 세리수엘라]]||<#CFC><:>O ||<:>[[프랑코 바레시]]||<#CFC><:>O || ||<#CCC><:>'''2'''||<:>[[호르헤 부루차가]]||<#CFC><:>O ||<:>[[로베르토 바조]]||<#CFC><:>O || ||<#CCC><:>'''3'''||<:>[[홀리오 올라르티코에체아]]||<#CFC><:>O ||<:>[[루이지 데 아스코티니]]||<#CFC><:>O || ||<#CCC><:>'''4'''||<:>[[디에고 마라도나]]||<#CFC><:>O ||<:>[[로베르토 도나도니]]||<#FCC><:>X || ||<#CCC><:>'''5'''||<:><-2> - ||<:>[[알도 세레나]]||<#FCC><:>X || [youtube(oiC4YMG8raQ)] 이 경기는 마라도나를 신으로 만들어준 나폴리의 산 파올로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경기 전 마라도나는 본인의 팬들인 나폴리 관중들을 향해 ‘이탈리아인 취급도 못받는 나폴리인들이여, 나를 응원해다오.’ 라고 도발하였고 이탈리아의 나폴리 관중들은 고심 끝에 경기장에 가져온 현수막으로 ‘마라도나 당신을 사랑하지만, 이탈리아는 우리의 조국입니다.’ 라고 대답하였다. 전반전 살바토레 스킬라치의 골로 이탈리아가 앞서 있었으나, 후반전 67분 클라우디오 카니자가 골을 넣어서 이탈리아의 517분 최장 무실점 기록의 벽을 깼다. 결국 승부차기 끝에 아르헨티나가 개최국을 물리치고 두 대회 연속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경기 종료 후 이탈리아인들에게 욕을 얻어먹으며 마라도나의 세리에 A 커리어가 꼬이기 시작했으며 나중엔 마약 복용도 들통나며 본인에겐 축구 선수 커리어가 점차 무너지게 되는 경기로 기억되고 있다. 그리고 이탈리아의 이 패배로 인하여 이탈리아 조직위원회는 결승전에서 대놓고 서독을 우승시키기로 결심하기에 이른다. === 제2 경기: 잉글랜드 1-1(PK 3-4) 서독 === ||<-3>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width=80]]]][br]'''{{{#000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준결승 제2경기[br]1990. 07. 04. (수) 20:00 (UTC+1)}}}''' || ||<-3> '''{{{#fff [[스타디오 델레 알피|{{{#fff 스타디오 델레 알피}}}]] [[토리노|{{{#fff (이탈리아, 토리노)}}}]]}}}''' || ||<-3> '''{{{#fff 주심:}}}''' [[브라질|[[파일:UEFA BRA.png|height=20]]]] [[조제 호베르투 리그트|{{{#fff '''조제 호베르투 리그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40 5%, #fff 5%)" [[파일:England FA 1990.png|height=100]]}}} ||<|2> '''{{{+5 1 : 1}}}[br]{{{-1 A.E.T.}}}[br]{{{-1 (P.S.O. 3:4)}}}''' || [[파일:Germany DFB 1978-1994.png|height=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ee 2%, #000040 2%, #000040 98%, #eee 98%)"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ENG.png|height=20]] {{{#fff '''잉글랜드'''}}}]]}}}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GER.png|height=20]] {{{#000 '''서독'''}}}]] || || '''{{{#000 80'}}} [[게리 리네커|{{{#000 게리 리네커}}}]]''' || '''득점자''' || '''{{{#000 60'}}} [[안드레아스 브레메|{{{#000 안드레아스 브레메}}}]]''' || ||<-3><#ffffff> '''{{{#090 관중: 62,628명}}}''' || ||<-5><:>'''{{{#000 승부차기}}}'''|| ||<:>'''{{{#000 팀명}}}'''||<#24706F><-2><:>'''{{{#ffffff 서독}}}'''||<#FFF><-2><:>'''{{{#002187 잉글랜드}}}'''|| ||<:>'''{{{#000 점수}}}'''||<-2><:>'''{{{+1 4}}}'''||<-2><:>'''{{{+1 3}}}'''|| ||<:>'''{{{#000 순서}}}'''||<-2><:>후축||<-2><:>선축|| ||<#CCC><:>'''1'''||<:>[[안드레아스 브레메]]||<#CFC><:>O ||<:>[[게리 리네커]]||<#CFC><:>O || ||<#CCC><:>'''2'''||<:>[[로타어 마테우스]]||<#CFC><:>O ||<:>[[피터 비어슬리]]||<#CFC><:>O || ||<#CCC><:>'''3'''||<:>[[카를하인츠 리들레]]||<#CFC><:>O ||<:>[[데이비드 플랫]]||<#CFC><:>O || ||<#CCC><:>'''4'''||<:>[[올라프 톤]]||<#CFC><:>O ||<:>[[스튜어트 피어스]]||<#FCC><:>X || ||<#CCC><:>'''5'''||<:><-2> - ||<:>[[크리스 워들]]||<#FCC><:>X || [youtube(vowUoccBT4E)] [youtube(eCjsBoJSs-E)] 브레메의 슈팅이 수비수 폴 파커의 몸에 굴절되어서 황당한 코스로 들어가는 등 운이 안 따랐지만 그 파커가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다행히 만회할 수 있었다.또한 양 팀 선수가 한 번씩 골대를 맞추는 등 상당했던 경기였다고. 승부차기에서 서독이 이기며 서독이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에서 이김으로써, 서독은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3회 연속 결승 진출이라는 기록을 남겼다.(1982,1986,1990) 잉글랜드는 패배했지만, 1966 월드컵 이후 24년만에 4강 진출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이후 28년뒤 2018년 러시아 월드컵에서 잉글랜드는 다시 한 번 4강에 진출했다.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독일은 월드컵에서 녹색 계열 유니폼을 입지 않았다가...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8년 후]] 다시 녹색 계열 유니폼을 입게 된다.[* 엄밀하게는 [[청록색]] 상의 및 [[흰색]] 하의로 구성된 유니폼을 입었다.]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그런데 그 경기에서는...]] == 3·4위전: 이탈리아 2-1 잉글랜드 == ||<-3>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width=80]]]][br]'''{{{#000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3·4위전[br]1990. 07. 07. (토) 20:00 (UTC+1)}}}''' || ||<-3> '''{{{#fff [[스타디오 산 니콜라|{{{#fff 스타디오 산 니콜라}}}]] [[바리(이탈리아)|{{{#fff (이탈리아, 바리)}}}]]}}}''' || ||<-3> '''{{{#fff 주심:}}}''' [[프랑스|[[파일:UEFA FRA.png|height=20]]]] [[조엘 퀴니우|{{{#fff '''조엘 퀴니우'''}}}]] || || [[파일:Italy FIGC 1986 1990.png|height=100]] ||<|2> '''{{{+5 2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40 5%, #fff 5%)" [[파일:England FA 1990.png|height=100]]}}} ||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ITA.png|height=20]] {{{#0053A5 '''이탈리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ee 2%, #000040 2%, #000040 98%, #eee 98%)"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ENG.png|height=20]] {{{#fff '''잉글랜드'''}}}]]}}} || || '''{{{#000 71′}}} [[로베르토 바조|{{{#000 로베르토 바조}}}]][br]{{{#000 86′}}} [[페널티킥|{{{#00f (PK)}}}]] [[살바토레 스킬라치|{{{#000 살바토레 스킬라치}}}]]''' || '''득점자''' || '''{{{#000 83'}}} [[데이비드 플랫|{{{#000 데이비드 플랫}}}]]''' || ||<-3><#ffffff> '''{{{#090 관중: 51,426명}}}''' || == 결승전: 아르헨티나 0-1 서독 == ||<-3>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width=80]]]][br]'''{{{#000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결승전[br]1990. 07. 08. (일) 20:00 (UTC+1)}}}''' || ||<-3> '''{{{#fff [[스타디오 올림피코|{{{#fff 스타디오 올림피코}}}]] [[로마|{{{#fff (이탈리아, 로마)}}}]]}}}''' || ||<-3> '''{{{#fff 주심:}}}''' [[멕시코|[[파일:UEFA MEX.png|height=20]]]] [[에드가르도 코데살|{{{#fff '''에드가르도 코데살'''}}}]] || || [[파일:Argentina AFA 1990.png|height=100]] ||<|2> [[파일:FIFA 월드컵 트로피.svg|height=100]][br]'''{{{+5 0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30%, #fff 30%, #fff 35%, transparent 35%, transparent 65%, #fff 65%, #fff 70%, transparent 70%),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0%, #000 20%, #000 30%, #dd0000 30%, #dd0000 40%, #ffce00 40%, #ffce00 50%, #fff 50%)" [[파일:Germany DFB 1978-1994.png|height=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FF 2%, #fff 2%, #fff 98%, #0000FF 98%)"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ARG.png|height=20]] {{{#000 '''아르헨티나'''}}}]]}}}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GER.png|height=20]] {{{#fff '''서독'''}}}]] || || - || '''득점자''' || '''{{{#000 85′}}} [[페널티킥|{{{#00f (PK)}}}]] [[안드레아스 브레메|{{{#000 안드레아스 브레메}}}]]''' || ||<-3><#ffffff> '''{{{#090 관중: 73,603명}}}''' || [youtube(hsN0P5v-UiM)] [youtube(hu1meVUoIKQ)] [youtube(EpEPMlkpUyQ)] 독일은 두 대회 연속 준우승의 아픔을 누르고 마침내 우승을 차지했다. 반면 아르헨티나는 2회 연속 우승이라는 기회를 놓침으로써 유니폼에 별 3개를 넣는데 실패했다.하지만, 32년 뒤에 아르헨티나는 우승함으로서 유니폼에 별3개를 달을 수 있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흐름이 꽤나 비슷한데, 브라질은 1958년, 1962년 대회 우승 후 1966년 월드컵에서 미끄러졌다가 다음 대회인 1970년 월드컵때 우승을 차지했고, 아르헨티나는 자국에서 열린 1978년 대회 우승 후 1982년 대회에서 미끄러졌다가 1986년 대회 우승, 1990년 대회 준우승을 했다.[* 만약 1990년 월드컵에서 우승했더라면 브라질과 정말 유사한 흐름이었을 것이다.] [각주] [[분류: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