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주요선거)] ||<-3> '''[[대한민국 지방선거|{{{#black,#e5e5e5 대한민국 지방선거}}}]]''' || || [[1952년]] [[4월 25일]]/[[5월 10일]] ||<|2> → || [[1956년]] [[8월 8일]]/[[8월 13일]] || || '''1952년 지방선거''' || [[1956년 지방선거]] || ||<-7> '''1952년 지방선거/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 || '''[[자유당|{{{#fff 자유당 }}}]]''' || [[대한청년단|{{{#fff 대한청년단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fff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민주국민당|{{{#000 민주국민당}}}]] ||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fff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 || {{{#000,#e5e5e5 기타 정당}}} || '''[[무소속|{{{#fff 무소속}}}]]''' || || '''147석''' || 34석 || 32석 || 4석 || 2석 || 2석 || '''85석''' || || '''48.03%''' || 11.11% || 10.45% || 1.3% || 0.65% || 0.65% || '''27.77%''' || ||<-8> '''1952년 지방선거/시의회의원 선거 결과''' || || '''[[자유당|{{{#fff 자유당 }}}]]''' || [[대한청년단|{{{#fff 대한청년단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fff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민주국민당|{{{#000 민주국민당}}}]] ||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fff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 || [[대한국민당|{{{#fff 대한국민당 }}}]] || {{{#000,#e5e5e5 기타 정당}}} || '''[[무소속|{{{#fff 무소속}}}]]''' || || '''114석''' || 40석 || 29석 || 7석 || 5석 || 2석 || 9석 || '''172석''' || || '''30.15%''' || 10.58% || 7.67% || 1.85% || 1.32% || 0.52% || 2.38% || '''45.50%''' || ||<-7> '''1952년 지방선거/읍의회의원 선거 결과''' || || '''[[자유당|{{{#fff 자유당 }}}]]''' || '''[[대한청년단|{{{#fff 대한청년단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fff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민주국민당|{{{#000 민주국민당}}}]] ||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fff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 || {{{#000,#e5e5e5 기타 정당}}} || '''[[무소속|{{{#fff 무소속}}}]]''' || || '''274석''' || '''229석''' || 155석 || 7석 || 6석 || 14석 || '''430석''' || || '''24.57%''' || '''20.53%''' || 13.90% || 0.62% || 0.53% || 1.25% || '''38.56%''' || ||<-8> '''1952년 지방선거/면의회의원 선거 결과''' || || '''[[자유당|{{{#fff 자유당 }}}]]''' || '''[[대한청년단|{{{#fff 대한청년단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fff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민주국민당|{{{#000 민주국민당}}}]] || [[대한국민당|{{{#fff 대한국민당 }}}]] ||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fff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 || {{{#000,#e5e5e5 기타 정당}}} || '''[[무소속|{{{#fff 무소속}}}]]''' || || '''4,056석''' || '''2,574석''' || '''2,437석''' || 21석 || 16석 || 12석 || 68석 || '''6,867석''' || || '''25.26%''' || '''16.03%''' || '''15.18%''' || 0.13% || 0.09% || 0.07% || 0.42% || '''42.78%''' || [목차] == 개요 == '''[[1952년]] [[4월 25일]]과 [[5월 10일]] 치러진 한국 최초의 [[대한민국 지방선거|지방선거]].''' 다만 투표가 각기 다른 날 시행되었기에, 지금과 같은 당일 동시 전국선거는 아니었다.[* 모든 선거 단위를 전국에서 동시에 치룬 최초의 선거는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다.] '''투표율은 각각 91%, 81%를 기록했다.''' == 상세 == 시, 읍, 면의회의원 선거가 [[1952년]] [[4월 25일]]에, 도의회의원 선거가 [[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되었다. [[서울특별시|서울]], [[경기도|경기]], [[강원도|강원]]은 전시 체제로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으며, 의원들은 중대선거구로 선출했다. 선거권은 21세 이상이었는데, 이 나이는 자유당 이승만 세력에 유리하게 제헌의회선거 당시부터 정해진 것이다. [[이승만]]은 제헌의회 선거 당시 무려 '''25세'''를 선거권 연령으로 주장했다. [각주] [[분류:전국동시지방선거]][[분류:1952년 선거]][[분류:이승만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