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64 도쿄 올림픽)] [include(틀:역대 올림픽 축구)] ------ [include(틀:1964 도쿄 올림픽/축구)] ||<-3> [[1964 도쿄 올림픽|[[파일:1964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50]]]] || ||<-3> {{{#fff '''올림픽 축구'''}}} || ||<-3> [[파일:1964 도쿄 올림픽 픽토그램.png|width=180]] || || '''{{{#ffffff 대회기간}}}''' ||<-2>1964년 10월 11일 ~ 10월 23일 || || '''{{{#ffffff 본선 진출국}}}''' ||<-2>--16개국-- → 14개국 || || '''{{{#ffffff 우승}}}[br][[금메달|[[파일:올림픽 금메달.svg|width=30]]]]''' ||<-2>'''[[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width=25]] 헝가리]]''' || || '''{{{#ffffff 준우승}}}[br][[은메달|[[파일:올림픽 은메달.svg|width=30]]]]''' ||<-2>'''[[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슬로바키아]]''' || || '''{{{#ffffff 3위}}}[br][[동메달|[[파일:올림픽 동메달.svg|width=30]]]]''' ||<-2>'''[[동독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독일 올림픽 단일팀기.svg|width=25]] 독일]]'''[* 사실상의 동독 대표팀] || || '''{{{#ffffff 득점왕}}}''' ||<-2>[[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width=30]] [[페렌츠 베네]] | 12골 || ||<-3> '''{{{#ffffff 이전·이후 대회}}}''' || || [[1960 로마 올림픽/축구|1960년[br]로마]] || '''{{{#ffffff 1964년[br]도쿄}}}''' ||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축구|1968년 [br] 멕시코시티]] || [목차] == 개요 == [[파일:1964_Olympics_football_stamp_of_Japan.jpg|width=300]] [[1964 도쿄 올림픽]]의 [[축구]] 종목에 대하여 서술하는 문서. 이탈리아가 지역예선에서 프로 선수를 출전시킨 이유로 실격 처리되었고, 북한은 [[신흥국 경기 대회]]에 나선 선수들에 대한 제재 조항에 대해 항의의 의미로 대회 개막 하루 전에 선수단을 철수하며 기권했다. 따라서 대회는 14개국이 진출로 치러졌다. == 경기장 == == 본선 진출국 == || {{{#fff '''대륙'''}}} ||<-2> {{{#fff '''국가'''}}} || {{{#fff '''예선 대회'''}}} || {{{#fff '''대회 성적'''}}} || {{{#fff '''티켓 수'''}}} || {{{-1 {{{#fff '''통산 진출'''}}}}}} || {{{-1 {{{#fff '''최근 진출'''}}}}}} || {{{-1 {{{#fff '''최고 성적'''}}}}}} || ||<|4> {{{-2 [[아시아 축구 연맹|{{{#fff 아시아 [br] 오세아니아 (AFC)}}}]]}}}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일본''' ||<-2> '''개최국''' || 1장 || 3회 || 1956 || 8강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대한민국 ||<|3> 1964 도쿄 올림픽 [br]{{{-2 아시아 - 오세아니아 지역예선}}} ||<|3> {{{-2 최종예선 승자}}}[* 홈 앤드 어웨이의 완전 토너먼트로 치러졌다.] ||<|3> 3장 || 2회 || 1948 || 8강 ||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5]]-- || --북한-- || --첫 진출-- || -- - -- || -- - -- ||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width=25]] || 이란 || 첫 진출 || - || - || ||<|6> [[유럽 축구 연맹|{{{#fff 유럽[br](UEFA)}}}]]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5]] || '''유고슬라비아''' ||<-2> '''전 대회 우승국''' || 1장 || 8회 || 1960 || {{{#ffd700 '''금메달'''}}} || || [[파일:루마니아 인민공화국 국기(1952-1965).svg|width=25]] || 루마니아 ||<|5> 1964 도쿄 올림픽 [br] 유럽 지역예선 || {{{-2 예선 1조 1위}}} ||<|5> 5장 || 3회 || 1952 || 1R ||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 헝가리 || {{{-2 예선 2조 1위}}} || 6회 || 1952 || {{{#ffd700 '''금메달'''}}} || || [[파일:독일 올림픽 단일팀기.svg|width=25]] || 독일[*동독] || {{{-2 예선 3조 1위}}} || 첫 진출 || - ||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이탈리아-- || --{{{-2 예선 4조 1위}}}-- || --9회-- || --1960-- || --{{{#ffd700 '''금메달'''}}}-- ||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 체코슬로바키아 || {{{-2 예선 5조 1위}}} || 3회 || 1924 || 1R || ||<|2> [[남미 축구 연맹|{{{#fff 남미[br](CONMEBOL)}}}]]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 아르헨티나 ||<|2> {{{-2 1964 CONMEBOL 프레-올림픽 토너먼트}}} || 우승 ||<|2> 2장 || 3회 || 1960 || {{{#c0c0c0 '''은메달'''}}} || ||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width=20]] || 브라질 || {{{-1 PO 승자}}} || 3회 || 1960 || 8강 ||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fff 북중미[br](CONCACAF)}}}]]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width=25]] || 멕시코 || {{{-2 1964 CONCACAF 프레-올림픽 [br] 토너먼트 멕시코}}} || 우승 || 1장 || 3회 || 1948 || 1R || ||<|3> [[아프리카 축구 연맹|{{{#fff 아프리카[br](CAF)}}}]]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5]] || 아랍연합공화국[* 당시 이집트, 시리아 연합] ||<|3> 1964 도쿄 올림픽 [br]아프리카 지역예선 || {{{-1 예선 1조 1위}}} ||<|3> 3장 || 8회 || 1960 || 4위 || || [[파일:가나 국기(1964-1966).svg|width=25]] || 가나 || {{{-2 예선 2조 1위}}} || 첫 진출 || - || - ||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0]] || 모로코 || {{{-2 예선 3조 1위}}} || 첫 진출 || - || - || * 남미 지역예선에선 최악의 참사가 일어나 대회가 '''도중 중단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일어났다.[* 1964년 5월 24일,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델 페루]]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페루의 경기 도중 일어난 일로 당시 페루는 브라질과 치열한 2위 싸움을 하고 있어 아르헨티나와의 경기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었다. 0-1로 끌려가던 경기에서 후반 36분에 페루가 동점골을 넣었으나 당시 우루과이 국적의 심판이 골 무효 선언을 내렸다. 이에 격분한 53000명의 당시 페루 관중들 중 일부가 경기장에 난입했고, 페루 경찰이 [[최루탄]]을 쏘면서 대응했다. 그런데 이 최루탄의 방향이 다름 아닌 페루 관중들이 몰려있는 경기장 북쪽 스탠드였다는게 가장 큰 문제였다. 경찰이 군중들을 향해 최루탄을 쏘면서 경기장은 아수라장이 되었고, 관중들은 서로 경기장을 빠져나가려 출입구로 몰렸다. 당시 경기가 끝나기 전이었기 때문에 출입문이 굳게 닫혀있던 상황에서 최루탄때문에 눈물 콧물 범벅이 되버린 대다수의 관중들은 사실상 시야가 없다시피 했고, 출입문이 닫힌 것을 인지하지 못한채 출입문에 너무 많은 사람이 몰려 충돌로 인한 과다출혈과 압사로 수백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경찰 공식 집계로는 '''328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지만 최근까지도 이는 과소집계된 수치라는 말이 지배적일 만큼 축구 역사상 최악의 참사가 일어난 것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힐스버러 참사]], [[브래드포드 시티 구장 화재]], [[헤이젤 참사]]에서의 사망자를 아득히 뛰어넘는 엄청난 사고였다.] 이 대참사 때문에 경기는 그대로 아르헨티나의 1-0 승리로 종료되었고, 예선 전체 21경기 중 5경기를 남긴 상황에서 그대로 예선 일정 자체가 올 스톱되었다. 이후 사고가 어느정도 수습된 다음, 예선 중단 시점에서의 1위 아르헨티나는 본선 진출을 인정하고, 2위 브라질과 3위 페루의 플레이오프 승자가 남은 한 장의 티켓을 가져가는 것으로 일정이 조정되어 브라질이 페루를 4-0으로 누르고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 이탈리아가 예선 4조에서 1위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예선에서 프로 선수들이 뛰었다는 점이 지적되어 본선 진출권을 박탈당했다. 4조 2위 폴란드에게 대타 참여의 기회가 주어졌으나 폴란드는 이를 거절했다. 유럽 예선 5조에서도 그리스가 프로 선수를 출전시켰다는 이유로 도중 실격되어 5조 결승전을 치르지도 못하고 탈락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5조 결승을 부전승으로 통과하는 행운을 얻었다. * 아시아 지역예선에서 대한민국이 사상 처음으로 아시아 예선을 통과하고 올림픽 본선에 16년만에 진출했다. 1948년 런던 대회에 참여한 역사가 있으나 당시 올림픽 축구는 참가만 하면 나설 수 있는 대회였다. 북한 또한 본선에 진출해 남북 동반진출로 본선에서의 치열한 신경전이 예상되었으나, 북한이 [[신흥국 경기 대회]] 출전 선수들에 대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제재에 항의하며 인도네시아와 함께 올림픽에 전격 불참해버리는 바람에 동반 진출은 무산되었다. == 조 편성 == === 조 편성 결과 === == 선수 명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964 도쿄 올림픽/축구/참가팀 정보)] == 대회 진행 == === 조별리그[*14강] === ==== [[1964 도쿄 올림픽/축구/A조|A조]] ==== || '''{{{#fff 순위}}}''' ||<-2> '''{{{#fff 팀명}}}'''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1''' || [[파일:독일 올림픽 단일팀기.svg|width=30]] || 독일[*동독] || 2 || 1 || 0 || 7 || 1 || +6 || 5 || || '''2''' || [[파일:루마니아 인민공화국 국기(1952-1965).svg|width=30]] || 루마니아 || 2 || 1 || 0 || 5 || 2 || +3 || 5 || || '''3'''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width=30]] || 멕시코 || 0 || 1 || 2 || 2 || 6 || -4 || 1 || || '''4'''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width=30]] || 이란 || 0 || 1 || 2 || 1 || 6 || -5 || 1 || ||<-11><:>{{{#8E8 '''■'''}}} 결선 진출 | {{{#FBB '''■'''}}} 탈락 || ==== [[1964 도쿄 올림픽/축구/B조|B조]] ==== || '''{{{#fff 순위}}}''' ||<-2> '''{{{#fff 팀명}}}'''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1'''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 헝가리 || 2 || 0 || 0 || 12 || 5 || +7 || 4 || || '''2'''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30]] || 유고슬라비아 || 1 || 0 || 1 || 8 || 7 || +1 || 2 || || '''3'''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 모로코 || 0 || 0 || 2 || 1 || 9 || -8 || 0 || || '''-'''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 북한 ||<-7> '''기권''' || ||<-11><:>{{{#8E8 '''■'''}}} 결선 진출 | {{{#FBB '''■'''}}} 탈락 || ==== [[1964 도쿄 올림픽/축구/C조|C조]] ==== || '''{{{#fff 순위}}}''' ||<-2> '''{{{#fff 팀명}}}'''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1''' || [[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체코슬로바키아 || 3 || 0 || 0 || 12 || 2 || +10 || 6 || || '''2'''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30]] || 아랍연합공화국 || 1 || 1 || 1 || 12 || 6 || +6 || 3 || || '''3''' ||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width=30]] || 브라질 || 1 || 1 || 1 || 5 || 2 || +3 || 3 || || '''4'''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대한민국 || 0 || 0 || 3 || 1 || 20 || -19 || 0 || ||<-11><:>{{{#8E8 '''■'''}}} 결선 진출 | {{{#FBB '''■'''}}} 탈락 || ==== [[1964 도쿄 올림픽/축구/D조|D조]] ==== || '''{{{#fff 순위}}}''' ||<-2> '''{{{#fff 팀명}}}'''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1''' || [[파일:가나 국기(1964-1966).svg|width=30]] || 가나 || 1 || 1 || 0 || 4 || 3 || +1 || 3 || || '''2'''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일본 || 1 || 0 || 1 || 5 || 5 || 0 || 2 || || '''3'''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아르헨티나 || 0 || 1 || 1 || 3 || 4 || -1 || 1 ||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 ||<-7> '''실격''' || ||<-11><:>{{{#8E8 '''■'''}}} 결선 진출 | {{{#FBB '''■'''}}} 탈락 || === 토너먼트 === [include(틀:1964 도쿄 올림픽 축구/결선 토너먼트)] ==== [[1964 도쿄 올림픽/축구/결선 토너먼트|결선 토너먼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축구/결선 토너먼트)] ==== [[1964 도쿄 올림픽/축구/5-8위 순위결정전|5-8위 순위 결정전]] ==== == 최종 순위 == ||
'''{{{+2 1964 도쿄 올림픽 남자축구 우승국}}}''' ||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0]] || || '''헝가리''' || || 두번째 우승 || == 여담 == * 올림픽 축구에서 역사상 마지막으로 '''순위 결정전'''이 열렸던 대회다. 8강 토너먼트에서 패한 네 팀이 5-8위 순위 결정전을 가지고 소규모의 미니 토너먼트를 치뤘고, 여기서 루마니아가 2연승을 거두고 5위를 차지했다. 이후 대회에서는 따로 탈락한 팀들끼리 순위 결정전을 치르지 않고 탈락 당시의 성적으로 순위를 매기고 있다. [[분류:1964 도쿄 올림픽]][[분류:올림픽 축구]][[분류:1964년 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