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000 '''해'''}}} || ||<-2> {{{-2 [[1946년]]}}} ||<-2> {{{-2 [[1947년]]}}} ||<-2> {{{-2 [[1948년]]}}} || {{{#000000 '''1949년'''}}} ||<-2> {{{-2 [[1950년]]}}} ||<-2> {{{-2 [[1951년]]}}} ||<-2> {{{-2 [[1952년]]}}} || ||<-13> {{{#09081c '''연대'''}}} || ||<-3> {{{-2 [[1920년대]]}}} ||<-3> {{{-2 [[1930년대]]}}} || [[1940년대|{{{#000000 '''1940년대'''}}}]] ||<-3> {{{-2 [[1950년대]]}}} ||<-3> {{{-2 [[1960년대]]}}} || ||<-13> {{{#c4b73b '''세기'''}}} || ||<-3> {{{-2 [[18세기]]}}} ||<-3> {{{-2 [[19세기]]}}} || [[20세기|{{{#000000 '''20세기'''}}}]] ||<-3> {{{-2 [[21세기]]}}} ||<-3> {{{-2 [[22세기]]}}} || ||<-13> {{{#ffd711 '''밀레니엄'''}}} || ||<-6> {{{-2 [[제1천년기]]}}} || [[제2천년기|{{{#ffd700 '''제2천년기'''}}}]] ||<-6> {{{-2 [[제3천년기]]}}} || ||<-2> {{{#000 '''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서력기원|서기]] || 1949년 || || [[대한민국]] || 31년 || || [[단군기원|단기]] || 4282년 || || [[불멸기원|불기]] || 2493년 || || [[갑자|간지]] || [[무자]]년 ~ [[기축]]년 || || [[주체년호|주체]] || 38년 || || [[민국기년|민국]] || 38년 || || [[일본]] || [[쇼와]] 24년[br]([[황기]] 2609년) || || [[이슬람력]] || 1368년 ~ 1369년 || || [[히브리력]] || 5709년 ~ 5710년 || || [[페르시아력]] || 1327년 ~ 1328년 || || [[에티오피아력]] || 1941년 ~ 1942년 || || 인류세력 || 11949년 || || [[로마 숫자]] || MCMXLIX || || [[탄소측정연대]] || BP[* Before Present] 1년 || * [[https://youtu.be/AAwpafmOgxw|KBS 영상실록 1949년편 (연령인증 필요)]] [목차] [clearfix] == 개요 == '''1949년은 중국사에 있어 대격변의 해였다.''' 먼저 [[국공내전]]이 사실상 종결되면서 [[중국]] 대륙이 [[공산화]]되고 국민정부는 대만, [[하이난 섬]](해남도) 및 중국 대륙의 극히 일부 도서 지역만 겨우 건졌다.[* 이 중 하이난 섬은 다음 해에 공산당에게 빼앗겨 안 그래도 작아진 중화민국은 또 다시 영토의 절반을 잃었다.] 이때부터 양안간의 대치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유럽]]에서도 [[철의 장막]]이 형성되면서 서구권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경계감이 크게 강화되었다. 지금까지 가시화되던 [[냉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한국]]에서는 6월 백범 [[김구]]가 장교 [[안두희]]가 발사한 총탄에 맞아 사망하였던 해였으며 주한미군은 고문단 등 극히 일부의 병력만 남기고 [[대한민국|남한]]에서 철수하였다. [[6.25 전쟁|그리하여 1년 후 끝내 이런 비극으로….]] 그리고 같은 시기 동남아시아에서는 동남아시아의 영토 및 인구대국인 [[인도네시아]]와 동남아시아 유일의 내륙국가인 라오스가 네덜란드와 프랑스의 식민지배에서 독립했다. 이로써 동남아시아에서 베트남, 필리핀, 미얀마에 이어 서방의 식민지배에서 4번째, 5번째로 독립한 동남아시아 국가가 되었다. 더불어 [[일본]]에서는 베이비 붐을 의미하고 있는 단카이 세대로 대격변을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단카이 세대는 1947 - 51년 사이가 최대치였고 이후에는 감소세로 돌아서다가 [[1974년]]이 되어서야 단카이 주니어라는 단카이 시즌 2로 이어졌다. == 사건 == === 실제 === * [[1월 1일]] * 미국 정부가 대한민국 정부를 승인하였다. * 미국 경제협조처(ECA)가 한국에 원조를 시작하였다. * [[1월 4일]]: 도쿄에 주일 한국대표부가 설치되었다. * [[1월 8일]]: 반민족행위처벌법에 따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가 발족되었다. 이날 [[박흥식]] 화신백화점 사장이 반민특위에 처음으로 검거되었다. * [[1월 10일]]: 일제 밀정 출신인 [[이종형]]이 반민특위에 검거되었다. * [[1월 13일]]: 민족대표 33인 출신 친일 부역인사 최린이 검거되었다. * [[1월 20일]]: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재선 취임식을 열어 두번째 임기를 시작하였다.[* 1945년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의 갑작스런 사망이후 대통령직을 승계받았다.] * [[1월 22일]]: 언론인 [[양우정]]이 <연합신문>을 창간하였다. * [[1월 25일]]: 친일 고문경찰관 노덕술이 검거되었다. * [[1월 27일]]: 멀어지는 상하이에서 지룽으로 이동 중이던 증기선 태평륜(太平輪)호가 침몰했다. 사망자 수는 1,00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 [[1월 31일]]: [[중국 공산당]]의 홍군이 베이징에 무혈 입성하였다. 이로서 국공내전의 균형은 붕괴되기 시작했다. * [[2월 10일]]: 한국민주당이 민주국민당으로 개편되었다. * [[2월 20일]]: [[주한미국공사관]]이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 [[2월 25일]]: 태양신문이 창간되었다. * [[3월 8일]]: 학도호국단이 결성되었다. * [[3월 17일]]: 북한은 소련과 경제/문화협정을 조인하였다. * [[3월 31일]]: 정부는 북한과의 교역을 금지하였다. * [[4월 4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창설되었다. * [[4월 9일]] - [[이탈리아]]의 항공사 [[알리탈리아]]의 항공기가 악천후로 추락했다. 일명 [[수페르가의 비극]] * [[4월 1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한국의 유엔 가입안을 부결시켰다. * [[4월 15일]]: [[대한민국 해병대]]가 창설되었다. * [[4월 23일]]: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시]]가 공산당의 홍군에 점령되었다. [[국공내전]]의 균형추가 공산당에게로 급격히 기울었다. * [[5월 1일]]: 정부가 최초로 전국 인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우리나라 인구는 20,166,758명이었다. * [[5월 1일]]: [[해왕성]]의 위성인 [[네레이드(위성)|네레이드]]가 발견되었다. * [[5월 11일]]: [[소련]]이 서쪽 [[베를린]]에 대한 봉쇄를 중단했다. * [[5월 20일]] - [[국회 프락치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김약수]], [[이문원]], [[노일환]] 의원이 체포되었다. * [[5월 24일]] * [[독일]] 연방 공화국, 즉 서독이 건국되었다. * 미국 국무성이 미군 철수계획을 발표하였다(군사고문단 제외). 이후 6월 29일까지 철수가 이루어졌다. * [[6월 1일]]: 전남 광주시에 '새한의원(현 동아병원)'이 세워졌다. * [[6월 2일]]: [[트란스요르단]]이 [[요르단 왕국]]으로 국명을 변경했다. * [[6월 3일]]: 국회는 전 국무위원 인책 사임안을 가결시켰다(6월 8일 재개) * [[6월 6일]]: 경찰은 반민특위를 포위시켜 특경대를 해산시켰다. * [[6월 8일]]: [[조지 오웰]]의 소설 [[1984]]가 출간되었다. * [[6월 14일]]: [[베트남국]]이 [[프랑스 제4공화국]]으로부터 형식적으로 독립했다. 그러나 베트남국은 여전히 프랑스의 [[괴뢰국]]으로서 지배를 받았으며, [[제네바 합의]] 이전까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 [[6월 17일]]: 국회는 지방자치법안 제2독회에서 지방자치법을 가결했다. 이때, [[논산시|논산군 을(乙)]] 무소속 [[최운교(정치인)|최운교]] 의원의 제안으로, 이 법을 동년 [[8월 15일]]부터 시행한다는 취지의 부칙 제1조가 삽입되었다. * [[6월 21일]]: 정부는 유상몰수, 유상분배를 원칙으로 한 농지개혁법을 제정하였다. * [[6월 25일]]: 북한 평양에서 남북의 민족전선을 통합한 '한국통일민주주의전선'이 결성되었다. * [[6월 26일]] * 백범 [[김구]]가 [[서울]] [[경교장]]에서 [[안두희]]가 발사한 총탄에 맞아 사망하였다. * [[대한민국]]에서 [[주한미군|미군]]이 철수했다. * [[7월 5일]]: 이날 서울운동장에서 백범 김구 선생의 국민장이 거행되었다. * [[7월 7일]]: 반민특위 조사위원들이 총 사직하였다. * [[7월 19일]]: [[라오스 왕국]]이 [[프랑스 제4공화국]]으로부터 자치권을 획득하였다. * [[8월 6일]] * 중화민국 총통 장제스가 한국을 방문하여 진해에서 회담을 2열었다. * [[병역법]]이 제정되었다. * [[8월 8일]]: [[부탄]]이 독립했다. * [[8월 18일]]: 중앙선 죽령 대강터널에서 열차가 탈선하여 48명이 죽고 101명이 부상을 입었다. * [[8월 29일]]: [[소련]]이 [[핵무기|핵]]실험에 성공했다. 이로서 1945년 이래 미국이 누려오던 독점적 핵보유국의 지위가 4년 만에 깨지게 된다. * [[9월 21일]]: 반민특위 폐지 법안이 가결되어 반민특위가 해체 수순을 밟았다. * [[9월 26일]]: 법원조직법이 공포되었다. * [[10월 1일]] * [[베이징]] [[천안문광장]]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정식으로 건국(선포)되었다. * 유엔 총회는 한국 단독 초청안을 가결하였다. * [[대한민국 공군]]이 창설되었다. * [[10월 7일]]: [[독일민주공화국]](동독)이 건국되었다. * [[10월 16일]]: [[그리스]] 공산당이 항복함으로서 [[그리스 내전]]이 종식되었다. * [[10월 19일]]: 정부는 남로당 등 민주주의민족전선 산하 133개 정당 및 사회단체에 대해 등록을 취소하였다. * [[10월 25일]]: 인민해방군은 진먼을 점령하기 위해 진먼 섬을 향해 총 공세를 시작하였다.(구닝터우 전투) 그러나 중화민국군의 격렬한 저항으로 인해 상륙거점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다. * [[10월 27일]]: 구닝터우 전투는 중화민국군의 성공적인 방어와 인민해방군의 대패로 종료되었다. 이로써 중화민국은 대륙의 영토를 완전히 상실하는 것까지는 막을 수 있었다. ~~그래봤자 대륙의 0.01%도 되지 않는 땅이지만..~~ * [[11월 6일]]: 북한이 중국과 국교를 맺었다. * [[11월 26일]]: 교육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현재의 6-3-3-4 학제가 확립되었다. 이 법은 12월 31일에 제정되었다. * [[12월 6일]]: 대한민국 최초의 [[징병검사]]가 실시되었다. * [[12월 7일]]: [[중화민국]], 즉 [[중국 국민당]]이 [[타이완]]으로 후퇴하면서 수도를 [[타이베이시]]로 옮겼다. 이 사건은 [[국부천대]]라고 불린다. * [[12월 9일]] * 한국문학가협회가 발족되었다. * [[류원후이]] 등 사천, 서강의 [[군벌/중화민국|군벌]]들이 기의를 일으켜 [[중화인민공화국]] 합류를 선언했다. * [[12월 27일]]: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였다. === 가상 === * 멀린-1에서 남극에서 벌어진 핵실험으로 미국보다 거대한 헬스톰이 발생해 남극이 고마력지대가 되었고, [[펭귄]]들이 지성체로 각성했다. - [[겁스 무한세계]] * 라이히-1에서 히틀러가 사망하고, [[하인리히 힘러]]가 총통이 되었다. - [[겁스 무한세계]] * 라이히-2에서 [[영국]]이 원자폭탄을 발명했다. - [[겁스 무한세계]] * 유럽에서 '''나치로 보이는 사람들을 쳐죽이던''' [[솔저(팀 포트리스 2)|솔저]]가 '''[[제 2차 세계대전|전쟁]]이 끝났다는 말을 듣고''' 광란의 학살을 멈춘 시기이다. - [[팀 포트리스 2]] == 탄생 == === 실제 === ==== 1월 ==== * [[1월 1일]] - [[문규현(신부)|문규현]] * [[1월 5일]] - [[장루이민]]: [[중국]]의 [[기업인]] * [[1월 6일]] - [[야부키 지로]] * [[1월 11일]] - [[현영철]](~[[2015년]]) * [[1월 12일]] * [[무라카미 하루키]]: [[일본]]의 [[소설가]] * [[문국현]]: [[한국]]의 [[정치가]], [[유한킴벌리]] [[CEO]] * [[오트마어 히츠펠트]]: [[독일]]의 축구 감독 * [[1월 13일]] - [[김태영(군인)|김태영]]: 제42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 * [[1월 15일]] - [[김창숙(배우)|김창숙]] * [[1월 16일]] - [[가모시타 이치로]]: 일본의 정치인 * [[1월 17일]] - [[오오하시 마나부]](~[[2022년]]): 일본의 [[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감독]] * [[1월 16일]] - [[믹 테일러]]: 영국의 기타리스트 * [[1월 19일]] - [[박원숙]]: 대한민국의 배우 * [[1월 20일]] - [[예란 페르손]]: [[스웨덴]]의 전 [[스웨덴 총리|총리]] * [[1월 24일]] - [[존 벨루시]](~[[1982년]]): [[미국]]의 [[배우]] * [[1월 26일]] - [[데이비드 스트라탄]]: [[미국]]의 [[배우]] * [[1월 28일]] - [[전유성]]: 한국의 [[코미디언]] ==== 2월 ==== * [[2월 1일]] - [[프랑코 카우시오]]: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 [[2월 3일]] - [[이영두]](~[[2006년]]): 12대 제주도 서귀포시장 * [[2월 9일]] - [[아라키 시게루]](~[[2012년]]): [[일본]]의 [[배우]] * [[2월 11일]] - [[신영식(만화가)|신영식]](~[[2006년]]): 대한민국의 [[만화가]] * [[2월 18일]] - [[하일성]](~[[2016년]]): 야구 해설가, 11대 [[한국야구위원회|KBO]] 사무총장 * [[2월 19일]] - [[토니 마라노]] * [[2월 20일]] - [[이바나 트럼프]](~[[2022년]]) * [[2월 21일]] - [[고영주]] * [[2월 22일]] * [[서인석]]: [[한국]]의 [[배우]] * [[니키 라우다]](~[[2019년]]): [[포뮬러 1]] 드라이버,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 명예 감독 * [[2월 25일]] - [[릭 플레어]]: [[미국]]의 [[프로레슬러]] * [[2월 27일]] - [[기정수]]: 한국의 배우 ==== 3월 ==== * [[3월 8일]] * [[조양호]](~[[2019년]]): 2대 [[한진그룹]] 회장 * [[테오필로 쿠비야스]]: [[페루]]의 축구 선수 * [[3월 10일]] * [[사사키 다카히로]]: 일본의 정치인 * [[안도 미츠루]](~[[2004년]]): [[일본]]의 [[작사#s-1]] * [[3월 14일]] * [[한진희]]: 한국의 [[배우]] * [[허남식]]: 33대~35대 [[부산광역시장]] * [[3월 16일]] * [[김종태(1949)|김종태]]: 38대 [[국군기무사령관]], 19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빅터 가버]]: [[캐나다]]의 [[배우]] * [[3월 19일]] - [[히라노 히로후미]]: 77대 일본 내각관방장관, 16대 일본 문부과학대신 * [[3월 21일]] - [[슬라보예 지젝]]: [[슬로베니아]]의 철학자 * [[3월 22일]] - [[존 토샥]]: 9대, 14대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3월 23일]] - [[송영무]]: 26대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45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 * [[3월 24일]] - [[뤼트 크롤]]: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 4월 ==== * [[4월 5일]] * [[이이다 마사히토]](~[[2012년]]): [[일본]]의 [[작사#s-1]] * 주디스 애를린 레스닉(~1986년): [[미국]]의 2번째 여성 [[우주비행사]], [[STS-51-L]] 임무의 미션 스페셜리스트 * [[4월 10일]] - [[나카무라 기시로]]: 일본의 정치인 * [[4월 13일]] - [[크리스토퍼 히친스]](~[[2011년]]): [[미국]]의 [[언론인]] * [[4월 25일]] -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프랑스]]의 정치인 * [[4월 26일]] * [[이윤선]]: 한국의 [[성우]] * [[사가와 잇세이]](~[[2022년]]): [[일본]]의 [[살인마]] * [[윤장현]]: [[대한민국]]의 정치인 ==== 5월 ==== * [[5월 2일]] - [[정미조]]: [[대한민국]]의 [[가수]] * [[5월 6일]] - [[시마카 유]](~[[2019년]]): [[일본]]의 [[성우]] * [[5월 9일]] - [[빌리 조엘]]: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 [[5월 12일]] - [[하기오 모토]]: [[일본]]의 [[만화가]] * [[5월 20일]] - 박범익: [[대한민국]]의 [[교육|교육인]], [[방송인]] * [[5월 24일]] - [[짐 브로드벤트]]: [[영국]]의 [[배우]] * [[5월 31일]] * [[임혁]]: 대한민국의 배우 * [[톰 베린저]]: [[미국]]의 [[배우]] ==== 6월 ==== * [[6월 11일]] - [[톰 프라이스]]: [[영국]]의 [[포뮬러 1]] 레이서 * [[6월 18일]] * [[레흐 카친스키|레흐 알렉산데르 카친스키]](~[[2010년]]): [[폴란드]]의 4대 [[대통령]] * [[슈도 타케시]](~[[2010년]]): [[일본]]의 [[애니메이션]] [[각본가]], [[소설가]] * [[야로스와프 카친스키|야로스와프 알렉산데르 카친스키]]: [[폴란드]]의 13대 [[총리]] * [[크리스 반 알스버그]] : [[미국]]의 동화 작가 * [[한덕수]] * [[6월 22일]] - [[메릴 스트립]]: [[미국]]의 배우 * [[6월 25일]] - [[윤주상]]: 한국의 배우 ==== 7월 ==== * [[7월 13일]] - [[단병호]]: 한국의 노동운동가, [[정치인]] * [[7월 15일]] - [[김효석(1949)|김효석]](~[[2020년]]):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7월 16일]] - [[마츠모토 타카시]]: 일본의 작사가. * [[7월 19일]] * [[칼레마 모틀란테]]: 남아공의 정치인 * [[아리프 알비]]: [[파키스탄]]의 제13대 [[파키스탄 대통령|대통령]] * [[7월 22일]] - [[앨런 멩컨]]: 미국의 작곡가 * [[7월 26일]] * [[김한겸]]: 前 거제시장 * [[로저 테일러]]: [[영국]]의 록밴드 [[퀸(밴드)|퀸]]의 [[드러머]] * [[탁신 친나왓]]: [[태국]]의 前 [[총리]] ==== 8월 ==== * [[8월 5일]] - [[정동환]]: 대한민국의 배우 * [[8월 8일]] - [[레이 달리오]]: 미국의 기업인 * [[8월 12일]] - 마크 노플러: 영국 스코틀랜드 출신 가수. [[다이어 스트레이츠]]라는 밴드의 보컬이었다. * [[8월 14일]] - [[모르텐 올센]]: 덴마크의 축구인 * [[8월 15일]] - [[노태돈]] * [[8월 16일]] - [[바바라 굿슨]]: [[미국]]의 [[성우]] * [[8월 23일]] - [[이치조 미유키]]: 일본의 성우 * [[8월 27일]] * [[아마리 아키라]]: 일본의 정치인 * [[김관진]]: 한국의 전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장관]] * [[8월 28일]] - 허진: 대한민국의 배우 * [[8월 31일]] - [[리처드 기어]]: [[미국]]의 배우 ==== 9월 ==== * [[9월 1일]] - [[박상은]]: 한국의 정치인, [[언론인]] * [[9월 2일]] - [[임채무]]: 한국의 연기배우 * [[9월 3일]] * [[김수미]]: 한국의 연기배우 * [[호세 페케르만]]: [[아르헨티나]]의 [[축구인]] * [[9월 7일]] - [[카를로스 레더]] * [[9월 18일]] - [[피터 쉴튼]]: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 [[9월 19일]] - [[이현종]] * [[9월 21일]] * [[고희선]](~[[2013년]]): 한국의 국회의원 * [[마츠다 유사쿠]](~[[1989년]]): [[일본]]의 [[배우]] * [[9월 23일]] - [[브루스 스프링스틴]]: [[미국]]의 [[가수]] * [[9월 25일]] - [[페드로 알모도바르]]: [[스페인]]의 [[감독]] * [[9월 26일]] - [[김정수(각본가)|김정수]]: 한국의 [[각본가]] * [[9월 30일]] - [[문주란]]: 한국의 트로트, 가수. 본명 문필연 ==== 10월 ==== * [[10월 8일]] - [[시고니 위버]]: [[미국]]의 배우 * [[10월 15일]] - [[김도현(성우)|김도현]]: [[한국]]의 [[성우]] * [[10월 21일]] - [[베냐민 네타냐후]] * [[10월 22일]] - [[아르센 벵거]]: [[EPL]] [[아스날 FC]]의 감독 * [[10월 27일]] - [[전재희]] * [[10월 28일]] - [[케이틀린 제너]][* 성전환 이전 이름은 브루스 제너.]: 미국의 전 육상 금메달리스트 ==== 11월 ==== * [[11월 2일]] - [[이와사키 미네코]]: [[일본]]의 [[게이샤]] * [[11월 3일]] - [[후지무라 오사무]]: 일본의 정치인 * [[11월 10일]] - [[이진곤]]: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前 [[언론인]] * [[11월 13일]] - [[장복건]]: [[대만]]의 [[배우]] * [[11월 15일]] * [[강인덕]]: 대한민국의 배우 * [[변양균]]: 대한민국의 기업인 * [[11월 17일]] * [[김대두]]: [[대한민국]]의 범죄자 * [[야스하라 요시토]]: [[일본]]의 [[성우]] * [[11월 18일]] - [[사이키 시게루]]: 일본의 배우 * [[11월 20일]] - 남성우: [[대한민국]]의 前 [[방송인]], 방송[[프로듀서]] * [[11월 22일]] * [[카를로스 아르무아]]: [[아르헨티나]]의 축구인 * [[백진(성우)|백진]]: 대한민국의 前 성우 * [[11월 28일]] - [[임신근]](~[[1991년]]): [[한국]]의 [[야구]] 선수, [[쌍방울 레이더스]]의 [[코치(스포츠)|코치]] * [[11월 30일]] - [[허참]](~[[2022년]]): 한국의 [[MC]], [[방송인]] ==== 12월 ==== * [[12월 1일]] - [[김정수(가수)|김정수]]: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 [[12월 2일]] - [[이케다 슈이치]]: [[일본]]의 [[성우]] * [[12월 5일]] - [[김상곤]] * [[12월 10일]] - [[데이비드 퍼듀]]: 미국의 정치인 * [[12월 11일]] - [[군지 아키라]] * [[12월 12일]] - [[빌 나이(배우)|빌 나이]]: [[영국]]의 [[배우]] * [[12월 15일]] - [[돈 존슨]]: [[미국]]의 [[배우]] * [[12월 16일]] - [[모리타 겐사쿠]]: 일본의 정치인 * [[12월 18일]] - 진도희: [[한국]]의 [[배우]] * [[12월 19일]] - [[이명희(1949)|이명희]]: [[대한민국]]의 [[기업인]] * [[12월 20일]] - [[사쿠라다 요시타카]]: 일본의 정치인 * [[12월 21일]] - [[히지리 유키]](~[[2022년]]): 일본의 [[만화가]] * [[12월 22일]] * [[로빈 깁]](~[[2012년]]): [[영국]]의 가수 * [[모리스 깁]](~[[2003년]]): [[영국]]의 가수 * [[12월 27일]] - [[클라우스 피셔]]: [[독일]]의 축구 선수 ==== 일자불명 ==== * 김승영: (주)금영 창업주[* 6월 중에 태어났다는 것만 알려져 있다.] * [[이영숙(가수)|이영숙]]: 대한민국의 [[가수]], [[김태촌]]의 아내 * [[장사익]]: 대한민국의 가수 * 하미다 잔부디: [[프랑스]]에서 마지막으로 [[단두대]]로 [[사형]]된 죄수 * [[홍여진(성우)|홍여진]] * [[김성곤(동명이인)#s-3|김성곤]] === 가상 === * [[9월 20일]]: [[차민우]] - [[저 하늘에 태양이]] * [[10월 8일]]: [[쓰리 아미고스#s-3.2|아키야마]] - [[춤추는 대수사선]] * [[10월 30일]]: [[몰리 위즐리]] - [[해리 포터 시리즈]] * [[12월]] 모일: 헨리 "팝" 헌터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12월 20일]]: 리치몬드 발렌타인 -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 일자 불명 * [[카자마 죠지]] - [[용과 같이 시리즈]] == 사망 == === 실제 === * [[1월 15일]] - [[루정샹]]([[1871년]]~): [[중화민국]]의 2,6대 국무총리, 외교관, 가톨릭 사제 * [[2월 15일]] - [[김용환(가수)|김용환]]([[1909년]]~):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 * [[2월 21일]] - [[다이지타오]]([[1891년]]~): 중국의 혁명가, 정치가, 언론인. * [[3월 25일]] -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프로이센]]([[1887년]]~): [[독일 제국]]의 왕자, [[빌헬름 2세]]의 4남 * [[4월 16일]] - [[이동욱]]([[1897년]]~): [[대한민국]]의 [[목사]] * [[4월 19일]] - [[오토 네르츠]]([[1892년]]~): 독일의 전 축구 감독 * [[6월 8일]] - 이동백(1866년~):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 * [[6월 26일]] - [[김구]]([[1876년]]~): [[한국]]의 [[독립운동가]] 및 [[정치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직위)|주석]] * [[7월 20일]] - [[김기환(조직폭력배)|김기환]]([[1911년]]?~): 한국의 전 권투선수, 조직폭력배 * [[8월 5일]] - [[호머 헐버트]]([[1867년]]~): [[미국]]의 [[선교사]], [[대한민국]] 건국유공자 * [[8월 12일]] - [[백남의]]([[1872년]]~) * [[9월 6일]] - [[양후청]]([[1893년]]~): [[중화민국]]의 [[군벌]]. * [[9월 8일]]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1864년]]~): [[독일]]의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 * [[9월 22일]] - [[김정숙(북한)|김정숙]]([[1917년]]~): [[김일성]]의 부인 * [[10월 28일]] - 마르셀 세르당(1916년~): [[프랑스]]의 [[복싱]] 선수, [[에디트 피아프]]의 연인 * [[11월 3일]] - [[솔로몬 R. 구겐하임]]([[1861년]]~): [[미국]]의 사업가, 미술품 수집가, 자선가. [[솔로몬 R. 구겐하임 재단]] 및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설립자. * [[11월 14일]] - [[지미 던(1905)|지미 던]]([[1905년]]~): [[아일랜드]]의 전 축구 감독 * [[11월 20일]] - [[와카쓰키 레이지로]]([[1866년]]~): [[일본]]의 [[일본 내각총리대신|총리]] 대신 === 가상 === * 라이히-1의 [[아돌프 히틀러]] - [[겁스 무한세계]] * [[디고리 커크]], [[폴리 플러머]], [[피터 페벤시]], [[에드먼드 페벤시]], [[루시 페벤시]], [[유스터스 스크러브]], [[질 폴]] - [[나니아 연대기]] == 데뷔 == === 배우 === * [[황해(배우)|황해]] - 영화 <성벽을 뚫고> === 만화계 === * [[김성환(만화가)|김성환]] - <멍텅구리> == 달력 == [include(틀: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 [[분류:1949년]]